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56,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June 2021. pp. 289-310
Abstract
References
1
김백영, 2009,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 지성사, 서울.
2
김백영, 2014, “철도제국주의와 관광식민주의: 제국 일본의 식민지 철도관광에 대한 이론적 검토,” 사회와 역사, 102, 195-230.
3
김백영・조정우, 2014, “제국 일본의 선만(鮮滿) 공식 관광루트와 관광안내서,” 日本歷史硏究, 39, 27-64.
4
김숙진, 2010,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 대한지리학회지, 45(4), 461-477.
5
김정은, 2016, 17-20세기 한일 여행문화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지영, 2019, “일제시기 철도여행안내서와 일본인 여행기 속 금강산 관광공간 형성 과정,” 대한지리학회지, 54(1), 89-110.
7
김지영, 2021, “일본제국의 ‘국가풍경’으로서의 금강산 생산-금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33(1) 106-133.
8
성나연・서효원・전봉희, 2019, “1930년대 금강산국립공원 계획에 의한 금강산 영역의 재편과 변천,”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43-46.
9
손용석, 2020, “금강산의 텅스텐 채굴과 일제의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2, 229-262.
10
손용훈, 2016, “한국 국립공원의 특수성과 미래 국립공원 관리 과제,” 환경논총, 57, 4-12.
11
신성희, 2016, “‘자연’의 생산과 근대적 ‘관광’의 형성,” 문화역사지리, 28(2), 81-100.
12
심정보(역), 2010, “자연의 지리학,” 미즈우치 도시오 편, 공간의 정치지리, 푸른길, 서울, 125-153 (中島弘二, 2005, “「自然」の地理学,” 水內俊雄 編, 朝倉書店, 東京, 85-108).
13
원두희, 2011, 일제강점기 관광지와 관광행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4
이부용, 2020, “『아사히신문』 외지판에 나타난 금강산 인식 - 「조선잡관」과《대금강산보》를 중심으로 -,” 어문논집, 89, 129-164. 10.33335/KLL.89.5
15
정안기, 2018, “식민지기 금강산전기철도(주)의 경영사 연구,” 경제사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문, 1-24.
16
朝鮮總督府 경인문화사(편), 1998, (近世)韓國五萬分之一地形圖, 경인문화사, 서울.
17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 ‘관광객의 시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18
최병두, 2009,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1) 자연과 자본축적 간 관계,” 마르크스주의 연구, 6(1), 10-58.
19
황진태・박배균, 2013,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대한지리학회지, 48(3), 348-365.
20
岡本曉翠, 1932, 京城と金剛山, 京城眞美會, 京城.
21
內田桂一郞, 1935, “國立公園と金剛山,” 朝鮮, 243, 178-187.
22
水内佑輔, 2015, 田村剛の計画思想からみた国立公園成立史, 千葉大学博士學位論文.
23
水内佑輔・粟野隆・古谷勝則, 2016, “金剛山国立公園計画からみる田村剛と上原敬二の計画思想に関する研究,” ランドスケープ研究, 79(5), 431-436.
24
水内佑輔・古谷勝則, 2014, “大正期における田村剛の示す国立公園の風景とその変遷,” ランドスケープ研究, 77(5), 413-418.
25
田村剛, 1916, “金剛山と其風景開發策,” 大日本山林会報, 408, 10-22.
26
朝鮮総督府学務局社会教育課, 1937, 朝鮮社会教化要覧.
27
Braun, B., 2000, Producing vertical territory: geology and governmentality in late Victorian Canada, Ecumene, 7(1), 7-46. 10.1177/096746080000700102
28
Braun, B. and Castree, N., 1998, Remaking reality: nature at the millenium, Routledge, England.
29
Castree, N., 1995, The Nature of produced nature: materiality and knowledge construction in Marxism, Antipode, 27(1), 12-48. 10.1111/j.1467-8330.1995.tb00260.x
30
Castree, N. and Braun, B., 2001, Social nature: theory, practice, and politics, Blackwell Publishers, Massachusetts.
31
Cronon, W., 1996, “The trouble with wilderness; or, Getting back to the wrong nature,” Cronon, W.(Ed.), Uncommon ground: rethinking the human place in nature, W.W. Norton &Co., New York. 10.2307/3985059
32
Hwang, J. T., 2015, “A study of state-nature relations in a developmental state: the water resource policy of the Park Jung-Hee regime, 1961-79,”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47(9), 1926-1943. 10.1177/0308518X15594922
33
Macnaghten, P. and Urry, J., 1998, Contested natures, SAGE Publications, England.
34
Oyadomari, M., 2011,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Communication & Society, 21, 321-334.
35
Prudham, S., 2009, “Production of Nature,” Gregory, D. et al.(5th ed.),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MA: Blackwell, Massachusetts.
36
Smith, N., 2008,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Georgia.
37
Soper, K., 1995, What is nature?: culture, politics and the non-human, Blackwell, Oxford.
38
Whitehead, M., Jones, R. and Jones, M., 2007, The nature of the state: excavating the political ecologies of the modern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0.1093/oso/9780199271894.001.0001
39
Zimmerer, K. S., 2000, “The Reworking of conservation geographies: nonequilibrium landscapes and nature-society hybrid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0(2), 356-369. 10.1111/0004-5608.00199
40
금강산풍경계획안, 강원 회양군 내금강면 금강산 관련 각종(F171-00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41
금강산탐승구역도(제1소유별도), 강원 회양군 내금강면 금강산 관련 각종(F171-00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42
조선총독부 산림부, 금강산 보승에 관한 협의회 개황(1월16일), 영림창 관내 도면 및 기타관계서(CJA0011536, 국가기록원 소장, 1930. 1. 16).
43
조선총독부 산림부, 금강산풍경계획에관한 타합회결정 사항 및 그 상황, 금강산의 보승에 관한 타합회 서류(2)(CJA0010472, 국가기록원 소장, 1931. 4. 10).
44
金剛山国立公園設置に関する建議(A14080229600, 일본 国立公文書館 소장, 1923. 3. 23)
45
上原敬二・吉村厳, 金剛山公園計画第一回計画書(AJP002_14_00B0087,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1930)
46
田村剛・小坂立夫, 金剛山風景計画書(AJP002_14_00B0087,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1930)
47
朝鮮金剛山国立公園設定ニ関スル件(A14080302800, 일본 国立公文書館 소장, 1927. 3 .27)
4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
49
북한지역정보넷(http://www. cybernk.net)
50
산림입업 용어사전(https://www.kofpi.or.kr/info/tech_04.do)
5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6
  • No :3
  • Pages :289-310
  • Received Date : 2021-06-01
  • Revised Date : 2021-06-24
  • Accepted Date : 202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