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강마야・김종수・김찬규・박경철・송주연・장효안・최민영・허남혁(역), 2016, 농촌: 지리학의 눈으로 보는 농촌의 삶, 장소 그리고 지속가능성, 따비, 서울(Woods, M., 2010, Rural, Routledge, London).
권상철・박경환・부혜진・전종한・정희선・조아라(역), 2014, 현대 촌락지리학: 촌락 재구조화의 과정, 반응, 경험, 시그마프레스, 서울(Woods, M., 2005, Rural Geography: Processes, Responses, and Experiences in Rural Restructuring, SAGE Publications, London).
김가혜・신재열,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내 지형 및 생태환경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 진주시 남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117-135.
박경환・윤희주・김나리・서태동(역), 2015, 지리 답사란 무엇인가, 푸른길, 서울(Phillips, R. and Johns, J., 2012, Fieldwork for Human Geography, SAGE Publications, London).
박선영・김영호, 2019, "야외조사를 통한 고등학교 학생의 지리적 탐구 능력 향상 방안: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8(1), 19-32.
10.25202/JAKG.8.1.2부혜진・손호기・김상범・채혜성, 2018,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교사의 장소경험과 장소감의 관점에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1), 43-62.
10.35149/jakpg.2018.28.1.004오선민・이종원, 2014, "중등학교 지리답사 연구: 목적, 유형, 계획과 제약요소," 한국지리학환경교육학회지, 22(1), 111-130.
10.17279/jkagee.2014.22.1.111이경한(역), 1999, 열린 지리수업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서울(Fien, J., Gerber, R. and Wilson, P., 1984, Geography Teacher's Guide to the Classroom, Macmillan, Melbourne).
이민부・김정혁・최훈, 2014, "자연지리 답사를 통한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미호천 유역 하천 지형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21(4), 53-67.
10.16968/JKGA.21.4.4이종원・오선민・최광희, 2017, "조사형 야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해안사구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129-150.
10.17279/jkagee.2017.25.2.129이종원・허소정, 2018, "야외에서의 데이터 수집활동 참여가 학생들의 이해와 야외답사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4), 99-120.
10.17279/jkagee.2018.26.4.99황홍섭・박지수, 2018,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의 개발 및 검증: 부산 원도심 및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7(4), 39-57.
10.37561/sse.2018.12.57.4.39Fryer, L., 2022, How to … create a river fieldwork simulation in the classroom, Teaching Geography, 47(1), 56-57.
Greenwood, R., 2019, Geography in your curriculum, in Willy, T.(ed.), Leading Primary Geography: The Essential Handbook for All Teachers, Geographical Association, Sheffield.
Kent, M., Gilbertson, D. D. and Hunt, C. O., 1997,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1(3), 313-332.
10.1080/03098269708725439Kitchen, R. and Maddison, J., 2021, A fieldwork toolkit for early career geography teachers, Teacher Geography, 46(1), 17-20.
Panelli, R. and Welch, R. V., 2005, Teaching research through field studies: A cumulative opportunity for teaching methodology to human geography undergraduat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9(2), 255-277.
10.1080/03098260500130494Rice, G. A. and Bulman, T. L., 2001, Fieldwork in the Geography Curriculum: Filling the Rhetoric-Reality Gap,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Indiana.
국가교육통계센터, 교육통계서비스(KESS): 유・초・중등 교육통계, 2022년 4월 1일 기준, https://kess.kedi.re.kr/stats/intro?menuCd=0101&survSeq=2022&itemCode=01, 2024년 6월 29일 접속.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9
- No :4
- Pages :559-572
- Received Date : 2024-07-03
- Revised Date : 2024-08-24
- Accepted Date : 2024-08-26
- DOI :https://doi.org/10.22776/kgs.2024.59.4.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