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거리 함수가 접근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선 거리와 네트워크 거리의 비교 -

    How Accessibility Changes with Distance Metrics: A Comparison of Euclidean and Network Distances

    이슬, 양재형, 김여림, 송현민, 홍성연

    Seul Lee, Jaehyoung Yang, Yeorim Kim, Hyunmin Song, Seong-Yun Hong

    특정 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수요자의 위치와 대상 시설 간 거리에 기반한 것이다. 지점 …

    Accessibility to facilities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with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

    + READ MORE
    특정 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수요자의 위치와 대상 시설 간 거리에 기반한 것이다. 지점 간 거리 측정은 다양한 거리 함수를 사용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직선 거리나 네트워크 거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거리 함수의 선택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직선 거리에 기반한 결과와 네트워크 거리에 기반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격자형 도로망 구조를 갖는 서울 강남구 일대와 비격자형 도로망 구조를 갖는 서울 종로구 일대를 각각 사례 지역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규모와 분포가 다양한 시설 종류를 선택하여 최단 거리에 있는 시설을 탐색하고, 두 거리 함수 간 결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접근성 및 공간 형평성 연구에서 적절한 거리 함수 선택의 기준을 제공할 뿐 아니라, 내비게이션 등 엣지 장비에서 인근 장소 탐색 알고리즘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ccessibility to facilities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with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emand and the target facility. Distance measurement between points is not always straightforward because there are several different metrics, including Euclidean distance, Manhattan distance, and network distan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choice of distance metrics affects the results of accessibility-related studies. We focus on two most popular distance metrics: Euclidean and network distances. We utilise them to evaluate accessibility to various facilities with different numbers and spatial distributions and compare the results. The findings could help us choose appropriate distance metrics for specific settings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efficient location search algorithms for edge devices.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접근성 격차에 기반한 도로 서비스의 형평성 분석 - 우회 비용을 중심으로 -

    Analyzing the Equity of Road Services through Accessibility Gaps: Focusing on Detour Costs

    김용기

    Yongki Kim

    도로는 일반적으로 공공 서비스로써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비용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로 서비스의 형평성은 …

    Roads are generally public services that do not require a direct cost to the user, which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not only efficiency …

    + READ MORE
    도로는 일반적으로 공공 서비스로써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비용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로 서비스의 형평성은 그 개념적 모호함으로 인해 평가하기 매우 까다로우며, 지금까지 접근성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결과적인 도로 접근성 격차를 분석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접근성 격차의 원인을 분석해 공급자 입장에서 국내 도로 서비스의 형평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도로 우회 비용이 도시의 접근성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개별 도시에서 접근성 격차가 나타나는 양상을 바탕으로 일반적 경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도시의 도로 네트워크는 접근성 격차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로가 기존에 존재하는 직선 거리 격차를 강화하거나 국지적으로 도로 시설이 집중된 것에 기인하였으며, 다만 분산적인 도시 구조를 통해 도로 네트워크의 형평성을 제고할 가능성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공급자 입장에서 도로 서비스의 형평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도로의 공공성에 관한 정책적 활용 등에 기여할 수 있다.


    Roads are generally public services that do not require a direct cost to the user, which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not only efficiency but also equity. However, assessing the equity of road services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due to its conceptual ambiguity, and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resulting road accessibility gaps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quity of the road network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causes of accessibility gaps. We examined the impact of road detour costs on accessibility gaps and derived trends based on patterns of detour costs across citie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road network in South Korean cities generally exacerbates accessibility gaps by reinforcing Euclidean distance gaps and localized concentrations of road infrastructure. However, we also find that equity of road network can be improved through decentralized urban structures. This research provide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quity of road services from the provider's perspective and can contribute to policy discussions on road publicity.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AI 기반 도로 추출

    AI-Based Road Extraction Considering Road Structural Characteristics

    이재관, 최진무

    Jaegwan Lee, Jinmu Choi

    최근 신속하고 정확한 도로 정보 갱신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원격탐사 영상과 딥러닝 기반 의미론적 분할 기법이 도로 추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

    Recent advancements have led to an increased necessity for rapid and accurate updates of road information, wherein remote sensing imagery and deep …

    + READ MORE
    최근 신속하고 정확한 도로 정보 갱신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원격탐사 영상과 딥러닝 기반 의미론적 분할 기법이 도로 추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분할 기법을 적용할 때 나무, 건물의 그림자 등으로 인해 도로의 일부가 가려져 추출 결과에서 도로의 구조와 연결성이 온전하게 학습되지 못하는 문제를 겪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마스킹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기반의 도로 추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딥러닝의 훈련 데이터로 도로의 가장자리에 인위적인 가림 마스크를 넣어 훈련과정에서 모델이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나무와 그림자로 가려지는 효과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15,783개의 훈련 데이터에 대해 가림 마스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가림 마스크를 적용한 데이터를 전체 데이터에서 50% 섞은 경우, 가림 마스크를 적용한 데이터로만 훈련 데이터셋을 구성한 경우로 구분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하고 도로 추출 결과를 비교하였다. 딥러닝 모델로는 U-Net, SegNet, SegFormer를 활용하였다. 도로 추출 결과의 구조적 평가를 위해 픽셀 기반의 평가 지표(Accuracy, Precision, Recall, F1-Score, and mIoU)와 함께 도로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한 APLS(Average Path Length Similarity)와 SSIM(Stuctural Similarity Index)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스킹 데이터를 50% 활용한 SegFormer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마스킹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모델을 통해 토지피복의 구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도로와 같이 구조적 특성이 있는 사상이 나무나 그림자 등으로 가려지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 훈련 과정에서 인위적인 마스크를 활용하면 사상의 추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 advancements have led to an increased necessity for rapid and accurate updates of road information, wherein remote sensing imagery and deep learning-based semantic segmentation techniques are playing a crucial role in road extraction research.However, when applying deep learning segmentation techniques, issues arise due to occlusions from elements such as trees and building shadows, resulting in incomplete learning of the road's structure and connectivity in the extraction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road extra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utilizing masking data in order to consid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ads.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rtificial masks at the edges of the road as the training data for deep learning, enabling the model to exclude the effects of being obscured by trees and shadows at the road's edge during the training process. To this end, the deep learning model was trained under three conditions regarding 15,000 training data instances: without the application of occlusion masks, with the generation of 50% occlusion masks, and with the generation of 100% occlusion masks, followe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ad extraction results. The deep learning models utilized in this study include U-Net, SegNet, and SegFormer. For the structural evaluation of the road extraction results, pixel-based evaluation metrics (Accuracy, Precision, Recall, F1- Score, and mIoU) were employed, alongside APLS (Average Path Length Similarity) and SSIM (Structural Similarity Index), which reflec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ad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SegFormer, utilizing 50% of the masking data, exhibited the most superior performance.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can be maintained through deep learning models utilizing masking data. In the future, to minimize the issues arising from structural features being obscured by objects such as trees or shadows, it is anticipated that employing artificial mask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of deep learning models will enhance the accuracy of feature extraction.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멀티모달 모빌리티 기반의 대중교통 통행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ublic Transportation Travel based on Multimodal Mobility

    김지우, 이건학

    Jiwoo Kim, Gunhak Lee

    대중교통은 도시의 중요한 기간 시설로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필수 교통수단이다. 그러나 대중교통 통행 요인에 대한 이해의 한계로 대중교통 수요와 공급 간의 불일치가 …

    Public transportation serves as a vital component of urban infrastructure, providing an essential mobility option for large number of citizens. However, limited …

    + READ MORE
    대중교통은 도시의 중요한 기간 시설로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필수 교통수단이다. 그러나 대중교통 통행 요인에 대한 이해의 한계로 대중교통 수요와 공급 간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멀티모달 모빌리티 기반의 대중교통수단별 통행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중교통 통행량 및 통행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각종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나, 멀티모달 모빌리티 관점에서 각각의 교통수단별 통행, 환승 통행, 전체 통행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사례는 드물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통합적 틀에 기반하여 대중교통수단별 통행 패턴과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 내 모빌리티에 있어 개별 대중교통수단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각각의 대중교통수단별 통행에 대해 동일한 독립 변수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독립 변수는 교통수단에 따라 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나타났다. 이는 특정 통행 요인이 모든 교통수단에 동일하게 작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교통 정책 실행에 각 교통수단의 역할과 특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행에 대한 이해와 실제 교통 정책 수립에 유의미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Public transportation serves as a vital component of urban infrastructure, providing an essential mobility option for large number of citizens. However, limited understanding of travel factors in public transportaion has impaired the equilibrium of its supply and demand, resulting in various societal challeng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ravel patterns in different modes of public transportation from a multimodal mobility perspective. In order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explor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variables and individual modes of transportation, an integrated analysis of mode-specific travel, transfer travel, and overall travel within a multimodal framework is proposed. In this context, the analysis examined the travel patterns and factors for each mode of transportation, and revealed the distinct functions of each mode within urban mobility. Notably, with the same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applied across transportation modes some variables exhibited regression coefficients with opposite signs depending on the mode. This implies that specific travel factors do not influence all modes of transportation in the same wa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ode in an integrated manner when implementing transportation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ublic transportation travel and provide meaningful evidence for the formulation of practical transportation policies.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한국의 국립공원 도입과 국토자연의 영토화 - 1920-70년대 초 근대적 자연관의 실천과 보호구역의 공간 구성 전략 -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Park System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National Nature in Korea: Practices of the Modern View of Nature and Spatial Construction Strategies for Protected Areas, 1920s–Early 1970s

    김지영

    Jiyoung Kim

    해방 전후 시기 한국에서는 다양한 주체들이 새로운 사회·정치적 및 학문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근대적 자연관을 재구성하면서 국립공원 제도 도입과 공간 구성, 즉, …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various actors redefined the modern view of nature to adapt to shifting social, political, and academic conditions. …

    + READ MORE
    해방 전후 시기 한국에서는 다양한 주체들이 새로운 사회·정치적 및 학문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근대적 자연관을 재구성하면서 국립공원 제도 도입과 공간 구성, 즉, 자연의 영토화를 진행하였다. 일제 시기에는 한반도 산맥 체계 형성, 산악 중심의 조선신팔경(朝鮮新八景) 선정, 이를 중심으로 한 철도 중심의 관광 개발이 자연의 영토화의 초기 양상으로 나타났다. 과도정부기 한국산악회의 국토구명사업(國土究明事業)을 통해 학술탐험에 참여한 학자들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1960년대부터 문교부 중심으로 미국과 생태외교를 전개하며 천연보호구역 지정이 국립공원 지정 전초 단계라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냉전시기 영향 아래, 1960년대 후반에는 DMZ를, 1972년 남북공동선언 이후에는 태백산맥의 중심부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자는 제안도 등장했다. 그러나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따라 교통부와 건설부 주도로 지역별 거점 배치 전략을 채택하여 국립공원 공간을 조직하였다. 이를 통해 국립공원은 ‘국민/자연관광지’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공간적 전개는 조선신팔경의 ‘남한 버전’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산악 경관 중심의 지역별 명승지를 기반 시설과 연결하여 관광지로 개발하고, 이를 제도화함으로써 국립공원은 국토자연을 위계화 및 균일화를 수행하는 도구로 작동하였다. 이 시기 천연보호구역은 원생 자연을 보호하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정립되었으며, 국립공원은 자연보호와 개발의 균형을 추구하는 동시에, 국제적 규모의 관광지이자 지역 개발의 촉진 장치로서 ‘국토자연 개발’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various actors redefined the modern view of nature to adapt to shifting social, political, and academic conditions. This process accompanied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spatial planning of national parks and protected areas, contributing to the territorialization of n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development of both geological and symbolic mountain systems, the designation of mountain-centered “New Eight Scenic Sites of Korea,” and the promotion of rail-based tourism marked early stages of this process. In the transitional government era, scholars participating in the Corea Alpine Club’s “National Land Investigation Project” emerged as key figures. From the 1960s onward, they engaged in ecological diplomacy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dvancing the notion that natural reserves were precursors to national parks. Amid Cold War tensions in the late 1960s, the DMZ was proposed as a protected site, and following the 1972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the central Taebaek Mountains were also considered for designation. Under the Park Chung-hee regime, national park development was directed through regional hub strategies aligned with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and the First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driven by the Ministries of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National parks were reframed as major natural and national tourist destinations, reflecting a “South Korean version” of the colonial-era New Eight Scenic Sites. These areas were developed by linking iconic mountain landscapes with tourism infrastructure, an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they served as instruments for the homogenization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national nature. While natural reserves emphasized strict preservation of pristine environments, national parks sought to balanc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functioning simultaneously as international tourist attractions and regional growth engines—effectively becoming another name for national natural development.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문화유적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국의 토지이용과 공간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Land Use and Spatial Structure in South Korea through Cultural Heritage Data

    박수진, 고일홍, 안유순, 심우진

    Soo Jin Park, Ilhong Ko, Yoosoon An, Woojin Shim

    이 연구는 구석기부터 현대까지 10개의 고고역사적 시대를 대상으로, 문화유적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토지이용 및 정주체계의 시공간적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유적의 시계열적 출현빈도 및 …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land use and settlement systems in South Korea using the archaeological site data …

    + READ MORE
    이 연구는 구석기부터 현대까지 10개의 고고역사적 시대를 대상으로, 문화유적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토지이용 및 정주체계의 시공간적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유적의 시계열적 출현빈도 및 밀도, 공간적 밀집도, 그리고 유적밀도를 대상으로 한 도시순위규모법칙 등을 활용하였다. 한국의 토지이용 특성은 시계열적으로는 개척기(~신석기시대), 정착기(청동기시대~초기철기/원삼국시대), 확산성장기(삼국시대~고려시대), 한계성장기(조선시대), 토건성장기(일제강점기~현대)의 5단계로 진화・발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개척기에는 하천 및 해안의 평탄지에 유적이 집중되어 밀집도가 높은 공간구조가 형성되었고, 정착기에는 농경 기반의 안정적 토지이용을 위해 저고도・저경사지・토지이용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토지이용이 변화되었다. 확산성장기에는 인구 증가와 생산력 향상으로 국토 대부분 토지가 점유・이용되었으며, 분산된 정주체계로 발전하였다. 한계성장기에는 인구증가 및 농업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전에 활용되지 못했던 하천주변 저습지와 산지지역으로 토지이용이 확대되었으며, 한양 중심의 공간적 집중현상이 시작되었다. 토건성장기에는 근대 토목기술이 도입으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토지이용 특성이 나타났으며, 공간적 집중도 역시 강화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선사 및 역사시대를 지나오면서 한국 토지이용의 공간구조가 변해온 모습을 개괄하고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하지만, 사용된 문화유적 자료가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정밀한 지역 사례연구와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land use and settlement systems in South Korea using the archaeological site data for 10 time periods, spanning from the Paleolithic Age to the present. We utilized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sites in each period, point pattern analyses, and a city rank size rule (Zipf's law) for site density. Analyses revealed that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Korea’s land use characteristic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the pioneering period (Paleolithic to Neolithic Age), the settlement period (Bronze Age to Early Iron Age/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diffused growth period (Three Kingdoms period to Goryeo Dynasty), the marginal growth period (Joseon Dynasty), and the civil engineering growth period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o contemporary times). In the early pioneering period, archaeological sites were concentrated in flat areas along rivers and coasts, forming a dense spatial structure; in the settlement period, land use focused on low-altitude, low-slope, and highly available areas for stable land use based on agriculture. During the diffused growth period, most of the land was occupied and utilized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a dispersed settlement system developed. In the marginal growth period, land use expanded to lowland areas around rivers and mountainous areas that had not been utilized before, along with population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the phenomenon of spatial concentration centered on Hanyang emerged. In the civil engineering growth period, the introduction of modern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led to the emergence of different types of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ened spatial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utline and visibly show how the spatial structure of land use in southern Korea has changed over the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rchaeological site data used, detailed regional case studies and further analysis are required.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공공부문 광역 업무 네트워크를 활용한 우리나라 도시체계 분석 - 인터로킹 네트워크 모델의 적용 -

    Analysis of Korea’s Urban System Using Intra-firm Business Networks in the Public Sector: An Application of Interlocking Network Model

    이성호

    Sungho Lee

    우리나라의 도시체계는 최근의 여러 정책적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 분석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식의 접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

    Since Korea's urban system rapidly evolves in response to recent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diverse analytical approaches. …

    + READ MORE
    우리나라의 도시체계는 최근의 여러 정책적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 분석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식의 접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부문의 광역 업무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세계 도시체계 분석에서 주로 활용해 온 인터로킹 네트워크 모델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도시 간의 상호작용 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도시체계의 계층성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은 여전히 수위도시로서 강한 전국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광역시와 도청소재지의 순으로 그 영향력의 강도가 나타났다. 다만 서울의 영향력은 인구 규모를 고려할 때 오히려 약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혁신도시가 입지한 도시는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새로운 도시 간 연계망을 형성하면서 상대적으로 강한 도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영향력에 기반한 도시체계는 인구 규모에 비해 덜 위계적인 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Since Korea's urban system rapidly evolves in response to recent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diverse analytical approaches. This study applied the Interlocking Network Model, primarily used in global city network analysis, to the public sector's intra-firm business network to assess inter-city interactions. The findings reveal key characteristics of Korea’s urban structure. While Seoul retains strong national dominance, its functional influence is relatively weaker than suggested by its population siz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follow in descending order, while Innovation Cities have formed new intercity linkages through the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displaying unexpectedly strong influ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s urban system, when viewed through functional inter-connections rather than population metrics alone, exhibits a less hierarchical structure.

    - COLLAPSE
    30 April 2025
  • Research Article

    농촌 지역 주민 간 관계 형성 및 변화의 메커니즘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을 사례로 -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in Rural Regions: The Case of Yeonpung-myeon, Goesan-gun, Chungcheongbuk-do

    임수하, 최서희

    Suha Lim, Suh-hee Choi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주민들 간 관계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에서 한 달간 현장 연구를 진행하여 수집한 …

    This study reveals the mechanisms inherent 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in a rural area. A qualitative study …

    + READ MORE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주민들 간 관계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에서 한 달간 현장 연구를 진행하여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구성주의 근거이론에 따른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들 간 우호적 관계, 무관심한 관계, 갈등 관계가 골고루 나타났다. 우호적 관계의 경우 직책 수행을 통한 관계 형성, 그리고 특히 실내에서의 문화 활동 및 다양한 모임으로 인한 교류로 증진되었다. 무관심한 관계는 귀농・귀촌인의 등장 및 원주민 감소에 따른 사회 구성원 변화, 그리고 전통문화 소멸 및 전자기기의 보급으로 인한 교류 감소와 함께 개인주의가 만연하며 촉진되었다. 갈등 관계의 경우 주민들 간 체화된 문화의 지역적 차이, 세대 차이와 함께 금전적 문제로 인한 갈등, 지역사회 융화에 대한 구성원 간 입장 차이로 인한 갈등이 누적되며 두드러지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이분법적인 사고를 넘어 지역 주민의 다양한 관계 형성과 구성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veals the mechanisms inherent 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in a rural area.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by using interview data and field notes that had been collected and synthesized during a month-long field study in Yeonpung-myeon (Goesan-gun, Chungcheongbuk-do).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as a presence of amicable, indifferent, and conflictual relationships among the residents. Amicable relationships were enhanced through relationship-building by taking roles for the community and through cultural activities and various gatherings, particularly held indoors. Indifferent relationships were triggered by changes in the profile of residents due to the influx of new settlers and the decline of native residents, along with the widespread individualism caused by the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rolif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leading to decreased interaction. Conflictual relationships were characterized by accumulated conflicts stemm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from different regions, generational gaps, financial conflicts, and differences in opinions among community members regarding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overcame dichotomous thinking to uncover the mechanisms behind the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various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 COLLAPSE
    30 April 2025
  • Book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