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5 Vol.60,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5. pp. 215-239
Abstract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정책홍보관리실 법무담당관, 1970, 사단법인설립불허가통지(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938373).

2

건설교통부 정책홍보관리실 법무담당관, 1971, 사단법인한국국립공원협회 설립허가(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938373)

3

건설부, 1966, 한국국립공원후보지자료.

4

건설부, 1967, 지리산국립공원기본조사보고서.

5

건설부, 1969, 국토건설종합계획기본자료.

6

건설부, 1973a, 국립공원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지리산, 한려해상, 속리산, 내장산, 가야산).

7

건설부, 1973b. 한국의 국토개발계획.

8

경상남도, 1972, 한려해상국립공원 기본계획.

9

교통부, 1968a. 관광지지정을 위한 조서.

10

교통부, 1968b, 한국관광진흥을 위한 종합대책.

11

국가기록원, 2014, 중요 공개기록물 해설집IV: 국토개발편(1960~1990년대).

12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국립공원30년사.

13

국립공원협회, 1972, "지상세미나 국립공원의 이상적인 관리운영방향," 금수강산, 1, 112-114.

14

국제관광공사, 1974, 韓國觀光 開發調査報告書.

15

권정화, 1990, "崔南善의 初期 著述에서 나타나는 地理的 關心: 開化期 六堂의 文化運動과 明治地文學의 影響," 應用地理, 13, 1-34.

16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400.

17

김덕현, 2011, "전통적 자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엮,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서울.

18

김백영, 2014,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 제국 일본의 식민지 철도관광에 대한 이론적 검토," 사회와 역사, 102, 195-230.

19

김백영・조정우, 2014, "제국 일본의 선만(鮮滿) 공식 관광루트와 관광안내서," 일본역사연구, 39, 27-64.

20

김성용・이재욱, 2015, "해방이전 외국인에 의한 서구식 한반도 지질광상조사 성과고찰연구," 자원환경지질, 48 (1), 77-88.

10.9719/EEG.2015.48.1.77
21

김수자, 2018, "제1공화국 시기 장충단공원의 정체성의 변형 과정," 한국문화연구, 34, 279-305.

22

김종수, 2019, "1945~1960년 문화재 관련 입법 과정 고찰 -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전사(前史) 관련 -," 헤리티지: 역사와 과학, 52(4), 78-103.

23

김지영, 2021a,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 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를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3(1), 106-133.

24

김지영, 2021b, "국립중앙박물관 및 수원광교박물관 소장 「金剛山風景計劃案」・「金剛山探勝施設計劃案」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3(1), 167-202.

25

김지영, 2024, "자연의 발전주의적 동원 - 지리산국립공원 생산 과정에 대한 역사지리적 연구 -," 대한지리학회지, 59(2), 143-162.

26

김창규, 2013,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법과정책연구, 13(3), 1211-1246.

27

김태연, 2024, "제주도는 어떻게 '대한민국 관광 1번지'가 되었나? : 1960-70년대 '제주개발체제' 형성과 작동," 인문논총, 65, 167-191.

10.33638/JHS.65.8
28

대한민국정부, 1971,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29

문교부, 1951, 국립공원설치에관한건(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135106).

30

문만용, 2019, "비무장지대 생태조사의 의의와 전망," 대동문화연구, 106, 35-64.

10.18219/ddmh..106.201906.35
31

문화공보부, 1968, 漢拏山 및 紅島.

32

문화공보부, 1975, 비무장지대인접지역종합학술조사 보고서.

33

문화재관리국, 1967, (天然保護區域)雪嶽山.

34

박찬모, 2012, "조선산악회와 지리산 투어리즘," 남도문화연구, 23, 133-163.

35

법제실, 1959, 국립공원법(안)(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085188).

36

秘, 1974, 국립공원관리사업운영방안.

37

산림청 중부영리서, 1967, 국립공원 위원 위촉(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DA0208289)

38

손경석, 2010, 韓國登山史, 이마운틴, 서울.

39

손일, 2016, "1884년 곳체(C. Gottsche)의 조선 기행과 그 지리적 의미," 대한지리학회지 51(6), 739-759.

40

안치운, 2023, 침묵하는 산, 한길사, 파주.

41

양보경, 1994, 조선시대의 자연 인식 체계, 한국사시민강좌, 14, 70-97.

10.1016/0273-1177(94)90198-8
42

오춘영, 2024,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 활동 재평가," 헤리티지: 역사와 과학, 57(2), 144-165.

43

원병호・이성록・이영주, 2017, "한반도 근대 지질・자원 조사 전담 기구의 출현 및 발달사," 지질학회지, 53(6), 819- 831.

10.14770/jgsk.2017.53.6.819
44

원주영・현재환, 2004, " 자연보존 을 통해 본 1970년대 자연보전 논의의 변화," 생태환경과역사, 12, 73-115.

45

유하영, 2020, "조선산악회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의 국제법상 의미와 증거가치," 동북아연구, 35(2), 65-92.

46

이용대, 2019, "한국산악회 국토구명 사업과 자연보호활동에 대한 고찰," 한국산악회전-나와 산 하나가 되다, 국립산악박물관.

47

이원호・신현실, 2016, "국내 자연환경 관련 정책의 역사와 특성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 88.

48

이주영, 2015, "한국의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립을 통해서 본 발전국가론 '계획 합리성' 비판," 공간과 사회, 25(3), 11-53.

49

이태우, 2023, "1947년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의 독도조사활동과 성과," 독도연구, 34, 165-205.

50

인태정, 2006, "한국 근대 국민관광의 형성과정: 박정희 정부 시기의 국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8, 355-374.

51

전재경, 2005, 보호구역 관리실태 및 법제정비 방안연구, 한국법제연구원.

52

정서율, 2023,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지정제도 시행과 운영 실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53

정치영, 2015, " 조선여행안내기 를 통해 본 1930년대 한국의 관광자원," 문화역사지리, 27(1), 69-82.

54

진종헌, 2016, "제주 오름에 대한 미학적 시선의 출현과 오름 '경관'의 형성," 문화역사지리, 28(4), 1-14.

55

청와대 관광개발계획단, 1971,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56

청와대 관광개발계획단, 1973, 설악・부여・공주 관광종합개발계획요약-2차 시안.

57

최남선, 1913, 山經表, 朝鮮光文會, 京城.

58

최남선, 1927, 白頭山覲參記, 漢城圖書, 京城.

59

최남선, 1947, 朝鮮의 山水, 東明社, 서울.

60

최남선, 1948, 朝鮮常識. 2, 地理篇, 東明社, 서울.

61

최덕근・홍발・이승배, 2024, "한국 최초의 지질학 논문, 「Geologische Skizze von Korea」: 역사적 고찰," 지질학회지, 60(2), 201-208.

10.14770/jgsk.2024.008
62

한국관광공사, 1972, 한국관광자원총람.

63

한국관광공사, 1974, 지명경쟁입찰계약승인(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DA1095155).

64

한국관광공사, 1975, 납기연장의뢰(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DA1095155).

65

한국여행신문사, 1999, 韓國觀光 50年秘史.

66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1975, 扶餘・公州圈 觀光綜合開發計劃.

67

한모니까, 2023, DMZ의 역사, 돌베개, 파주.

68

한상복, 1984, "[조사보고] 제주도종합학술조사(1959) 개요," 濟州島硏究, 1, 293-322.

69

홍성근, 2022, "1947년 조선산악회의 울릉도학술조사대 파견 경위와 과도정부의 역할," 영토해양연구, 23, 129-164.

70

홍영미, 2012, 1920年代 八景 選定 미디어 이벤트와 帝國意識의 擴散,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71

황진태, 2025, "한국의 국가-자연 연구 12년, 평가와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60(1), 117-141.

72

朝鮮總督府 鐵道局, 1936(추정), 朝鮮觀光地略圖.

73

仲摩照久, 1930, 日本地理風俗大系. 16, 新光社, 東京.

74

荒山正彦, 1995, "風景地の創出に関するノート 国立公園制度の成立を事例として," 待兼山論叢, 29, 1-15.

75

Braun, B., 2000, Producing vertical territory: geology and governmentality in late Victorian Canada, Ecumene, 7(1), 7-46.

10.1177/096746080000700102
76

Buechner, H. K., Tyson, E. L. and Kim, K. C., 1968, Ecological Study in Korea Final Report, Office of Ecology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77

Daniels, S., 1993, Fields of Vision: Landscape Imagery and National Identity i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Polity Press, England.

78

Demeritt, D., 2001, Being constructive about nature, in Castree, N. and Bruaun, B.(eds.), Social Nature: Theory, Practice, and Politics, Blackwell Publisher, Massachusetts.

79

Demeritt, D., 2002, What is the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a typology and sympathetic critiqu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6(6), 767-790.

10.1191/0309132502ph402oa
80

Haila, Y., 2012, Genealogy of nature conservation: a political perspective, Nature Conservation, 1, 27-52.

10.3897/natureconservation.1.2107
81

Hyun, J., 2021, Brokering science, blaming culture: the US-South Korea ecological survey in the demilitarized zone, 1963-8, History of Science, 59(3), 315- 343.

10.1177/007327532097420933287575
82

Hyun, J., 2022, Reconfiguring mountain expeditions: the transwar origins of the Korean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1926-1962, Korea Journal, 62(3), 79-115.

83

Hyun, J., 2023, Negotiating conservation and competition: national parks and 'victory-over-communism' diplomacy in South Korea, The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57(2), 239-255. doi: 10.1017/S0007087423000316.

10.1017/S000708742300031637667898
84

Jin, J., 2009, Paektudaegan: science and colonialism, memory and mapping in Korean high places, in Cosgrove, D. and Della Dora, V.(eds.), High Places: Cultural Geographies of Mountains Ice and Science, I.B. Tauris& Co., London.

10.5040/9780755620357.ch-012
85

Kauffman, M. D., 1966, Tourism to Korea, USOM, Seoul.

86

Koto, B.,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19, 1-68.

87

Moon, M., 2020, The politics of science in Korean biology: from the DMZ ecological survey to the nature conservation movement,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42(2), 431-447.

10.36092/KJHS.2020.42.2.431
88

Murphy, A. B., 2012, Entente territorial: sack and raffestin on territori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30(1), 159-172.

10.1068/d4911
89

Castree, N. and Braun, B. 1998, Construction of nature and nature of construction: analytical and political tools for building survivable futures, in Braun, B. and Castree, N.(eds.), Remaking Reality: Nature at the Millennium, Routledge, London.

90

Ruhle, G. 1968, Advisory Report on National Parks and Reserves for the Republic of Korea, 1966. Special pub. No. 20,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life Protection, New York.

91

Scott, J. C., 1998, Seeing Like a State: How Certain Schemes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Have Failed,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92

Whitehead, M., Jones, R. and Jones, M., 2007, The Nature of State: Excavating the Political Ecologies of th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0.1093/oso/9780199271894.001.0001
93

Zimmerer, K. S., 2000, The reworking of conservation geographies: nonequilibrium landscapes and nature- society hybrid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0(2), 356-369.

10.1111/0004-5608.00199
94

경향신문, 黑山島 바다넘어, 1947. 9. 14.

95

경향신문, 문화재보호를 지향, 해방 후 처음 실태조사, 1955. 10. 20.

10.2307/3196762
96

경향신문, 새로 登場한 文化財 全南篇 (15) 黑山・紅島, 1956. 9. 26.

97

경향신문, 국보 지정반 파견, 보존회서 결의, 1956. 6. 4.

98

경향신문, 濟州-西歸浦횡단道路, 1962. 3. 25.

99

경향신문, 公害로 잃어버린 自然을 되찾자 (3) 國立公園의 盲點, 1970. 8. 11.

100

경향신문, 公害로 잃어버린 自然을 되찾자 保護法의 문제점, 1970. 8. 18.

101

경향신문, 慶州・俗離山 등 9개 國立公園 國際규모 観光地로. 1973. 6. 11.

102

경향신문, 建設部 방침 國立公園에도 基準地價告示, 1973. 8. 18.

103

경향신문, 全國을 3大觀光개발권으로 南海岸, 扶餘・公州,東海岸・설악산 區分, 1974. 7. 8.

104

大阪每日新聞, 朝鮮新八景八勝畵報, 1935. 11. 1.

105

동아일보, 白頭山覲叅(二十三), 1926. 8. 26.

106

동아일보, 白頭山覲叅(八七), 1927. 1. 21.

107

동아일보, 韓國觀光 좋은條件많다, 1960. 11. 9.

108

동아일보, 樹頌 巨樹와 名木考, 1962. 4. 6.

109

동아일보, 日本國花 「왕벚나무」 原產地는 濟州道, 1962. 4. 19.

110

동아일보, 開發에 앞서 自然保存을 國立公園의 理想的 보호를 위한 學術세미나. 1971. 11. 22.

111

동아일보, 國際水準의 아름다운 山河로 張建設長官이 밝힌 國立公園開發, 1972. 12. 6.

112

동아일보, 한려수도 「壬辰水道」로 改稱하자, 1992. 9. 22.

113

매일경제, 國土開發 調和있게 執行, 1971. 10. 9.

114

매일경제, 건설부 國立公園 기본계획확정, 1973. 12. 14.

115

설악신문, 그 시절 설악에는 무슨 일이 신문 기사로 읽는 우리 지역이야기<25> : 1955년 한국산악회 학술등반대 처음 입산, 2009. 10. 28.

116

조선일보, 白頭山登陟記(27)- 白頭正幹의虛項嶺, 1930. 9. 8.

117

조선일보, 白頭山登陟記(28)- 人間世에로밧분거름, 1930. 9. 9.

118

조선일보, 名勝・智異, 漢拏兩山 國立公園으로計畫, 1937. 2. 12.

119

조선일보, 冬季漢拏山探險, 1945. 12. 17.

120

조선일보, 紅島를名勝地로古蹟硏究會서建議, 1954. 10. 28.

121

조선일보, 雪嶽山登攀記 2: 雪嶽山은 "옷입은金剛", 1955. 9. 4.

122

조선일보, 6個地에國立公園, 1959. 5. 11.

123

조선일보, 国土의動脈(完)觀光, 1959. 8. 30.

124

조선일보, 관광백서, 1962. 1. 19.

125

조선일보, 國立公園을推進, 1962. 5. 25.

126

조선일보, 國立公園꾸미기로 雪嶽山 漢拏山 黑山島, 1964. 2. 16.

127

조선일보, 全国을10大観光圈으로, 1971. 11. 6.

128

조선일보, 副作用빚는 各種開發규제조치, 1974. 3. 10.

12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연대기-현대-경제개발5개년 계획, https://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501600&code=kc_age_50, 2025년 3월 7일 접속.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60
  • No :2
  • Pages :215-239
  • Received Date : 2025-03-18
  • Revised Date : 2025-04-23
  • Accepted Date :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