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해안사구의 생태계서비스 지표 선정 및 활용방안 연구

    Study on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Ecosystem Service Indicators for Coastal Sand Dunes

    정필모, 서종철

    Pilmo Jung, JongCheol Seo

    해안사구는 조수, 파도, 바람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며, 생물다양성 지원, 자연재해 완화, 자원 제공 등 중요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에도 …

    Coastal dunes are formed by natural forces such as tides, waves, and wind, and provide important ecosystem services such as supporting biodiversity, …

    + READ MORE
    해안사구는 조수, 파도, 바람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며, 생물다양성 지원, 자연재해 완화, 자원 제공 등 중요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개발・농업 활동 같은 인간의 간섭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해안사구의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어 체계적인 평가와 보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 동향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해안사구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지표를 도출하고, 공급, 조절, 문화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제안한다. 또한 보전 유인책으로서 생태계서비스지불제(PES)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며, 정량 자료의 필요성과 이를 통한 정책 결정 및 대중 인식 제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해안사구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보전 및 활용을 위한 통합적 연구와 관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이바지하고자 한다.


    Coastal dunes are formed by natural forces such as tides, waves, and wind, and provide important ecosystem services such as supporting biodiversity, mitigating natural hazards, and providing resources. Despite their ecological significance, coastal dunes are increasingly threatened worldwide by human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and agriculture, as well as extreme climate events like sea-level rise. This study revie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to derive suitable ecosystem service indicators for coastal dunes in Korea and suggests indicators that can be utilized by focusing on provisioning, regulating, and cultural services. It also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as an incentive for conserv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quantitative data and the importance of using them for policy making and public awarenes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s a basis for integrated research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oastal dune ecosystems.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Article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이설(移設) 사례로 본 입지적 지향

    Locational Orientation seen through Relocation Cases of Eupchi [邑治] during the Joseon Dynasty

    전종한

    Jong Han Jeon

    조선의 읍치는 한반도의 전통도시를 대변하며 현대 도시의 주요 역사도시경관을 이루는 가치 있는 헤리티지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의 입지적 지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며, …

    Eupchi [邑治] as county seats of Joseon Dynasty that lasted from the 14th to the 19th centuries represent traditional cities …

    + READ MORE
    조선의 읍치는 한반도의 전통도시를 대변하며 현대 도시의 주요 역사도시경관을 이루는 가치 있는 헤리티지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의 입지적 지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며, 조선시대를 관통해 확인되는 읍치 이설(移設) 사례를 분석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 읍치의 입지적 지향은 국가 차원의 대원칙과 지역적 요인들로 나뉠 수 있다. 국가 차원의 대원칙은 고을 내 지리적 중심부 입지이며, 주요 지역적 요인들은 재해와 재난으로부터 비호(庇護)받을 수 있는 지형 조건, 안전하고 충분한 수토(水土) 환경, 풍수적 환경 인지와 길지(吉地) 관념, 그리고 기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만 국가적 요인은 일관되게 작용하면서도 경직되게 적용되지는 않았으며, 지역적 제반 요인들은 지역사회 내의 이해 관계 및 권력 관계 등과 맞물려 복잡하게 작동하였다. 한편 곽산부 읍치의 재이설 논란이나 진보현 읍치의 환읍 사례는 또 다른 차원의 ‘현실판 입지론’을 보여주었다. 조선 읍치의 입지적 지향은 단순하지 않으며, 전국적 보편성, 지역적 특성, 시대적 맥락성, 고을 내 주체들 간 역학 관계, 무엇보다 백성들의 삶이 처했던 현실 사태 등의 교차로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Eupchi [邑治] as county seats of Joseon Dynasty that lasted from the 14th to the 19th centuries represent traditional c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re a valuable heritage as a Historic Urban Landscape(HUL) to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cational orientation of Eupchi, and an approach was taken by analyzing the relocation cases of Eupchi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ocational orientation of Eupchi can be divided into general principles at the national level and regional factors. The general principle at the national level was the geographical central location of a county, and major regional factors were topographical conditions that provided protection from disasters and calamities, safe and sufficient water and soil environments, environmental awareness related with Feng Shui[風水], and other factors. However, national principles worked consistently but were not applied rigidly, and regional factors operated complexly in conjunction with interests and power relation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Meanwhile, the controversy over the relocation of Gwaksan-gun [郭山郡] and the case of Jinbo-hyeon [眞寶縣)] showed a sort of ‘the real version of location theory’ at another level. The locational orientation of Eupchi was not simple, and needs to be understood at the intersection of national generality, regional and historical context,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s within each county, and, above all, the real situation faced by the people's lives.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Article

    사회의 일부분으로서의 국가 개념과 국가 아카이브 연구 방법론

    Conceptualizing the State within Society and Methodologies for State Archival Studies

    박위준

    Weejun Park

    본 논문은 지리학에서의 국가 연구 논의를 확장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를 다룬다. 첫째, 국가를 사회의 일부분으로서 보다 관계적이고 해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들을 …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state in geography by addressing two issues. First, it reviews studies that conceptualize …

    + READ MORE
    본 논문은 지리학에서의 국가 연구 논의를 확장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를 다룬다. 첫째, 국가를 사회의 일부분으로서 보다 관계적이고 해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들을 검토한다. 이 연구는 국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하는 고전적인 ‘국가-사람’ 모형 뿐 아니라, 국가를 수직적인 다중스케일 관점으로 바라보는 자본주의 국가 연구가 충분히 다루지 못했던 수평적 측면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개념적 변화에 맞추어 국가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아카이브 연구를 방법론의 측면에서 논한다. 아카이브 연구는 인터뷰, 참여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 방법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며, 본 논문이 강조하는 관계적이고 해체적인 국가, 수평적 국가-사회 관계와 잘 부합한다. 또한, 정보공개청구와 국가기록원 제도를 활용해 실제로 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을 논함으로써 아카이브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를 보다 구체화한다.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state in geography by addressing two issues. First, it reviews studies that conceptualize the state as part of broader society, employing relational and disaggregated perspectives. This approach offers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that has not been fully explored by the multiscalar approach, which equates the state with the capitalist developmental state, as well as the classical ‘state-society’ model, which emphasizes state autonomy and independence. Second, this paper methodologically examines archival research as a means of studying the state, aligning with the newly proposed theoretical approach. Archival research, distinct from interviews or participatory observations, fits well with the relational and disaggregated understanding of the state. Additionally, specfic techniques for acquiring archival data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may help to make archival research more concrete.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Article

    IPCC 가이드라인 기반 서울특별시 탄소 지도 구축과 공간적 특성 분석

    Construction of Carbon Map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IPCC Guidelines

    임희수, 백서현, 최진무

    Heesoo Rhim, Seohyeon Baek, Jinmu Choi

    본 연구는 IPCC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개별 부문을 통합한 탄소 지도 구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PCC 인벤토리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온실가스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carbon map based on IPCC Guidelines. We selected seven sectors according …

    + READ MORE
    본 연구는 IPCC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개별 부문을 통합한 탄소 지도 구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PCC 인벤토리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가능한 7개 부문을 선정하였다. IPCC 가이드라인의 산정식을 적용하여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지구온난화 지수를 적용하여 탄소 배출량을 구하고, 이를 100m 격자 해상도의 지도로 구축하였다. 통합 탄소 지도 분석 결과, 건축물 밀집도가 높은 도심과 주요 도로망을 따라 고농도의 탄소 배출이 관찰되었으며, 산림 분포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 흡수량이 확인되었다. 또한, 탄소 배출량의 공간적 집중도를 분석하기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 지수를 활용하여 핫스팟과 콜드스팟 지역을 식별하였다. 핫스팟 형성의 주요 요인 분석 결과, 건물 부문이 가장 핵심적 영향을 미쳤으며, 콜드스팟 형성에는 산림 부문이 주도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탄소 지도는 지역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탄소 저감 정책 수립 시 중점 관리 부문을 도출하는 데 실증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carbon map based on IPCC Guidelines. We selected seven sectors according to the IPCC inventory criteria where greenhouse gas emissions could be calculated. We computed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each sector by applying the IPCC guidelines, converted them to carbon emissions using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mapped them into spatial distributions with a 100-meter grid resolution. The integrated carbon map revealed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 emissions in urban areas with high building density and along major road networks, whereas regions with substantial forest cover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carbon absorption rates.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dices, we identified hotspots and coldspots to analyz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carbon emissions. Analysis of key factors in hotspot formation showed that the building se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while the forest sector acted as the primary factor in coldspot formation. The integrated carbon map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identifying priority management sectors when establishing region-specific carbon reduction strategies.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Article

    제주해녀의 지속가능한 노동력 재생산은 가능한가? - 해녀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Is Sustainable Labor Force Reproduction of Jeju Haenyeo Possible?: Focusing on the role of Jeju Haenyeo School

    이종호, 송원섭, 권경희, 조철기

    Jong-ho Lee, Wonseob Song, Kyung Hee Kwon, Chul-Ki Cho

    전통적으로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은 모계 승계에 기초하여 공동체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동체 단위에서의 노동력 재생산 기능이 점차 소멸하면서, 오늘날에는 2개의 민간 …

    Traditionally, Jeju Haenyeo’s labor reproduction has been carried out in the community sector based on matrilineal succession. However, as the labor reproduction …

    + READ MORE
    전통적으로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은 모계 승계에 기초하여 공동체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동체 단위에서의 노동력 재생산 기능이 점차 소멸하면서, 오늘날에는 2개의 민간 해녀학교가 그 기능을 담당하는 제도적 주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도 제주해녀의 수는 매년 급감하고 있어서, 노동력 재생산 문제가 제주해녀문화의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계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오늘날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이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된 요인을 구조적 측면뿐 아니라 제도적 측면, 특히 2개의 제주해녀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 위기는 기후변화에 따른 소득 감소 및 공유자산에 대한 외부인의 침입 등 노동력 재생산 주체의 문제로만 국한하기 어려운 구조적 요인과 해녀학교와 관련된 제도적 요인이 혼재되어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의 핵심 주체로서 해녀학교는 입학단계→교육단계→졸업단계로 이어지는 단계별로 노동력 재생산에 영향을 주는 장애 요인들이 내재하고 있다. 입학단계에서는 ‘어촌계 추천서’가 입학의 필수조건 또는 가산점으로 입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이 해녀 지망생들에게 부담 요인이자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또한 입학 동기의 이질성은 제주지역에서 사회자본이 취약한 학생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해녀학교 졸업 후 어촌계 해녀로 입직한 신입 해녀들은 해녀 생활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해녀학교의 교육단계에서 실습 강좌와 인턴 기간의 확대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졸업단계에서는 어촌계와 해녀공동체의 폐쇄성이 신규해녀의 입직을 가로막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것이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Traditionally, Jeju Haenyeo’s labor reproduction has been carried out in the community sector based on matrilineal succession. However, as the labor reproduction function at the community level gradually disappeared, two private Haenyeo schools in Jeju are now playing a key role in carrying out this function. However, the number of Jeju Haenyeo is rapidly decreasing every year, and the labor reproduction issue is emerging as a key to determine the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Jeju Haenyeo cultu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have led to the current crisis in Jeju Haenyeo’s labor reproduction,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especially the role of two Jeju Haenyeo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parti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reproduction crisis of Jeju Haenyeo is the result of a mixture of structural factors that are difficult to limit to the problem of labor reproduction subjects, such as income decrease due to climate change and outsider intrusion into shared assets, and institutional factors related to Haenyeo schools. As a key player in the reproduction of Jeju Haenyeo labor force, Haenyeo School has inherent obstacles that affect labor force reproduction in each stage from the admission stage → education stage → graduation stage. At the admission stage, a ‘recommendation letter from the fishing villag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dmission as a prerequisite or additional point for admission, which acts as a burden and entry barrier for aspiring Haenyeo. In addition, the heterogeneity of reasons for admission is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with weak social capital in the Jeju region to form social networks. New Haenyeo who graduated from Haenyeo School and became employed as Haenyeo in the fishing village pointed out that in order to quickly and effectively adapt to Haenyeo life, practical classes and internship periods should be expanded in the curriculum of Haenyeo School. Finally, at the graduation stage, the closed nature of the Haenyeo community acts as an entry barrier that prevents new Haenyeo from entering the workforce, which was revealed to be the biggest obstacle in the reproduction of Jeju Haenyeo labor force.

    - COLLAPSE
    31 December 2024
  • Research Article

    딥러닝 방법을 이용한 소지역 단위 장래가구추계 모델링- 다변량 LSTM 모델을 통한 서울시 자치구별 가구추계 -

    Modeling of the Household Projection in Small Area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Projections in Districts of Seoul through a Multivariate LSTM Model

    문소현, 이건학

    Sohyun Mun, Gunhak Lee

    공동의 생계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단위인 가구는 각종 공공 정책 수립이나 주택 수요 예측 등에 활용되는 기본 통계 단위이다. 가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

    The household refers to a unit or a group of people with a common livelihood. This is the basic unit for establishing …

    + READ MORE
    공동의 생계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단위인 가구는 각종 공공 정책 수립이나 주택 수요 예측 등에 활용되는 기본 통계 단위이다. 가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구 특성도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가구추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무척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특히 기초자치단체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가구추계는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 계획과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장래가구추계는 추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여전히 소지역 단위로 산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도와 같은 전역적 단위로만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소지역 단위의 장래가구추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LSTM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울시 자치구별 2025~2045년의 가구추계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변량 LSTM 모델은 가구와 관련된 인구 변화 뿐 아니라, 소지역 단위 추정에서 중요한 주거 환경의 공간적 변화를 추계 결과에 동시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 결과, LSTM 모델은 가구 특성별, 자치구별 가구수를 예측하는데 있어 우수한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추계 결과 또한 통계청의 가구추계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소지역 단위의 장래가구추계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신뢰성 있는 경험적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지역적 특성이 잘 반영된 지역 계획 및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household refers to a unit or a group of people with a common livelihood. This is the basic unit for establishing various public policies or estimating housing demands.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continuously change as the structure of households varies over tim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but difficult to predict accurately household projections. In particular, household projection in small areas administered by local governments is essential for making regional plans and policie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produce projections in small areas due to the complexity of estimation, it has only been produced nationwide at the city and province level.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the LSTM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and attempted to forecast households in districts of Seoul for 2025~2045. The multivariate LSTM model, can produce estimates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population change related to households and the spatial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STM showed an excellent predictive performance in forecasting the number of households by the structure of households by district. Also, projection results for the future appeared similar patterns compared with household projection results from Statistics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estimating household projections in small areas. Also, reliable empirical results will be utilized to make regionally optimized plans and policies.

    - COLLAPSE
    31 December 2024
  • Book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