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59,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4. pp. 249-267
Abstract
References
1

강현수・곽노완・김용창・변창흠・김준희・김준호・이현재・김기남・황진태・김수현・한준섭・장보혜, 2012, 도시와 권리, 라움, 서울.

2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2014. 9. 24. 보도자료.

3

교육부, 2022a,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4

교육부, 2022b,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고시, 2022.12.22. 입법・행정예고.

5

교육부, 2022c,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고시, 2022.12.22. 입법・행정예고.

6

교육부, 2023,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확정안, 2023.12.27. 교육부 보도자료.

7

구정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시민교육연구, 47(3), 1-29.

8

권정화, 2010,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대한지리학회지, 45(6), 711-720.

9

김갑철・조철기, 2017, "글로벌 차원의 정의를 지원할 지리교육 실천 방안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25(3), 37-50.

10

김기남, 2011, "경쟁주의와 학력격차가 불러온 도시 간 명문고 경쟁, 그리고 학생의 권리 수도권 서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1(1), 70-104.

11

김기남, 2018, "행복한 장소는 많을수록 좋을까? - 행복을 위한 정보의 양이 학습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3), 59-72.

12

김기남・김민성, 2021, "세계지리 시험 문항이 추동하는 지역 편견의 문제와 대안적 문항 구성 전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9(1), 119-132.

13

김남준, 2017,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 도덕윤리과교육, 54, 181-214.

10.18338/kojmee.2017..54.181
14

김대훈, 2018,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1), 107-118.

10.17279/jkagee.2018.26.1.107
15

김민재, 2016, "통합사회 과목의 특징과 교과서 구현 시의 유의사항에 대한 일고찰," 교육연구, 66, 7-31.

16

김재근・배화순・송성민, 2018, "통합사회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 분석-," 시민교육연구, 50(3), 49-76.

10.35557/trce.50.3.201809.003
17

김현정・이창훈・동효관・김동영・이재봉・이신영,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평가 틀의 행동 영역에 대한 고찰," 현장과학교육, 10(1), 83-94.

18

남호엽, 2013, "문제해결의 과정으로 본 글로벌 학습: 통합사회단원 개발 실행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20(1), 13-29.

19

류재명, 1997, "제7차 지리교육과정의 체제개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2(1), 113-124.

20

류재명・서태열, 1997, "제7차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 지리환경교육학회지, 5(2), 1-28.

21

민일홍, 2013,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끼치는 영향 연구,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박배균・김기남・김대훈・박병석・엄은희・윤신원・윤정현・임미영・조해수・최영진・황규덕・황진태, 2018, 통합사회를 위한 첫걸음 공간의 눈으로 사회를 읽다, 폭스코너, 서울.

23

박선미, 2003, "사회과 내용의 통합 수준과 구성 방안," 사회과교육, 42(2), 29-51.

24

박은아・김명정, 2018, "통합사회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연수 요구," 시민교육연구, 50(1), 53-78.

10.35557/trce.50.1.201803.003
25

박은아・장의선・이소연・성경희・송성민・전종한・강대현・노유리・임미영・주우연・최숙희・강은희・김대훈・윤신원・김현경・이은영,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7-5-4.

26

박종임・송민호・이상하・박상욱・최숙기・이민정, 2023, 컴퓨터 기반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자동채점 방안 설계(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3-7.

27

박지현・구자옥・박상복・박주현・박혜진・백종호・유상희・이기돈・이수정・주헌우・김태환, 2022,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지원 시스템(i성취)을 위한 컴퓨터 기반 출제 및 시행 체제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E 2022-2.

28

방민권・최재영, 2018,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지리적 관점에 기반한 예화 구조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6(2), 35-48.

29

배화순・송성민・김재근, 201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사회과 통합형 문항 분석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0(4), 103-128.

10.35557/trce.50.4.201812.005
30

손명철, 1999, "황재기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집 / 제 1 부 지리 환경교육 /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7(1), 51-65.

31

옥일남,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49-75.

10.29221/jce.2016.19.2.49
32

온정덕, 2014, "기준 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우리나라와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상의 내용 선정과 제시방식 비교 분석," 초등교육연구, 27(1), 53-72.

33

이간용, 2018,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지리 개념의 문제점과 대안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4), 63-78.

34

이소연, 2022, "'통합사회' 교육과정에 나타난 경제 관련 내용 요소의 특징 분석," 경제교육연구, 29(3), 57-79.

10.37060/KJEE.29.3.3
35

이용상・김현미・신진아・정혜경・박상욱・권태현・변태진, 2015, 수능 체제 개편의 쟁점 및 현황 : 2021학년도 수능 체제 개편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5-50-15.

36

이정우・임은진,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 운영 실태 조사 연구," 교사교육연구, 58(2), 183-194.

10.15812/ter.58.2.201906.183
37

이혁규・박윤경・길현주・이효인, 2019,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패러다임 전환 -," 열린교육연구, 27(3), 119-144.

38

임은진, 2023, "2022 개정 지리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주요 내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1), 1-13.

39

정수열, 2008,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43(4), 511-525.

40

조철기, 2016, "통합사회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47-60.

41

조철기, 2018a, "지리교육과 인권교육의 관계 탐색," 중등교육연구, 66(2), 607-633.

10.25152/ser.2018.66.2.607
42

조철기, 2018b, "지리를 통한 행복교육 방안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2), 328-339.

10.26863/JKARG.2018.05.24.2.328
43

Alleman, J. and Brophy, J., 1993, Is curriculum integration a boon or a threat to social studies, Social Education, 57(6), 305-309.

44

Case, R., 1991, The anatomy of curricular integration,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Revue canadienne de l'éducation, 16(2), 215-224.

10.2307/1494974
45

Cumming, J., 1994, Catering for the needs of all young adolescents: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to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people aged 10 to 14, Unicorn (Carlton, Vic), 20(2), 12-20.

46

Hargreaves, A., Earl, L., Moore, S. and Manning, S., 2001. Learning to change: Teaching beyond subjects and standards. Jossey-Bass, San Francisco.

47

Hiebert, J., and Morris, A. K., 2012, Teaching, rather than teachers, as a path toward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3(2), 92- 102.

10.1177/0022487111428328
48

Hirst, P. H., 2010, Knowledge and the Curriculum (International Library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Volume 12): A Collection of Philosophical Papers, Routledge.

49

Madaus, G., and Russell, M., 2010, Paradoxes of high-stakes testing. Journal of Education, 190(1-2), 21-30.

10.1177/0022057410190001-205
50

Schug, M. C., and Cross, B., 1998, The dark side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The Social Studies, 89(2), 54-57.

10.1080/00377999809599824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9
  • No :2
  • Pages :249-267
  • Received Date : 2024-03-29
  • Revised Date : 2024-04-17
  • Accepted Date :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