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59, Issue 5

Research Article

31 October 2024. pp. 591-608
Abstract
References
1

권규상, 2021, "도시 내 다중심성이 도시 어메니티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56(3), 311-323.

2

김감영, 2011, "GWR과 공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한 중심지 식별: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73-86.

3

김기희・배진한, 2018, 4차 산업혁명시대 대전 중소 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기본연구 2018-03), 대전세종연구원, 대전.

4

김남희, 2018, "이중의 도시, 이중의 근대," 중국문화연구, 39, 201-220.

10.18212/cccs.2018..39.009
5

김성준・안건혁, 2013, "신도시 조성 이후 신・구도시의 계층변화 및 양극화ᆞ: 성남시 사례,"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1), 53-66.

6

김시열, 2021, 구매력 및 교통량O/D 기반의 신도시 상업용지 소요면적 추정 모델 개발,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란・서연미・정유선, 2020, 지역 상생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연계형 원도심 재생 방안 연구 (기본 20-02), 국토연구원, 세종.

8

김인, 1986, 현대인문지리학: 인간과 공간조직, 법문사, 서울.

9

김종근, 2010,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 38, 1-68.

10

김희철・안건혁, "2012, 연결망 이론으로 본 인구, 고용, 사회적 자본과 서울 대도시권 중심성 사이의 관계," 국토계획, 47(3), 105-122.

11

박지은, 2019, "부산시 지가 분포의 특성과 중심지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3(3), 295-309.

12

박지환, 2003, 분당신도시의 사회적 생산과 구성: 공간과 계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변창흠, 2014, "신개발주의의 구조적 특성과 유산 극복을 위한 정책 - 민선 3기와 4기 서울시정을 사례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5, 13-50.

14

서형주・박인권, 2022, "도농통합에 따른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의 중심성변화: 강원도 도농통합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3), 1-26.

15

손정렬, 2023, "외국인 거주의 공간적 집중 양상에 대한 이중도시적 및 문화 모자이크적 시선: 이론적 고찰과 서울에 대한 시론적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1), 60-80.

10.26863/JKARG.2023.2.29.1.60
16

안국현・이명훈, 2006, "수도권 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신도시 소재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3), 233-254.

17

엄현태・우명제, 2015, "신시가지 개발을 동반한 도시스프롤이 중심도시 쇠퇴에 미치는 영향: 지역차원의 도시재생정책에 대한 시사점," 국토계획, 50(6), 103-114.

18

유재윤・진영효, 2001, 도시개발비용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연 2001-16), 국토연구원, 안양.

19

윤상우, 2009,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화: 국가의 성격변화와 정책대응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83, 40-68.

20

이범현, 2012, 지방중소도시 쇠퇴현상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수기・주미진・하재현, 2015,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 (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5), 5-23.

22

이수빈・남진, 2021, "서울시 도시공간 중심성의 변화와 그 요인분석: 2011년과 2019년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6(6), 22-35.

10.17208/jkpa.2021.11.56.6.22
23

이윤미, 2012, 지가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의 중심성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재복・안재섭, 2021, "남악신도시 사례를 통한 도청 이전(移轉) 신도시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10(1), 107-118.

10.25202/JAKG.10.1.7
25

이종필, 2021, "[부산 혁신도시와 공공기관 추가 이전] 여・야 대선공약에 공공기관 추가 이전 포함시키고 유치 대상 기관과 접촉면 늘려 이전계획 진행 대비," 부산발전포럼 192, 50-55.

26

임병호, 2020, "도시의 중심성과 연관성에 기초한 지역의 공간구조 설정방법 및 탐색적 적용에 관한 연구: 충청권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 (3), 1-20.

27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365-386.

28

장준상・이창무, 2006,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43-56.

29

정기선・강동관・오정은・조영희・최서리・오인규・김혁래, 2012, 경기도내 외국인 밀집지역 현황 분석 및 의제 발굴(연구보고서 2012-01), IOM 이민정책연구원, 고양.

30

정다운・김흥순, 2010,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03-116.

31

정선영, 2013, "우리나라 생산자서비스업의 생산성 결정요인: 사업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6(4), 1659-1690.

32

주현태・이창무・이진호・신혜영, 2016,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분당과 주변도시의 상업중심성 변화과정," 국토계획, 51(6), 39-58.

10.17208/jkpa.2016.11.51.6.39
33

조명래, 2005, 한국 개발주의의 역사와 현주소, 최병두・홍성태・조명래・정규호・우석훈・이경재・오관영・최지훈 (편), 新개발주의를 멈춰라, 서울: 환경과 생명.

34

지주형, 2013, "한국의 국가 발전: 개발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3-211.

35

홍성호・이정민, 2023, "도시-지역의 기능적 다중심성 이론 고찰 및 광역권 실증 분석: 충청권을 사례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3(4), 61-82.

10.22340/seps.2023.11.13.4.61
36

행정안전부, 2023,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 226만 명, 총인구 대비 4.4%, 최대규모 기록,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44511, 2024년 4월 16일 접속.

37

Fahlberg, A. and Vicino, T. J., 2016, Breaking the city: militarization and segregation in Rio de Janeiro, Habitat International, 54, 10-17.

10.1016/j.habitatint.2015.08.042
38

Garrido, M., 2013, The ideology of the dual city: the modernist ethic in the corporate development of Makati City, Metro Manil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1), 165-185.

10.1111/j.1468-2427.2011.01100.x
39

González-Pérez, J. M., Remond-Roa, R., Rullan-Salamanca, O., Vives-Miró, S., 2016, Urban growth and dual tourist city in the Caribbean. Urbanization in the hinterlands of the tourist destinations of Varadero (Cuba) and Bávaro-Punta Cana (Dominican Republic), Habitat International, 58, 59-74.

10.1016/j.habitatint.2016.09.007
40

Marcuse, P., 1989, 'Dual city': a muddy metaphor for a quartered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13(4), 697-708.

10.1111/j.1468-2427.1989.tb00142.x
41

Mollenkopf, J. H. and Castells, M., 1991, Dual City: Restructuring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New York City, NY.

42

Mooney, G. and Danson, M., 1997, Beyond "Culture City": glasgow as a "Dual City", in Jewson, N. and MacGregor, S.(eds.), Transforming Cities: Contested Governance and New Spatial Divisions, Routledge, London.

43

Mukhtar-Landgren, D., 2008, City Marketing in a dual city: discourses of Progress and Problems in post-industrial Malmö, In Petersson, B. and Tyler, K.(eds.), Majority Cultures and the Everyday Politics of Ethnic Difference - Whose House is This?, Palgrave MacMillan, Chippenham, UK.

10.1057/9780230582644_4
44

Park, C. S., 2008, Colonial Modernity and the Making of Mokpo as a Dual City, Korea Journal, 48(3), 138-166.

10.25024/kj.2008.48.3.104
45

Reichl, A. J., 2007, Rethinking the dual city, Urban Affairs Review, 42(5), 659-687.

10.1177/1078087406298118
46

Sassen, S., 1991, The Global City: New York, London, Tokyo,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47

Silverman, R. M., 2020, Rethinking shrinking cities: peripheral dual cities have arrived, Journal of Urban Affairs, 42(3), 294-311.

10.1080/07352166.2018.1448226
48

Van Kempen, E. T., 1994, The dual city and the poor: social polarisation, social segregation and life chances, Urban Studies, 31(7), 995-1015.

10.1080/00420989420080911
49

Wheeler, J. O., 1986, Corporate Spatial Links with Financial Institutions: the role of the metropolitan hierarch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6(2), 262-274.

10.1111/j.1467-8306.1986.tb00116.x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9
  • No :5
  • Pages :591-608
  • Received Date : 2024-08-16
  • Revised Date : 2024-10-03
  • Accepted Date :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