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집을 통한 이성애규범성의 시공간적 구성- 출생률 관리 기제로서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을 사례로 -

    The Spatiotemporal Construction of Heteronormativity through the Home: South Korea’s Public Rental Housing as a Birth Rate Control Apparatus

    정형은, 정현주

    Hyeongeun Jeong, Hyunjoo Jung

    본 논문은 이성애규범성과 시공간 논의를 결합하여 한국 정부가 제공하는 집인 공공임대주택이 결혼과 출생률 제고라는 생명통치 프로젝트에 활용되어 온 양상을 탐색한다. 최근 한국의 …

    This paper combines heteronormativity and spatiotemporal discourse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ublic rental housing provid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

    + READ MORE
    본 논문은 이성애규범성과 시공간 논의를 결합하여 한국 정부가 제공하는 집인 공공임대주택이 결혼과 출생률 제고라는 생명통치 프로젝트에 활용되어 온 양상을 탐색한다. 최근 한국의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청년과 신혼부부와 같이 결혼과 출산이 용이한 몸을 공적 수혜 대상으로 삼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본 논문은 공공임대주택 대상의 변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대상 중에서도 가족의 형성과 출산이라는 이성애규범적 생애주기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청년은 신혼부부보다 상대적으로 비정상적이고 미성숙한 존재로 위계 지어졌으며 이에 따른 차등적인 공간을 제공받게 되는 등 생명통치 기제로서 이성애규범의 작동을 고찰했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에 부착된 행복, 희망이라는 단어들을 분석함으로써 집-출산-미래적 행복이라는 이성애규범적 행복도식이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구현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사적 공간인 집이 공적 재화인 정책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동원되며 사적, 공적 경계가 임의적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거복지로드맵 정책을 분석하여 정부가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출산율 상승을 위한 이성애 시공간적 규범성의 공간전략으로 채택했음을 드러냈다. 본 논문은 우리에게 익숙한 가족의 형성이 이성애규범성이라는 섹슈얼리티 프로젝트임을 드러내면서 이에 따른 시공간의 규범이 몸을 제약하는 과정을 ‘이성애 시공간적 규범성’이라는 명명을 통해 기술하였다.


    This paper combines heteronormativity and spatiotemporal discourse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ublic rental housing provid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utilized for the reproductive project of promoting marriage and fertility. In recent years,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in South Korea have shifted toward targeting bodies more prone to marriage and childbearing, such as young adults and newlyweds. By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public rental housing targets, this paper examines the operation of heteronormative norms as a mechanism for governing life, such as how young adults are hierarchized as relatively abnormal and immature than newlyweds based on their distance from the heteronormative life cycle of family formation and childbirth, and are provided with differential spaces accordingly.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words happiness and hope attached to public rental housing, this paper confirms that heteronormative happiness schemes of home, childbirth, and future happiness are implemented through the space of home. In so doing, we aim to show that the private space of home is actively mobilized as a policy instrument as a public good and that the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is arbitrary. Finally, by analyzing the Housing Welfare Roadmap policy, the paper reveals that the government has adopted th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as a spatial strategy of heterosexual spatiotemporal normativity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This paper shows that the taken for granted notion of family formation is a sexuality project based on heterosexual normativity and describes the process by which spatial and temporal norms constrain the body through the concept of ‘heterosexual spatiotemporal normativity’.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에서 ‘문화경관’ 범주와 세부 유형의 설계

    A Pilot Study on the Design of th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in 「Cultural Heritage Act」 of Korea

    전종한

    Jong Han Jeon

    이 연구는 2024년 5월 17일 발효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에서 ‘문화경관’ 범주의 신설 방안과 잠재적 세부 유형들을 탐구한 것이다. 199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의회가 채택한 ‘세계유산 …

    This study explored the design and subcategories of th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in 「Cultural Heritage Act」 of Korea, which came into effect …

    + READ MORE
    이 연구는 2024년 5월 17일 발효된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에서 ‘문화경관’ 범주의 신설 방안과 잠재적 세부 유형들을 탐구한 것이다. 199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의회가 채택한 ‘세계유산 문화경관’(WHCLs)은 인류의 헤리티지를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으로 양분하던 이분법적 관점을 극복하고 자연과 인간의 합작품, 즉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담은 유산을 세계유산의 새로운 유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세계문화유산 개념의 갱신과 확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때의 문화경관 개념은 정확히 지리학에서 차용한 것으로, 글로벌 헤리티지를 인식함에 있어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중간면, 유형문화와 무형문화의 결합면,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습합지대를 감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와 비교해 오늘날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은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체제를 국제 기준으로 표방하면서도 문화경관 범주의 인식이 부재한 실정이다. 심지어 「문화유산법」에서 다루어야 할 문화경관 관련 내용은 「자연유산법」에 잘못 들어가 있고, 일부 용어의 표현상 오류도 있다. 우리나라 「문화유산법」에서 문화경관 범주를 설정하는 일은 글로벌 헤리티지 맥락에서 한국적 문화경관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재발견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일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design and subcategories of th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in 「Cultural Heritage Act」 of Korea, which came into effect on May 17, 2024. Th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WHCLs), adopted by the UNESCO in 1992, overcomes the dichotomous perspective that divided world heritage into natural heritage and cultural heritage, and recognizes the combined works of nature and man, that is, heritage cont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man and nature, as World Heritage. This new type of heritage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newal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world cultural heritage.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by UNESCO was borrowed precisely from geography. In UNESCO's heritage recognition, the WHCLs made it possible to detect the interface between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the joining point of tangible culture and intangible culture, and the convergence zone of biologic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In contrast, today's Korean 「Cultural Heritage Act」 advocates UNESCO's World Heritage system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but lack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Even some cultural landscape-related content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Cultural Heritage Act is incorrectly included in the Natural Heritage Act, and there are errors in the expression of key terms. Introducing th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in 「Cultural Heritage Act」 will provid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ediscovering the uniqueness and diversity of the Korean cultural landscapes in the context of the diversity of world heritages.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한반도 겨울철 기온 변동의 주기성 변화

    Changing Periodicity of the Winter Temperature Vari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윤상현, 강남영

    Sanghyeon Yun, Namyoung Kang

    본 연구는 최근 기후 평년 기간(1991~2020년) 동안의 지상 기온 자료에 대한 웨이블릿 변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한반도 겨울철(12~2월) 기온 변동의 주기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

    By using wavelet transfor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iodicity of winter temperature vari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reflecting recent climate trends. The …

    + READ MORE
    본 연구는 최근 기후 평년 기간(1991~2020년) 동안의 지상 기온 자료에 대한 웨이블릿 변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한반도 겨울철(12~2월) 기온 변동의 주기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주기가 엘니뇨-남방진동(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및 지구온난화에 어떻게 반응 하는지 진단하였다. 결과적으로 ENSO에 따른 겨울철 기온 변동은 엘니뇨와 라니냐 두 시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엘니뇨 시기에 10일 이상의 장주기가 우세한 반면 라니냐 시기에는 1주일의 경험적인 주기를 포함하는 10일 이내 주기의 변동이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온난해지는 최근 기후에서 한반도 겨울철 기온의 주기는 과거에 비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O와 지구 온난 정도가 조합하여 보다 세부적인 환경에 대해 그 반응을 분석한 결과, 온난한 라니냐 환경에서 겨울철 기온 변동 주기성은 특히 상대적으로 짧은 5-6일 구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y using wavelet transfor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iodicity of winter temperature vari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reflecting recent climate trends. The winter temperatures in the Korean Peninsula exhibit large fluctuations depending on the variability of the Arctic Oscillation and the Siberian High. We examine the periodicity of the winter temperatur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ow these periods respond to ENSO and global warming. It is confirmed that the variability of winter temperatures shows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ENSO status. In an El Niño environment, the wavelet power shows that the periodicity is likely to be longer than of 10 days, whereas the La Niña environment exhibits the shoter periodicity. Furthermore, a warmer environment tends to extend the periodicity during the study period (1991~2020). Whe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combined with ENSO and global warming, th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shorter-term periodicity of 5 to 6 days are found under the warm La Niña conditions.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산림 토양 탄소 저장량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표본 조사 설계 및 환경상관성

    Effective Sampling Design for Assessing Forest Soil Carbon Stocks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s

    정관용, 심우진, 이종명, 지동훈

    Gwanyong Jeong, Woojin Shim, Jongmyoung Lee, DongHun Ji

    이 연구는 표본 조사 방법에 따른 토양 탄소 저장량의 차이와 환경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탄소 저장량 파악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carbon stocks based on sampling methods and their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The …

    + READ MORE
    이 연구는 표본 조사 방법에 따른 토양 탄소 저장량의 차이와 환경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탄소 저장량 파악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표본 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양주 산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심표본점과 부표본점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중심표본점 데이터의 평균 단위 탄소 저장량이 모든 깊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조사 방법별로 탄소 저장량이 과소, 과대 추정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토양 깊이 0-30cm와 0-100cm의 탄소 단위 저장량 차이는 약 1.48kg/m2, 총 탄소 저장량의 차이는 약 41만 톤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 깊이에 따라 산림 토양의 탄소 저장량이 크게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건부 라틴 하이퍼큐브 샘플링(conditioned Latin Hypercube Sampling)을 적용하여 조사 시 접근성에 따른 효율성과 가능성을 파악했고, 최소 표본 개수를 산정하여 전국 단위 조사를 위한 적절한 표본 개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토양 탄소 저장량 평가와 예측을 위해서는 중심표본점과 부표본점을 모두 조사하는 반복 조사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cLHS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표본 조사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carbon stocks based on sampling methods and their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average unit carbon stocks from central sample points was higher at all depths compared to the central sample point with sub-sample points. Through this find, it was identified that carbon stocks can be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When comparing carbon stocks based on soil depth, the difference in carbon unit stocks between 0-30 cm and 0-100 cm depths was approximately 1.48 kg/m2, resulting in a total carbon storage difference of around 410,000 tons. This indicates that deeper soil depths reveal more forest soil carbon stocks. Furthermore, conditional Latin Hypercube Sampling was applied to assess efficiency and feasibility based on accessibility. To achieve more accurate soil carbon stock assessment and prediction, repeated surveys covering both central and sub-sample points are necessary. Implementing conditioned Latin Hypercube Sampling (cLHS) during this process can lead to a more efficient design and execution of soil sampling.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우리나라 인구이동 데이터의 다양성과 상호보완성에 관한 연구- 주민등록과 등록센서스 데이터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Variety and Complementarity of Migration Data in South Korea: A Comparison of Resident Register and Register-Based Census Data

    이상일, 조대헌

    Sang-Il Lee, Deaheon Cho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이동 데이터와 등록센서스 인구이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장단점과 상호보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인구이동 데이터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strengths, weaknesses, and complementarities of two migration data sources in South …

    + READ MORE
    본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이동 데이터와 등록센서스 인구이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장단점과 상호보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인구이동 데이터 분류 범주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진행하였고, 분류 범주를 크게 수집 프레임워크, 시간 프레임워크, 공간 프레임워크, 속성 프레임워크에 의거해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의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인구이동 데이터(전통센서스, 주민등록, 등록센서스)의 특성을 이러한 분류 범주에 의거해 비교하였다. 이들 중 주민등록 데이터와 등록센서스 데이터를 선정하여, 총이동량 및 총이동률, 이동자의 인구구조, 시도간 전출입 플로, 지역별 순이동의 측면에서 면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구추계에 있어서 등록센서스 데이터가 주민등록 데이터를 위한 보완적 혹은 대체적 원천으로서 어느 정도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했다. 두 데이터 원천은 인구이동 포착성이라는 측면에서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등록센서스 데이터는 주민등록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젊은 층의 이동성에 대한 과소추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구추계를 위한 보완적 데이터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히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strengths, weaknesses, and complementarities of two migration data sources in South Korea: the resident register migration data and the register-based census migration data. To achieve this, we first conducted a conceptual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of migration data, organizing these categories into the collection, temporal, spatial, and attribute framework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migration data sets in South Korea (traditional census, resident register, and register-based census) using these classification categories. For a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we focused on the resident register data and the register-based census data, examining total migration volume and rate, demographic structure of migrants, inter-regional migration flows, and net migration by region. Our analysis aimed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register-based census data can complement or serve as an alternative to resident register data for population projections. The study found that both data sources have uniqu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apturing population mobility and can be complementary. Notably, register-based census data provides significant value as a supplementary source for population projections, particularly in addressing the underestimation of youth migration in resident register data.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첨단전략산업의 공간분포와 특화단지 민간투자 효과의 지역 배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Advanced Manufacturing and Regional Allocation of Private Investment Effects in Specialized Complex

    우한성

    Hansoun Woo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균형 거점 개발과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첨단전략산업 육성 전략에 집중하여 다차원적인 실증 …

    In this study, a multidimensional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urrent government’s advanced manufacturing promotion strategy, which is aimed at …

    + READ MORE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균형 거점 개발과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첨단전략산업 육성 전략에 집중하여 다차원적인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의 첨단전략산업 육성 전략 기획 및 추진을 지탱하는 몇 가지 중요 가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첨단전략산업군의 성장 잠재력이 전국적으로 분포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한 결과 이차전지, 미래차, 바이오, 로봇 등 일부 첨단전략산업군의 경우 다지역에 확산된 형태의 공간분포 패턴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첨단전략산업 활성화 가능성이 제조업 기반이 견고한 전통 산업지역에서 높을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한 결과는 산업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며 복합적인 양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정부의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민간투자의 생산유발효과가 역내 기초지자체 수준에서 배분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부 권역은 생산유발효과가 역내 비특화지역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보였고, 반면 비수도권 대부분의 권역에서는 역내 특화지역에 생산유발효과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multidimensional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urrent government’s advanced manufacturing promotion strategy, which is aimed at developing balanced growth hubs and reducing regional disparities. By doing so, this research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several important assumptions underlying the government’s advanced manufacturing promotion strategy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search examined the assumption that the growth potential of advanced manufacturing would be distributed nationwide. Then, it was found that certain industries of advanced manufacturing, such as secondary batteries, future vehicles, biotechnology, and robotics, exhibited a spreading pattern of spatial distribution across multiple regions. Second, the assumption that the potential for fostering advanced manufacturing would be higher in traditional industrial areas with a robust manufacturing base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varied by industry type and showed a complex pattern. Third, it analyzed how private investment effects following the government’s designation of specialized complexes for advanced manufacturing are allocated at a basic local government level.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in some region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stemming from private investment spread out to non-specialized areas within the region, while in most non-metropolitan areas, those effects were concentrated in the specialized areas within the region.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신자유주의 도시화와 도시 인클로저(III)- 주택의 금융화와 인클로저 -

    Neoliberal Urbanization and Urban Enclosure(III): Financialization of Housing and Enclosure

    김용창

    Yongchang Kim

    이 논문은 현대의 다양한 인클로저 가운데 주택의 금융적 인클로저가 고도화된 자본주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새로운 인클로저임을 분석한다. 금융위기 해결 과정에서 국가는 사회적 …

    This paper analyses that among various contemporary enclosures, the financial enclosure of housing is a typical new enclosure that emerges in the …

    + READ MORE
    이 논문은 현대의 다양한 인클로저 가운데 주택의 금융적 인클로저가 고도화된 자본주의 단계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새로운 인클로저임을 분석한다. 금융위기 해결 과정에서 국가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채권강제감축이나 모기지 공용수용 방법을 배제하였던 반면에, 금융화와 증권화 방법을 통해 대규모 사모펀드를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에게 새로운 이윤추구의 길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금융위기의 주범인 월스트리트를 다시 주택 사냥꾼으로 활용하는 역설을 낳으며, 전에 없이 단독주택이 새로운 상품화와 증권화의 대상이 되었고, 주택 인클로저가 촉진되었다. 이를 계기로 단독임대주택 시장이 본격적인 기관투자가의 투자대상이 되었고, 새로운 대토지소유형태로서 금융화된 지주, 글로벌 기업형 임대주택사업자가 부상하였다. 이러한 금융적 주택 인클로저는 마르크스가 난폭한 테러리즘이라고 부른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오늘날 도시개발의 사적공용수용, 주택의 금융화에 기반하여 전개되는 인클로저는 본원적 축적의 대표적인 수단이자 현대 자본주의에서도 지속되는 과정이며, 착취와 수탈의 원리는 자본축적 과정에서 변증법적 관계에 있는 자본주의 진화원리이다.


    This paper analyses that among various contemporary enclosures, the financial enclosure of housing is a typical new enclosure that emerges in the advanced stage of capitalism. As a strategy for solving the financial crisis, the state excluded methods such as mortgage strip-down or eminent domain solutions for underwater mortgage deb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t the same time, the financialisation and securitisation system, with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state, provided a new way of profiting for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large private equity funds. This created a paradox in which Wall Street, the main culprit of the financial crisis, was again used as an opportunity to grab housing, and single-family housing became the target of new commodification and securitization, and housing enclosure was promoted. Subsequently, the single-family rental market became a major target for institutional investors, giving rise to financialised landlords and global corporate landlords as a new form of large-scale land ownership. These financialised housing enclosur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at Marx called reckless terrorism. Today, the enclosure developed in the public-private takings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financialisation of housing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primitive accumulation, an ongoing process in contemporary capitalism, where the principles of exploitation and expropriation are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i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부르디외(Bourdieu) 사회공간의 지리학적 탐색- 음식 고르기 취향을 중심으로 -

    Exploring Bourdieu’s Social Space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이영아

    Young A Lee

    본 논문은 신체를 음식 고르기라는 관습적 행위를 하는 최소 단위 사회공간이라는 구조화된 틀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지리학의 연구 대상인 사회공간 개념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

    This paper aims to concretize the concept of social space, a main research subject in social geography,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

    + READ MORE
    본 논문은 신체를 음식 고르기라는 관습적 행위를 하는 최소 단위 사회공간이라는 구조화된 틀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지리학의 연구 대상인 사회공간 개념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음식을 고르는 개인의 신체를 행위의 주체이자 최소 단위 사회공간으로 정의하고, Bourdieu의 사회공간 개념을 보완하여 특정 행위에 작동하는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공간적 특성이 결합된 최소 단위 사회공간을 구조화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음식을 고르는 기준 중 ‘저렴한 음식’, ‘건강한 음식’, ‘간편한 음식’이 사회공간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음식 소비의 차이를 발생시킨 사회공간 특성은 경제자본, 사회자본, 공간적 특성이었으며, 문화자본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제자본의 경우 소득보다는 재산 규모가 음식 선택 차이와 관련이 있었으며, 사회자본은 주로 혼자 식사하는 경우와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경우, 또한 세대 간 음식 선택에서 차이가 있었다. 공간적 특성 중 입지는 서울 동지역과 농촌 읍·면 지역 거주자 간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음식을 먹기 위한 이동이 도보권 내에서 이루어지는가 여부에 따라 음식 고르기 행위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음식 고르기 행위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신체 단위의 사회공간이 단선적이고 구조적으로 특정 행위의 조건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행위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점을 최소 단위 사회공간의 작동 방식으로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concretize the concept of social space, a main research subject in social geography,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food selection through the structuralized framework of social space focused on the body. To this end, the individual actor is defined as both the agent of action and the smallest social space. By supplementing Bourdieu's social space, the paper makes a framework of social space at the body level, incorporat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urvey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riteria for choosing food - 'affordable food,' 'healthy food,' and 'convenient food' -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economic capital, social capit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cultural capital. Regarding economic capital, the scale of wealth rather than income was more relevant to differences in food choice. Social capital differences were observed mainly between dining alone and dining with family, as well as among generations. As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of food selection were prominent between residents of Seoul and rural areas. Walking distance to access favorable food was also noticeable. Through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practice of selecting food, this paper elucidates that action and the body as sociospatial entities are interconnect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structuralize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depending on the context.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농촌 지역에서 지리답사 실천하기 - 경남의 한 고등학교 주변을 사례로 -

    Practicing Geographical Fieldwork in Rural Areas: The Case of the Neighborhood of a High School in Gyeongsangnam-do

    이호욱

    Howook Lee

    본 연구는 경남의 농촌 지역에 있는 한 고등학교 주변에서 수업 시간에 지리답사를 실천하며 경험한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지형적 환경, 관개 농업을 위한 …

    This study analyzed instances in which the researcher engaged in geographical fieldwork class in the vicinity of a rural high school in …

    + READ MORE
    본 연구는 경남의 농촌 지역에 있는 한 고등학교 주변에서 수업 시간에 지리답사를 실천하며 경험한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지형적 환경, 관개 농업을 위한 시설, 농촌 마을의 특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답사 주제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학교 주변 답사의 긍정적 효과와 이에 대한 관심의 필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 분야를 모두 살펴볼 수 있는 답사 장소로서 농촌의 매력, 답사에서 지리적 관계성을 고려할 수 있는 사례의 검토, 답사를 통한 긍정적인 개인 지리의 형성 등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서 시도할 수 있는 지리답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답사의 내용과 활동을 다른 학교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참고 사례를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instances in which the researcher engaged in geographical fieldwork class in the vicinity of a rural high school in Gyeongsangnam-do. A range of fieldwork topics were addressed, focusing on the topographical environment, irrigation infra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Discussions also covered the benefits of conducting fieldwork in the neighborhood of school and the need for paying attention to them, the appeal of rural areas as suitable sites for fieldwork exploring both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reviewing cases where geographical relationships can be examined during fieldwork,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ersonal geography through fieldwor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arrying out geographical fieldwork in rural areas, and to provide reference cases that can be used to apply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is fieldwork in other schools.

    - COLLAPSE
    31 August 2024
  • Research Article

    청년인구 일상 활동 영역과 행복주택 입지의 공간적 불일치에 관한 연구

    Unveiling Spatial Disparities between Public Rental Housing and Young People’s Daily Activity Spaces

    이승연, 황태건, 이원도, 황철수

    Seungyeon Lee, Taekeon Hwang, Won Do Lee, Chul Sue Hwang

    지속적인 비수도권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과 전세가 상승은 청년인구의 주거 불안정성을 심화하였다. 정부는 청년인구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자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위치에 공공임대주택, …

    The continuous influx of youth from non-capital areas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ise in Jeonse prices have exacerbated housing instability …

    + READ MORE
    지속적인 비수도권 청년층의 수도권 유입과 전세가 상승은 청년인구의 주거 불안정성을 심화하였다. 정부는 청년인구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자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직주근접이 가능한 위치에 공공임대주택, 일명 청년·행복주택 공급을 확대하였다. 하지만, 청년·행복주택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청년인구의 실질적인 일상 활동 영역을 고려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공급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도권 시군구별로 공급된 청년·행복주택 물량과 청년인구 이동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간적 유사성을 살펴본 결과, 청년인구의 이동 패턴과 청년·행복주택 공급 간 공간적 불일치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서울은 공급 부족에 따른 추가적인 공급 대책이, 인천은 공급 초과에 따른 공실 대책이, 그리고 경기는 남부와 북부의 공급 현황이 상이하여 각 지역 현황에 따른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청년인구를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형평성을 정량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후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정책을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tinuous influx of youth from non-capital areas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ise in Jeonse prices have exacerbated housing instability among young people. To address this issue, the government expanded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known as Happy Housing, in locations with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and proximity to workplaces. However, problems with supply equity arose because the actual daily activity areas of young people were not considered in the supply process.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similarities between the various youth mobility data and Happy Housing suppli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indicate a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movement patterns of young people and Happy Housing supply. Specifically, Seoul requires additional supply measures due to a shortage, Incheon needs to address vacancies because of oversupply, and Gyeonggi Province requires tailored strategies for the differing supply condition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quantitative basis for evaluating and managing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for young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 COLLAPSE
    31 August 2024
  • Book Review

  • Book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