-
Research Article
-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을 고려한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측정 - 청주시를 사례로 -
Measur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nsidering the Incidence of Sudde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he Case of Cheongju City
-
김규식, 장요한, 권규상
Kyusik Kim, Yohan Chang, Kyusang Kwon
- 본 연구의 목적은 G2SFCA 모형을 기반으로 한 개선된 응급 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청주시에 적용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G2FCA-based improved method for measur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to suggest policy …
- 본 연구의 목적은 G2SFCA 모형을 기반으로 한 개선된 응급 의료 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청주시에 적용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개선된 응급 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급성 심장정지 발생률로 추정된 수요를 이용하면서 서로 다른 골든타임 특성을 반영한 출동 접근성과 이송 접근성의 합으로 측정된다. 급성 심장정지 발생률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응급 의료 접근성과 비교할 때,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응급 의료 접근성은 일반적인 응급 의료 접근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일반적인 응급의료접근성에 비해 농촌 지역에서 접근성이 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에 접근성 개선 정책이 시급히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률 향상을 위해 새로운 시설 공급뿐만 아니라 119 지역대의 추가 설치를 통한 출동 접근성 향상, 출동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자동심장충격기 우선 설치를 제안한다.
- COLLAP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G2FCA-based improved method for measur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y applying it to Cheongju City. The comprehensive accessibility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access to hospitals, which have different distance-decay function based on different golden-time characteristics by medical services. In particular, we estimated the demand for sudde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OHCA) in each area of Cheongju City based on its incidence rate. SOHCA patients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shows a similar geographic pattern as the general population. However, in rural areas, these patients have poorer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indicating that policies to improve access are urgently needed in these area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improving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through the provision of new facilities as well as additional 119 branch firehouse, and prioritizing the installation of AEDs in areas with low access to emergency medical care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SOHCA.
-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을 고려한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측정 - 청주시를 사례로 -
-
Research Article
-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起業 발전프로세스 -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사례로 -
Start-up Process of Community Business: A Case Study of Residents' Capacity Enhancement Project
-
韓柱成
Ju-Seong Han
- 본 연구는 지역경제의 일자리 창출과 활성화를 가져오는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起業 발전프로세스와 그 과정에서 지역가치사슬의 역할을 알아보고, 이를 발전시킬 지역네트워크를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사례로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art-up process of community business, to understand the role of regional value chain, …
- 본 연구는 지역경제의 일자리 창출과 활성화를 가져오는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起業 발전프로세스와 그 과정에서 지역가치사슬의 역할을 알아보고, 이를 발전시킬 지역네트워크를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사례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는 대체로 특정 비영리활동법인 起業 발전프로세스의 사업전개기에 접어들지 못했는데, 이는 사업초창기이기 때문으로 자생력을 가진 경영체는 향후 성장・안정・분화기로 나아갈 것이다. 그리고 각 경영체는 비즈니스의 상품화를 위해 지역가치부여가 이루어졌고,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네트워크에서 NPO・시민단체나 사업자・기업과는 네트워크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으며, 또 대학・연구기관, 상공회의소・청년회와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아 사회자본 부족으로 경영체는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그래서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는 행정기관과 주민과의 파트너십의 노력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해 지역안팎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COLLAP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art-up process of community business, to understand the role of regional value chain, and to examine a case study of a regional network that will enhance residents’capabil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ommunity business management companies have generally not entered the business development stage of the start-up process of specific non-profit activities. This is because they are in early stages of development. The management companies who have self-sustaining ability will move into a stage of growth, stability, and differenti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se management companies have not been able to grow due to regional specialization and insufficient networking with NPOs, civic groups, business operators, corporation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chambers of commerce, and youth associations. Lack of networking has caused lack of social capital, resulting in insignificant growth. A reliable partnership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residents is important in creating social capital. A community business needs to develop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s within and outside of the region in using resources throughout the project.
-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起業 발전프로세스 -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사례로 -
-
Research Article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연지리 교육의 방향 - 초등 자연지리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engthening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cusing on Elementary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
김다원
DaWon Kim
- 오늘날 글로벌 이슈가 된 기후변화 대응에의 시대적 요청, 생태전환적 노력의 필요성 등은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
Today, the demands of the tim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hich has become a global issue, and the need for ecological …
- 오늘날 글로벌 이슈가 된 기후변화 대응에의 시대적 요청, 생태전환적 노력의 필요성 등은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연지리 교육의 방향을 국토 및 세계의 자연환경 인식, 이에 기반한 인간과 환경과의 조화로운 관계성 파악, 그리고 생태전환을 위한 환경 윤리에 대한 관점과 실천력 함양에 바탕을 두었으며, 초등교육에서 자연지리 교육의 강화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 감수성 함양, 둘째, 자연환경 자체의 내용 학습의 강화에 기반한 인간 생활과의 관계성 파악, 셋째, 자연환경의 형성과정과 변화 내용의 적극적 반영, 넷째, 자연과의 직접적 접촉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현장 중심의 탐구학습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Today, the demands of the tim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hich has become a global issue, and the need for ecological transition efforts, require changes in the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ion of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based on aware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untry and the world, understanding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based on this, and cultivating perspectives and practical skills on environmental ethics for ecological transition and present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strengthening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The challenges of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for this study were presented. First, education to cultivate sensitivity to nature, second, reinforcement of the conten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tself, third, active reflec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hanges, fourth, field-oriented exploratory learning where active contact and interaction with nature can be achieved was proposed.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연지리 교육의 방향 - 초등 자연지리 교육을 중심으로 -
-
Research Article
-
소비 방식의 다변화와 점포 입지- 서울시 사진관과 카페를 중심으로 -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and Store Locations: A Case study of Photo Studios and Cafes in Seoul
-
함유희, 박소현, 이금숙
Yuhee Ham, Sohyun Park, Keumsook Lee
- 전자통신기술의 발달과 2019년 말 발병한 COVID-19의 대확산으로 인하여 소비행태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포의 유형과 입지에 대한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consumption behavior during the widespread spread of COVID-19, which …
- 전자통신기술의 발달과 2019년 말 발병한 COVID-19의 대확산으로 인하여 소비행태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포의 유형과 입지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 방식의 다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의 소비 경향 변화로 소비공간의 점포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한다. 최근 들어 점포의 증가세를 나타낸 사진관과 카페 업종을 대상으로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SNS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이들 업종에 대한 소비 분포의 변화를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커널 밀도분석을 통해 운영 중인 점포의 공간분포 패턴을 파악하고, 일반 선형회귀모형을 구축하여 이들 업종별 점포의 입지와 소비 경향, 지리적 속성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사진관은 비대면의 소비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카페는 여전히 대면 소비의 수요가 큰 업종으로 나타났다. 사진관과 카페 모두 18시~20시 지하철 통행자 수가 많고, 20대 생활인구의 분포가 높으며 관광·여가·오락 시설의 방문객이 많은 지역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대형 카페와 무인 사진관이 입지 분포한 지역의 임대료는 상대적으로 높았고, 대형 카페의 분포에는 주거지역 보다는 공원이 있는 지역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consumption behavior during the widespread spread of COVID-19, which broke out in late 2019. As demand for non-face-to-face consumption increases,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consumption methods in store type and location is accelerated.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es in store locations in commercial spaces due to recent consumption tendencies. In particular, we identif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hoto studio and cafe industries that have recently increased in the number of stores and explore changes in consumption propensity for these industries through SNS keyword analysis. To this end, the spatial pattern of stores in operation For two types of industries is identified through kernel density analysis. An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model is constr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consumption trends, and geographical attributes of stores in each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mand for non-face-to-face consumption increased in photo studios, While cafes were still an industry with a large demand for face-to-face consumption. Both photo studios and cafes are areas with high subway traffic from 18:00 to 20:00, with a high distribution of people in their 20s, and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visits to tourism/leisure/entertainment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locations of unmanned photo studios and large-sized cafes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reas with high rents, and large cafes are located away from residential areas and connected to parks.
-
소비 방식의 다변화와 점포 입지- 서울시 사진관과 카페를 중심으로 -
-
Research Article
-
신용카드 빅데이터의 관광 분야 활용 방안
Utilization of Credit Card Big Data in the Tourism Study
-
이창규, 최진무
Changkyu Lee, Jinmu Choi
- 빅데이터의 대량 생산은 관광 분야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과 가치 창출을 주도하였다. 관광 빅데이터로써 신용카드 빅데이터는 실제 사용 기록이라는 점에서 관광 분야에서 …
The mass production of big data has driven the development of new approaches and value creation in the tourism study. As a …
- 빅데이터의 대량 생산은 관광 분야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과 가치 창출을 주도하였다. 관광 빅데이터로써 신용카드 빅데이터는 실제 사용 기록이라는 점에서 관광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 패턴을 도출하고 개인의 편향성이 높은 블로그 데이터와의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관광 패턴 분석을 위해서 핫스팟 분석과 발생 핫스팟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고, 블로그 데이터와의 상호보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지적 이변량 관계와 이변량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 분석을 적용하였다. 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패턴의 시・공간적 분석 결과, 특정 지역에서 특정 시기에 카드 사용이 집중된 군집지역과 군집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신용카드 데이터와 블로그 데이터를 연계한 결과 신용카드 데이터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블로그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를 상호보완하여 관광 요인을 유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실제 기록 데이터 중 하나인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 패턴 분석 방법과 소셜미디어 데이터와의 보완적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다종 빅데이터 접목을 통한 관광 빅데이터 분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The mass production of big data has driven the development of new approaches and value creation in the tourism study. As a tourism big data, credit card big data is highly useful in the tourism field because it is a record of actual usag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rive tourism patterns using credit card big data and propose a complementary use method with blog data, which could be highly biased by individuals. Hot spot analysis and emerging hot spot analysis methods were applied to analyze tourism patterns, and local bivariate relationship and bivariate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to identify complementarity with blog data. The spatio-temporal analysis of tourism patterns using credit card data revealed clusters of card use in certain areas and changes in clusters at certain times. By linking credit card data with blog data, we were able to complement demographic information from credit card data with textual information from blog data,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infer tourism factors. In this study, we presented a method for analyzing tourism patterns using credit card big data, which is one of the real historical data, and how to use it complementarily with social media data. This resul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nalysis of tourism big data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types of big data in the future.
-
신용카드 빅데이터의 관광 분야 활용 방안
-
Research Article
-
포항 R&BD기관의 집적과 지역에 대한 영향
The Agglomeration Process of Pohang R&BD Institutions and Effect on the Region
-
김도경
Dokyung Kim
- 철강 도시인 포항은 1970 ~ 80년대 선진국 철강 도시의 쇠퇴를 지켜보면서 자연스럽게 포스트 - 철강 시대를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
Pohang, a steel city, naturally began preparing for the post-steel era as it watched the decline of steel cities in developed countries …
- 철강 도시인 포항은 1970 ~ 80년대 선진국 철강 도시의 쇠퇴를 지켜보면서 자연스럽게 포스트 - 철강 시대를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 발전을 정책을 추진한 결과 포스텍,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20여개의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기관이 집적된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되었다. 포항 R&BD 기관의 성장 단계는 크게 R&D 기반 조성 단계, 지역 혁신 기관 설립 단계, R&D 기관 내생적 발전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당초 기대했던 만큼의 지역발전 성과 창출에 미치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지만, 기업 유치 등 지역에 다양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의 R&BD 기관의 집적 과정과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R&BD기관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분석과 함께 지역 기여도 증대 방안을 모색하였다.
- COLLAPSE
Pohang, a steel city, naturally began preparing for the post-steel era as it watched the decline of steel cities in developed countries in the 1970s and 1980s. As a result of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since the 1980s, more than 20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 agglomerated innovation cluster, including POSTECH,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RIST), and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The growth stage of Pohang R&BD institution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re is an opinion that it did not meet the originally expected results of regional development. But, it had various effects on the region, such as attracting companies. In this study, the agglomeration process,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R&BD institutions in Pohang were analyzed. In addition, measures to increase regional contribution were sought along with an analysis of how R&BD institutions effected the region.
-
포항 R&BD기관의 집적과 지역에 대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