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56, Issue 6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21. pp. 567-584
Abstract
References
1
강현수・이희상(역), 2014, 모빌리티, 아카넷, 서울 (Urry, J., 2007, Mobilties, Polity Press, Cambridge).
2
김미령, 2005,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7(1), 193-217.
3
김부헌・이승철, 2019,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381-404.
4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공간과 사회, 40, 114-158.
5
김성경, 2013,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ʻ감각ʼ되는 ʻ장소ʼ와 북한이탈여성의 ʻ젠더ʼ화된 장소 감각," 한국사회학, 47(1), 221-253.
6
김성경, 2018, "북한 출신자와 '사회 만들기': 호혜성과 환대의 가능성," 문화와 정치, 5(1), 43-74. 10.22539/culpol.2018.5.1.43
7
김종원, 2019, "북한이탈주민의 재이주: 남한주민의 정치 인식을 중심으로," 글로벌정치연구, 12(1), 41-65. 10.35773/JGP.2019.12.1.41
8
나근호, 2019, "통일대비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통일전략, 19(2), 119-147. 10.17926/kaolp.2019.19.4.119
9
독고순, 2001, "탈북 주민의 가치 정향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학, 35(1), 149-174.
10
민희, 2018,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서적 상태, 소셜 미디어 이용 그리고 남한생활 만족도," 정보화정책, 25(2), 67-83.
11
박배균, 2009,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616-634.
12
박윤숙・윤인진, 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1), 124-155.
13
박채순, 2011,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유입과 적응 실태 연구: 서울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 5(2), 63-88.
14
박호선, 2004,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지원 현황과 개선 방안," 국제정치연구, 7(2), 1-24.
15
백일순・정현주・홍승표, 2020,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대한지리학회지, 55(5), 521-540.
16
손명아・김석호, 2017,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0(1), 57-81.
17
신효숙・김창환・왕영민, 2016, "북한주민,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시공간적 경험 공유 집단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속성 재해석," 통일인문학, 67, 41-80.
18
염유식・김여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회학, 45(2), 91-129.
19
오인혜, 2016, "탈북자의 토포필리아와 사회적 의미," 공간과 사회, 56, 264-299.
20
윤신희・노시학, 2015, "새로운 모빌리티스(New Mobilities)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토지리학회지, 49(4), 491-503.
21
이수정, 2019a, "재영 북한 이주민의 영국 난민정책 경험과 그 함의," 통일연구, 23(2), 115-163.
22
이수정, 2019b, "영국 거주 북한이주민의 고국 정치," 한국과 국제정치, 35(4), 1-37. 10.17331/kwp.2019.35.4.001
23
이수정, 2020, "'탈북자'에서 '사회적 가장'으로: '젠더화된 초국적 이주'의 관점에서 살펴 본 영국 거주 북한이주남성들의 이주 경험과 사회 활동의 의미," 현대사회와 다문화, 10(2), 177-213. 10.35281/cms.2020.05.10.2.177
24
이수정・이우영, 2014. "영국 뉴몰든 코리아 타운 내 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의 관계와 상호 인식," 북한연구학회보, 18(1), 137-174.
25
이용균, 2015,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에 대한 지리학적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147-159.
26
이제우, 2017, 북한의 신분・공민・주민등록제도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7
이희상, 2012, "모빌리티 서평," 공간과사회, 22(2), 184-193.
28
정연형, 2020, 북한이탈주민의 이주 경험에 따른 사회지리관계망의 차별적 형성,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천현, 2021, 탈북자, 보리, 파주.
30
진미정・김상하, 2018,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 특성과 유형," 대한가정학회지, 56(3), 317-330.
31
최정호・박선미, 2013,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과 영향 요인: 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71-85.
32
최정호・박선미, 2014, "북한이탈주민 사회연결망 특성이 거주지 선택에 미친 영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83-98.
33
Kwan, M.-P., and Schwanen, T., 2016, Geographies of mobility,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106(2), 243-256.
34
Sheller, M., and Urry, J., 2006, The new mobilities paradigm,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2), 207-226. 10.1068/a37268
35
Shin, H., 2017, The territoriality of ethnic enclaves: dynamics of transnational practices and geopolitical relations within and beyond a Korean transnational enclave in New Malden, London, Annal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108(3), 756-772. 10.1080/24694452.2017.1372176
36
Song, J. J., and Bell, M., 2018, North Korean secondary asylum in the UK, Migration Studies, 7(2), 160-179. 10.1093/migration/mnx074

[통계자료]

1
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
2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
3
남북하나재단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nkrf_blog/
4
통계청, http://kosis.kr/
5
통일부, 2020, 202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14-123. 10.7560/320167-026
6
통일부, https://www.unikorea.go.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6
  • No :6
  • Pages :567-584
  • Received Date : 2021-09-27
  • Revised Date : 2021-10-27
  • Accepted Date : 202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