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김태균・박상혁, 2019, "게임이론에 근거한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해결 전략차이 연구," 벤처창업연구, 14(2), 151-163.
10.16972/apjbve.14.2.201904.151문인영・김미희, 2014, "농촌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전남 화순군 25개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1), 162-171.
10.14774/JKIID.2014.23.1.162박경철・허남혁・강마야・김종수・김찬규・송주연・장효안・최민영(역), 2016,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리고 지속가능성, 따비, 서울(Woods, M., 2010, Rural, Routledge, London.)
박현선・이상균・이채원(역), 2013,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지침, 학지사, 서울(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London.)
손승호・이호상, 2021, "한국 농촌지역의 인구분포 및 변화의 특징 - 1995~2020년의 면을 대상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56(6), 607-622.
10.22776/kgs.2021.56.6.607양예숙・김상범・윤순덕・정명철, 2017, "농촌 전통 공동체 조직 활동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4), 669-686.
10.7856/kjcls.2017.28.4.669오은영・이정화, 2012, "사회적관계망 크기와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이 단독가구 농촌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555-580.
유영민・김용근・안민지, 2017, "농촌 원주민과 귀농ㆍ귀촌인 간 갈등요인과 인식차이 분석," 농촌사회, 27(2), 93-136.
10.31894/JRS.2017.12.27.2.93전경숙, 2020, "관계적 접근을 통한 공공성 기반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55(1), 27-42.
10.22776/kgs.2020.55.1.27정하나, 2022, "청년농업인의 농촌사회 정착의 어려움과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농촌사회, 32(1), 67-108.
10.31894/JRS.2022.04.32.1.67조영국・이승철, 2020, "공동체주도개발모델 전수 측면에서의 새마을운동 ODA 성과 검토: 키르기스스탄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조성사업 사례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4(3), 341-358.
10.22905/kaopqj.2020.54.3.11주문희, 2018, "농촌 마을의 재구성과 차이・공존의 장소정치: 담양군 대덕면 저심마을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3), 447-465.
10.26863/JKARG.2018.08.24.3.447한주성, 2023b, "지역커뮤니티 비즈니스 경영체의 起業 발전프로세스 - 주민역량강화사업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58(5), 488-502.
10.22776/kgs.2023.58.5.488Charmaz, K., 2017,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3), 299-300.
10.1080/17439760.2016.1262612Fiske, A. P., 1991, Structures of Social Life: The Four Elementary Forms of Human Relations, Free Press, New York.
Kearns, R. A. and Collins, D. C., 2000, New Zealand children's health camps: therapeutic landscapes meet the contract stat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1(7), 1047- 1059.
10.1016/S0277-9536(00)00020-411005392공공데이터포털, 2022, 충청북도_읍면동별 토지지목 현황, https://www.data.go.kr/data/15098645/fileData.do, 2024년 11월 14일 접속.
농림축산식품부, 2023, 2022년 국내인구이동・주택거래량 감소, 1인가구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https://www.mafra.go.kr/bbs/home/792/569298/download.do, 2024년 11월 14일 접속.
정일훈, 2023.06.14., "귀촌하려면 마을 발전기금 내라" 농촌 텃세 갈등. KBS 뉴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698792, 2024년 11월 13일 접속.
심금섭, 2022.11.03., 귀농・귀촌 확산에 따른 축산농가와의 갈등 증폭, 효과적인 해결 방안은?, 한돈뉴스, http://www.pignpork.com/news/articleView.html?idxno=6323, 2024년 11월 13일 접속.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60
- No :2
- Pages :277-291
- Received Date : 2025-04-02
- Revised Date : 2025-04-25
- Accepted Date : 2025-04-25
- DOI :https://doi.org/10.22776/kgs.2025.60.2.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