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59,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4. pp. 559-572
Abstract
References
1

강마야・김종수・김찬규・박경철・송주연・장효안・최민영・허남혁(역), 2016,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리고 지속가능성, 따비, 서울(Woods, M., 2010, Rural, Routledge, London).

2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

3

교육부, 2022,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4

권상철・박경환・부혜진・전종한・정희선・조아라(역), 2014, 현대 촌락지리학: 촌락 재구조화의 과정, 반응, 경험, 시그마프레스, 서울(Woods, M., 2005, Rural Geography: Processes, Responses, and Experiences in Rural Restructuring, SAGE Publications, London).

5

김가혜・신재열,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내 지형 및 생태환경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 진주시 남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117-135.

6

김민성, 2022, "탐구기반 지리답사 기획 프로젝트를 통한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 함양," 한국지리학회지, 11(4), 393-405.

10.25202/JAKG.11.4.1
7

김숙진, 2016, "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51(3), 311-326.

8

류주현, 2012, "근대도시 대전으로의 답사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2), 147-160.

9

모경환・차경수, 2021, 사회과교육, 동문사, 서울.

10

박경환, 2014,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7(1), 57-78.

11

박경환・윤희주・김나리・서태동(역), 2015, 지리 답사란 무엇인가, 푸른길, 서울(Phillips, R. and Johns, J., 2012, Fieldwork for Human Geography, SAGE Publications, London).

12

박선영・김영호, 2019, "야외조사를 통한 고등학교 학생의 지리적 탐구 능력 향상 방안: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8(1), 19-32.

10.25202/JAKG.8.1.2
13

박철웅, 2014, "도시답사에서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질적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2), 65-79.

14

변종민, 2022, "예비교사를 위한 도시 지형답사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리학회지, 11(3), 287-303.

10.25202/JAKG.11.3.2
15

부혜진・손호기・김상범・채혜성, 2018,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교사의 장소경험과 장소감의 관점에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1), 43-62.

10.35149/jakpg.2018.28.1.004
16

서태열, 2005,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 파주.

17

손민석, 2019, 중등학교 해안 지형 학습을 위한 탐구형 야외조사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남해 상주 해안을 사례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안재섭, 2013, "지리-역사 장소 답사를 중심으로 한 학습내용 구성 및 평가 방법: 서울 북촌 한옥마을 답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61-73.

19

양희경, 2003, "중등학생을 위한 하천지형 탐사프로그램 개발: 양재천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0(2), 221-237.

20

오선민・이종원, 2014, "중등학교 지리답사 연구: 목적, 유형, 계획과 제약요소," 한국지리학환경교육학회지, 22(1), 111-130.

10.17279/jkagee.2014.22.1.111
21

이간용, 2016,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의 지리 교육적 함의: G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915-933.

22

이건학, 2014,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국토지리학회지, 48(2), 257-277.

23

이경한(역), 1999, 열린 지리수업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서울(Fien, J., Gerber, R. and Wilson, P., 1984, Geography Teacher's Guide to the Classroom, Macmillan, Melbourne).

24

이민부・김정혁・최훈, 2014, "자연지리 답사를 통한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미호천 유역 하천 지형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21(4), 53-67.

10.16968/JKGA.21.4.4
25

이우평, 2002, Basic 고교생을 위한 지리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서울.

26

이종원, 2020, "지리답사 연구의 동향: 학술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2), 39-56.

27

이종원, 2022, "학습자 중심 지리답사를 위한 교사연수와 실천의 변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0(2), 19-32.

28

이종원・오선민, 2016,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의 설계와 적용: 경주 양동마을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893-914.

29

이종원・오선민・최광희, 2017, "조사형 야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해안사구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129-150.

10.17279/jkagee.2017.25.2.129
30

이종원・허소정, 2018, "야외에서의 데이터 수집활동 참여가 학생들의 이해와 야외답사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4), 99-120.

10.17279/jkagee.2018.26.4.99
31

이호욱, 2024, "진주시 도동 지역의 경관 변화와 지리답사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59(2), 268-282.

10.22776/kgs.2024.59.2.268
32

임은진, 2009, "'실제적 활동(Authentic Activit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지리 수업에의 적용," 사회과교육, 48(4), 1-17.

33

임은진, 2011, "지리과 야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4), 39-51.

10.35149/jakpg.2011.21.4.004
34

조상균, 2008, 효과적인 지역지리 학습을 위한 야외답사의 설계: 광양만권 지역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조성욱, 2002, "지리교육에서 주변지역학습의 교육적 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25-39.

36

조철기, 2022, 지리교육학, 개정판, 푸른길, 서울.

37

홍금수, 2017, "밀양강 하류의 저습지 개간," 대한지리학회지, 52(6), 763-796.

38

황홍섭・박지수, 2018,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의 개발 및 검증: 부산 원도심 및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7(4), 39-57.

10.37561/sse.2018.12.57.4.39
39

Clarke, H. and Witt, S., 2022, Attending to hidden relations, Primary Geography, 109, 16-18.

40

Fryer, L., 2022, How to … create a river fieldwork simulation in the classroom, Teaching Geography, 47(1), 56-57.

41

Greenwood, R., 2019, Geography in your curriculum, in Willy, T.(ed.), Leading Primary Geography: The Essential Handbook for All Teachers, Geographical Association, Sheffield.

42

Job, D., 1999, New Directions in Geographical Field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3

Kent, M., Gilbertson, D. D. and Hunt, C. O., 1997,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1(3), 313-332.

10.1080/03098269708725439
44

Kitchen, R. and Maddison, J., 2021, A fieldwork toolkit for early career geography teachers, Teacher Geography, 46(1), 17-20.

45

Panelli, R. and Welch, R. V., 2005, Teaching research through field studies: A cumulative opportunity for teaching methodology to human geography undergraduat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9(2), 255-277.

10.1080/03098260500130494
46

Rice, G. A. and Bulman, T. L., 2001, Fieldwork in the Geography Curriculum: Filling the Rhetoric-Reality Gap,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Indiana.

47

Tombling, H., 2023, Engaging young pupils with nature, Primary Geography, 110, 12-13.

48

국가교육통계센터, 교육통계서비스(KESS): 유・초・중등 교육통계, 2022년 4월 1일 기준, https://kess.kedi.re.kr/stats/intro?menuCd=0101&survSeq=2022&itemCode=01, 2024년 6월 29일 접속.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9
  • No :4
  • Pages :559-572
  • Received Date : 2024-07-03
  • Revised Date : 2024-08-24
  • Accepted Date : 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