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55, Issue 5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October 2020. pp. 485-500
Abstract
References
1
고석규, 2001, "나주의 근대도시 발달과 공간의 이중성,"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나주(박찬승 외 공저), 경인문화사, 133-39-55.
10.1023/A:1017453418291
2
권선정, 2017, "'차이나는' 지리로서 풍수와 Geography의 정상화와 타자화," 문화역사지리, 29(2), 31-44.
3
권선정, 2019, "조선후기 부평부 읍치의 풍수적 공간구성," 기전문화연구, 40(2), 33-50.
4
김경복, 1990, "박용철 詩의 공간의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11, 325-340.
10.1159/000217670
5
김기혁・김성희, 2002,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 변화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7(4), 317-336.
6
김덕현・이한방・최원석, 2004, "경상도 읍치 경관 연구 서설 - 읍치 경관 조사 연구를 위한 방법적 탐구," 문화역사지리, 16(1), 19-28.
7
노희방, 1980, "여지도서에 게재된 읍지도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지리교육, 10, 1-17.
8
류제헌, 1991, "한국의 도시형태학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호남평야의 도시들을 중심으로 -," 국토계획, 59, 5-21.
9
손정목, 1990, 일제강점기 도시계획 연구, 일지사.
10
이기봉, 2008,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1), 68-83.
10.1111/j.1755-2567.1948.tb00847.x
11
이수건, 1990,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사, 민음사.
12
이해준, 2015, "조선후기 관아 기록 자료의 정리와 활용: 충청도 홍산현 관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18(1), 75-115.
13
전종한, 2004,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 경관의 근대적 변형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대한지리학회지, 39(2), 321-343.
14
전종한, 2005, "한국 도시의 원형 '읍성' 취락," 인문지리학의 시선(전종한, 서민철, 장의선, 박승규 공저, 2005, 논형), 215-237.
10.1016/S0025-3227(05)00037-X
15
전종한, 2008, "조선후기 군현지도에 재현된 공간 인식과 공간의식," 문화역사지리, 20(2), 112-126.
10.25291/VR/20-VR-112
16
전종한, 2013,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본 국가 유산의 가치 평가와 범주화 연구: 문화재청 지정 국가 '명승'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6), 929-943.
17
전종한, 2014, "국가 유산 '명승'의 조사 기록을 위한 가치 범주의 구상: '문화경관으로서의 명승'의 관점에서," 대한지리학회지, 49(4), 563-584.
18
전종한, 2015,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2), 319-341.
19
전종한, 2019, "조선후기 부평부 읍치 경관의 복원," 기전문화연구, 40(2), 71-96.
20
전종한, 2020a, "조선후기 전주부 읍치 경관의 일반성과 고유성 - 상징적 경관과 장소로 '도읍'을 담아낸 읍치 -," 기전문화연구, 41(1), 63-93.
21
전종한, 2020b, "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 부평 사직단을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2(2), 1-19.
22
정치영, 2011, "조선시대 지리지에 수록된 진산의 특성," 문화역사지리, 23(1), 78-90.
23
조기준, 1995, 부평사 연구(증보판), 백아문집간행위원회.
24
조정규, 2019,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기전문화연구, 40(2), 51-70.
25
조정규, 2020, "일제강점기 전주 읍치의 토지이용과 도시 공간 변화 - 중앙동 1가~4가를 중심으로 -," 기전문화연구, 41(1), 3-24.
26
최상식・ 한삼건, 2003, "일제시대 홍주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필지체계 및 소유권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 19(8), 103-112.
27
최재헌・이혜은, 2012,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성곽 유산의 활용: 중국 핑야오성과 원상도(Xanadu) 유허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3), 1-11.
28
최진성, 2019,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도로망 특성과 변천," 기전문화연구, 40(2), 3-31.
29
최진성, 2020, "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 읍성의 해체와 종교경관을 중심으로 -," 기전문화연구, 41(1), 25-44.
30
최창조, 1997, 한국의 자생풍수, 민음사.
31
홍금수, 2004, "산성취락연구: 남한산성 광주읍치의 형성과 쇠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2), 313-340.
32
한형주, 2002,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33
≪여지도서≫
34
≪목민심서≫ (한국고전종합DB).
35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36
Bassa, L. and Kiss, F. 2009, Preserv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Shared Heritage - Common Responsibility, Conference Paper (https://www.researchgate.net/ publication/236862018).
37
Tuan, Y.-F., 1977, Space and Pla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U.S.
38
UNESCO, 2013a, New Life For Historic Cities.
39
UNESCO, 2013b, Operational Guideline for the Implemen 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40
UNESCO, 2019, The UNESCO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41
서울시청 서울스토리 홈페이지(http://seoulstory.kr/front/kor/story/)
42
문화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http://www.culturecontent.com/ content/)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5
  • No :5
  • Pages :485-500
  • Received Date : 2020-08-10
  • Revised Date : 2020-10-14
  • Accepted Date : 202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