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59,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4. pp. 143-162
Abstract
References
1

강정원, 2020,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산림법 제정과 녹화사업," 한국근현대사연구, 92, 143-173.

2

건설부, 1965, 지리산지역종합계발계획조사보고서.

3

건설부, 1966, 한국국립공원후보지자료.

4

건설부, 1967, 지리산국립공원기본조사보고서.

5

건설부, 1973, 한국의 국토개발계획.

6

경상남도 함양군, 1968a, 지리산국립공원계획(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224873).

7

경상남도 함양군, 1968b, 지리산국립공원계획서제출(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224873).

8

공보부, 1967, 관보 제4588호(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0190365).

9

공보처 홍보국 사진담당관, 1965, 박정희대통령지리산개발관계보고청취 1, 2(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CET0028406).

10

국립공원공단, 2019, 지리산국립공원 50년사, 지리산국립공원본부.

1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국립공원 30년사(1967~1997).

12

권혜윤, 2022 지리산국립공원과 마을 주민의 자연 보호 관념과 실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수자, 2018, "제1공화국 시기 장충단공원의 정체성의 변형 과정," 한국문화연구, 34, 279-305.

14

김수자, 2020,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푸른 산' 조성과 경제・생태 인식: <대한뉴스>의 '식목일', '산림녹화' 행사를 중심으로," 탈경계인문학Trans-Humanities, 13(2), 91-112.

15

김준수, 2018,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국가-자연' 관계의 재조정: 감응의 통치를 통해 바라본 도시 비둘기," 공간과 사회, 28(1), 55-100.

16

김준수, 2019, "한강의 생산: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인간 너머의 물 경관," 공간과 사회, 29(1), 93-155.

17

김지영, 2021a,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 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를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3(1), 106-133.

18

김지영, 2021b, "'일제'의 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로 본 '제2의 자연'으로서의 금강산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6(3), 289-310.

19

대한민국정부, 1971,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20

문교부, 1951, 국립공원설치에관한건(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135106).

21

문동규・박찬모 편, 2017, 지리산과 구례연하반,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2

문화재관리국, 1967, (天然保護區域)雪嶽山.

23

박찬모, 2017, "일제강점기 지리산과 '국립공원'," 지리산과 구례연하반,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4

법제실, 1959, 국립공원법(안)(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 085188).

25

성나연・전봉희, 2021, "1930년대 금강산 국립공원 추진 계획의 경과와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8), 101-112.

26

소병천, 2011, "자연공원법에 대한 소고," 환경법연구, 33(2): 218-241.

27

우종수, 2017, "1장 구례연하반과 지리산국립공원 지정운동," 지리산과 구례연하반,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8

이주영, 2015, "한국의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립을 통해서 본 발전국가론 '계획 합리성' 비판," 공간과 사회, 25(3), 11-54.

29

임송자, 2017, "지리산 도벌사건과 산림정책의 변화," 人文科學, 64, 109-151.

10.31310/HUM.064.04
30

전라남도, 1968, 지리산국립공원관리(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BA0008584)

31

지리산지역개발조사연구위원회, 1963, 地異山地域開發에關한調査報告書.

32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 '관광객의 시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33

진종헌. 2016, "발전의 상징경관으로서의 '푸른 산' -산림녹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0(4), 539-548.

34

한국국립공원협회, 1974, 韓國의 國立公園. 建設部.

35

현병관, 2022, 한국 국립공원 제도 도입과 초기 공원 지정 과정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황진태, 2018, "남북한 정치지도자들의 스펙터클 정치와 새로운 '국가-자연'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3(5), 589-604.

37

황진태, 2019, "박정희 정권기 국립영상에 재현된 '국가-자연' :소양강댐을 사례로," 지역사회학, 20(1), 91-118.

38

황진태・박배균, 2013,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대한지리학회지, 48(3), 348-365.

39

Adams, W., 2020, Geographies of conservation III: nature's spac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44(4), 789-801.

10.1177/0309132519837779
40

Daniels, S., 1993, Fields of Vision: Landscape Imagery and National Identity i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Polity Press, England.

41

Dilsaver, L. M. and Wyckoff, W., 2005, The political geography of national parks, Pacific Historical Review, 74(2), 237-266.

10.1525/phr.2005.74.2.237
42

Hwang, J. T., 2015, A study of state-nature relations in a developmental state: the water resource policy of the Park Jung-Hee regime, 1961-79,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47(9), 1926-1943.

10.1177/0308518X15594922
43

Hyun, J., 2023, Negotiating conservation and competition: national parks and 'victory-over-communism' diplomacy in South Korea, The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Published online, 1-17.

10.1017/S000708742300031637667898
44

Jin, J., 2005, The transforming sacredness of Mt. Chirisan from an utopian shelter into a modern national park: focused on the escapist lives of 'Mountain Me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2), 172-186.

45

Jin, J., 2009, Paektudaegan: science and colonialism, memory and mapping in Korean high places, in Cosgrove, D. E. and Della Dora, V.(eds.), High Places: Cultural Geographies of Mountains Ice and Science, I.B. Tauris & Co., London.

10.5040/9780755620357.ch-012
46

Ruhle, G. 1968. Advisory Report on National Parks and Reserves for the Republic of Korea, 1966. Special pub. No. 20,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life Protection, New York.

47

Whitehead, M., Jones, R. and Jones, M., 2007, The Nature of the State: Excavating the Political Ecologies of the Modern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0.1093/oso/9780199271894.001.0001
48

경향신문, 새丹裝한南漢山城 國立公園으로開放, 1954.05.18.

49

경향신문, 絕讃받은濟州島의風光, 1962.08.22.

50

경향신문, 우리고장 새해 設計도 慶南, 1963.01.01.

51

경향신문, 智異山 개발「文明의 울타리」 속으로, 1963.12.28.

52

경향신문,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설악산과 한라산을 국립공원으로, 1964.05.16.

53

경향신문, 朴大統領一行 智異山地區 시찰, 1964.09.07.

54

경향신문, 智異山開發전담할 특별기구설치지시, 1964.09.08.

55

경향신문, 死滅의危機에서 保護돼야할, 1965.11.06.

56

경향신문, 설악산에 매머드 조사단, 1966.05.23.,

57

경향신문, 雪嶽山 개발 50萬弗財政원조로 急피치, 1966.05.30.

58

경항신문, 國際自然保存聯盟總會참석 姜永善박사 歸国報告, 1966.07.09.

59

경향신문, 公害로 害로 잃어버린 自然을 되찾자 (3)國立公園의 盲點, 1970.08.11.

60

동아일보, 慶州國立公園 來年度에着工豫定, 1951.12.24.

61

동아일보, 새해의 觀光設計, 1963.01.03.

62

동아일보, 動・植物・鳥類등 雪嶽山天然資源 學術調査착수, 1966.05.25.

63

동아일보, 武裝間諜出沒로 雪嶽山에 禁足令, 1966.05.28.

64

동아일보, 固有의 風致 담을 國立公園, 1966.07.07.

65

조선일보, 國立公園建設함에 條件具備한智異山, 1937.10.04.

66

조선일보, 格오른奬忠壇 國立公園으로再出發, 1947.08.09.

67

조선일보, 6個地에國立公園, 1959.05.11.

68

조선일보, 함부로巨木濫伐, 1959.09.16.

69

조선일보, 濫伐 오늘의 知異山, 1959.09.19.

70

조선일보, 開墾 「붐」! 벌거숭이 智異山, 1962.03.12.

71

조선일보, 요즘의 農村實情, 1962.03.13.

72

조선일보, 國立公園꾸미기로 雪嶽山 漢拏山 黑山島, 1964.02.16.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9
  • No :2
  • Pages :143-162
  • Received Date : 2024-02-14
  • Revised Date : 2024-03-18
  • Accepted Date :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