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달동네에서 펜트하우스까지 - 한국 TV 드라마에 나타난 거주지 분리와 계층 경계의 시각적 재현 -

    From Daldongne to the Penthouse: Visual Represent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Class Boundaries in Korean TV Dramas

    이상원, 구한민, 유현아, 윤성진, 홍사흠

    Sangwon Lee, Hanmin Gu, Hyunah You, Sungjin Yun, Saheum Hong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거주지 분리와 계층 간 거리감의 확대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해왔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대별 대표 TV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deepening of income inequality in South Korea has influenced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widening distance between social …

    + READ MORE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거주지 분리와 계층 간 거리감의 확대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해왔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대별 대표 TV 드라마를 문화 텍스트로 선정하고, 서사 및 담론 분석을 통해 거주지 분리의 상징성과 사회적 위계의 공간적 재현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계층 분리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의 분포 문제를 넘어 사회적 위계 구조와 맞물려 있으며, 특정 계층의 주거지가 계층 고착과 사회적 배제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계층 간 접촉이 점차 사라지고 상호 이해의 가능성이 약화되는 과정은 사회적 갈등과 분열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드라마라는 대중문화 텍스트가 특정 시대의 계층 인식과 공간 구조를 반영하는 문화적 기록물로 기능함을 보여주며, 향후 거주지 분리 연구에서 문화적 재현 분석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deepening of income inequality in South Korea has influenced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widening distance between social classes. The study explores the symbolic meaning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social hierarchy by analyzing representative TV dramas from each period as cultural texts. The findings reveal that class-based segregation is not merely a matter of physical distribution but is closely intertwined with broader social structures, where the residential spaces of specific classes function as sites of class entrenchment and social exclusion. Moreover,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inter-class contact and the weakening of mutual understanding suggest a structural risk of intensified social conflict and polarization. This research highlights how TV dramas serve as cultural records that reflect class perceptions and spatial structures of their time, suggesting the potential of cultural representation analysis in future research on residential segregation.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도시 여성 어민의 일상 실천과 비공식 공간의 경계공간화 -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도시 어시장을 중심으로 -

    Everyday Practices of Urban Women Fishers and the Liminality of Informal Spaces: A Case Study of Urban Fish Market in Dar es Salaam, Tanzania

    김세움

    Seum Kim

    본 연구는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의 음지지마 어시장에서 활동하는 여성 어민들의 일상 실천을 분석하여, 도시 비공식 경제 공간이 어떻게 ‘경계공간(liminal space)’으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한다. 페미니스트 …

    This study analyzes the everyday practices of women fish vendors at the Mzizima fish market in Dar es Salaam, Tanzania, to examine …

    + READ MORE
    본 연구는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의 음지지마 어시장에서 활동하는 여성 어민들의 일상 실천을 분석하여, 도시 비공식 경제 공간이 어떻게 ‘경계공간(liminal space)’으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한다.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관계적 공간(도린 매시)과 경계공간(샤론 주킨) 개념을 이론 틀로 삼아, 공간이 사회적 관계와 반복적 실천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연구 결과는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이분법을 비판해 온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관점을 뒷받침한다. 공식 경제에서 배제된 여성 어민들은 가정이나 시장의 주변부와 같은 비공식 공간을 경계공간화한다. 이 경계공간은 신뢰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일상적인 실천을 통해 형성되며, 도시의 공식 경제 시스템(예: 식량 유통, 생계유지,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 등)이 여성 주체들의 공간 실천에 의해 유지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도시 비공식 공간과 여성 주체들의 역할이 주변적 현상이 아닌 공식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적 부분임을 분석하였고, 기존 연구에서 간과해온 개발도상국 도시의 비공식 경제와 젠더, 공간 이론 간의 대화를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veryday practices of women fish vendors at the Mzizima fish market in Dar es Salaam, Tanzania, to examine how informal urban spaces function as liminal spaces. Drawing on feminist geographic theories of relational space (Doreen Massey) and liminal space (Sharon Zukin), it explores how space is produced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repeated practices. The findings show that women excluded from the formal economy reconfigure peripheral spaces—such as household courtyards and market corners—into liminal spaces. These spaces are formed through everyday practices grounded in trust and relationships. Although informal and often overlooked, they play a crucial role in sustaining the formal urban economy, including food distribution, livelihood maintenance, local circulation, and even educational access. This study supports feminist critiques of the public/private divide by showing how women’s spatial practices blur and transcend such binaries. It argues that informal and invisible actors are central to the functioning of urban economies. It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ialogue between informal economies, gender, and spatial theory in the Global South,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도시 러닝 활동의 시공간적 유형화와 관광적 실천 가능성 - 지오태그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탐색적 접근 -

    Spatiotemporal Typologies of Urban Running and Their Touristic Implications: An Exploratory Cluster Analysis Using Geotagged Data

    전광상

    Gwang-sang Jeon

    본 연구는 도시 공간에서 수행되는 러닝 활동이 어떠한 시공간적 양상으로 실천되며, 나아가 관광적 실천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urban running activities are practiced across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and explores their potential to be interpreted …

    + READ MORE
    본 연구는 도시 공간에서 수행되는 러닝 활동이 어떠한 시공간적 양상으로 실천되며, 나아가 관광적 실천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사례로 하여,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인스타그램에 게시된 러닝 관련 지오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동이 관측된 격자를 대상으로 공간 자기상관 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러닝 활동은 공간적으로 유의미한 자기상관 구조를 보였으며, 시공간적 특성에 따라 유형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도출된 유형들을 일상과 비일상의 연속선이라는 틀에서 해석한 결과, 도시 러닝 활동은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여가적 실천이자 장소 기반 수행으로서의 관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신체 활동을 일상성과 비일상성의 경계에서 분석하고, SNS 데이터 기반의 시공간 분석을 통해 도시 여가와 관광의 접합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정책적으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urban running activities are practiced across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and explores their potential to be interpreted as forms of touristic performance. Using Seoul as a case study, geotagged Instagram data related to running were collected from 2019 to 2025.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were applied to observed grid cells to identify spatiotemporal patterns. The results reveal that urban running exhib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clustering and can be categorized into distinct typologies based on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When interpreted throug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everyday - non-everyday continu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rban running transcends routine physical activity, encompassing leisure-oriented practices and place-based performances with touristic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heoretically by analyzing urban physical activity at the intersection of everydayness and non-everydayness, while demonstrating methodologically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based spatiotemporal analysis for uncovering connections between urban leisure and tourism practices.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교차로 교통환경 복잡성과 교통사고의 상관성 연구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section Traffic Environment Complexity and Traffic Accidents: A Case Study of Atlanta, Georgia, USA

    조윤재, 성정창, 이승연, 황철수

    Yoonjae Cho, Jeong Chang Seong, Seungyeon Lee, Chul Sue Hwang

    본 연구는 교차로 교통환경 복잡성이 교통사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을 세우고 실제 교통사고자료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우선 운전자가 인지하는 교차로 교통환경을 세가지 …

    This research investigates visual, structural, and point-of-interest (POI) complexity factors that influence driver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raffic conditions at road intersections. …

    + READ MORE
    본 연구는 교차로 교통환경 복잡성이 교통사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을 세우고 실제 교통사고자료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우선 운전자가 인지하는 교차로 교통환경을 세가지 측면에서 그 복잡성을 측정하였다. 즉 시각적, 구조적, POI 복잡성이 그것이다. 더불어 도시 내부 공간에서 개발정도의 차이가 교통환경 복잡성과 교통사고에 유의한 상관성을 갖는지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애틀랜타 내 연구 지역의 교차로를 대상으로 교차로 교통환경 복잡성을 14개 변수로 정량화하였으며 토지피복도의 지표불투수율을 활용하여 도시개발 정도를 고밀도, 중밀도, 저밀도 개발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고밀도 개발지역의 교차로에서는 차선 수, 제한 속도, 교통량 등 구조적 복잡성이 교통사고와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중밀도 개발지역의 교차로에서는 구조적 복잡성과 하늘 비율 및 잘 알려진 POI 수가 교통사고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저밀도 개발지역의 교차로에서는 제한 속도가 강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식생 비율이 교통사고 발생을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교차로 교통환경 복잡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더불어 도시개발 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교통사고 감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visual, structural, and point-of-interest (POI) complexity factors that influence driver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raffic conditions at road intersections. It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section complexity and vehicle crashes. Considering that intersection land use varies with urbanization levels, the study categorizes samples into three groups—high-density, medium-density, and low-density—using the Fractional Impervious Surface metric. Fourteen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evaluate intersection traffic environment complexity in Atlanta. The findings reveal that in high-density areas, structural factors such as lane count, speed limits, and traffic volume are strong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ffic accidents. In medium-density areas, structural complexity variables, sky ratio, and the presence of well-known POIs also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ashes. In low- density areas, speed limi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cidents, while a higher vegetation ratio appears to reduce crash occurr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providing a method to quantify intersection traffic environment complexity and proposing tailored strategies for traffic accident reduction based on urban development levels.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다양화된 자본주의에서 발전주의적 기업 전략의 재생산 - 왜 한국은 여전히 반도체를 ‘생산’하는 국가인가? -

    The Reproduction of the Developmental Corporate Strategy in Variegated Capitalism: Why does South Korea Remain a Semiconductor ‘Producing’ Country?

    우정석

    Jungsuk Woo

    발전주의 국가는 동아시아 일부 국가들이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특정한 국내 정치-경제 구성과 대외환경적 요인을 통해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선진 경제로 …

    The developmental state is a concept that explains how East Asian countries developed into advanced economies within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in …

    + READ MORE
    발전주의 국가는 동아시아 일부 국가들이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특정한 국내 정치-경제 구성과 대외환경적 요인을 통해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선진 경제로 발전한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1990년대 경제위기와 그에 따른 신자유주의화 이후 발전주의 국가는 신자유주의적 후기 발전주의 국가로 온전히 전환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전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다양화된 자본주의 안에서 한국 반도체산업의 발전주의적 기업 전략의 경로의존성을 분석한다. 국가 주도적 발전주의 시대에 성장한 반도체산업과 기업들은 국가 정책을 준수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 및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내부화 전략을 채택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전주의적 기업 전략은 여전히 재생산되어 유지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는 오늘날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 중심의 반도체 산업구조를 만들어내었음을 강조한다.


    The developmental state is a concept that explains how East Asian countries developed into advanced economies within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ir internal political economic organizations as well as external conditions. Claims have been made that such developmental state underwent neat transition 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status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of the late-1990s and the resultant neoliberalization. Critically scrutinizing this transi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elaborates path dependency of the developmental corporate strateg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variegated system of capitalism.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corporations that have grown in state-led ways during state developmentalism take a state-compliant and an internalization strategy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and promote export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se developmental corporate strategies continue to be reproduced and maintained to date, ultimately shaping the current memory-semiconductor centric industrial structure in South Korea.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이주 인프라와 교육 이주 브로커 - 베트남 내 유학원을 사례로 -

    Migration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Migration Brokers: Focusing on the Agency for Studying Abroad in Vietnam

    백일순, 박위준, BuiMy Hang Thi

    Yilsoon Paek, Weejun Park, My Hang Thi Bui

    본 연구는 이주 인프라 개념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논의가 확장되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고, 이주 인프라를 통한 이주 현상의 접근이 가지는 의미를 재조명하는 …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lack of expanded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migration infrastructure in Korea, despite its conceptual usefulness, …

    + READ MORE
    본 연구는 이주 인프라 개념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논의가 확장되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고, 이주 인프라를 통한 이주 현상의 접근이 가지는 의미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주 인프라의 관점에서 ‘유학’은 본국과 이주국 양측 모두의 이주와 관련된 인프라의 연결성에 의해 추동되며, 이주 이후에도 이주자로서의 적응, 정착을 위해 인프라에 의존하게 된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적 선택과 동기에 초점을 둔 행위자 중심의 해석과 달리, 다양한 이주 인프라의 접근에 따라 이주 경로가 차별화되어 있다. 이러한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으로 유학 온 베트남 유학생들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 내 유학원이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이주 인프라로 진화하게 된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학원은 한국과 베트남을 연결하는 이주 인프라로서, 양국 간의 정책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원에 대한 첫 연구이자, 이주 인프라의 개념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lack of expanded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migration infrastructure in Korea, despite its conceptual usefulness, and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approaching migration phenomena through the lens of migration infrastructure. From this perspective, ‘studying abroad’ is driven by the connectivity of infrastructures related to migration in both the home and host countries, and even after migration, migrants continue to rely on these infrastructures for adaptation and settlement. Unlike actor-centered interpretations that focus on individual choices and motivations, this approach demonstrates that migration pathway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migration infrastructure available.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study analyzes interviews with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examine how agencies for studying abroad in Vietnam have evolved into migration infrastructures connecting Vietnam and Korea.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se agencies function as key migration infrastructures, responding sensitively to the policies of both countries and playing a decisive role in building diverse networks to maintain smooth relation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study on Vietnamese study-abroad agencies and attempts to expan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igration infrastructure.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지역 간 청년층 고용 격차 유형화 및 구조적 요인 분석

    Typology of Regional Youth-to-Adult Employment Gaps and Structural Determinants

    박소현

    Sohyun Park

    본 연구는 지역별 청년층 고용의 상대적 격차 수준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그 공간적 분포 패턴과 지역 유형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ve employment status of youth across regions and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key determinants of …

    + READ MORE
    본 연구는 지역별 청년층 고용의 상대적 격차 수준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그 공간적 분포 패턴과 지역 유형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군구 단위 고용통계를 활용하여 전체 고용률과 청년층 고용률 격차의 시계열 지표 및 실업률 데이터를 바탕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군집의 특성을 비교한다. 분석 결과, “고용격차 개선형”, “청년고용 양호형”, “고용격차 심화형”, “청년실업 위험형”의 네 가지 군집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간에는 제조업 및 전문직・사무직, 청년층 순 이동률, 비경제활동 상태의 청년층, 주거비, 스트레스 인지율 등의 지표가 군집 유형을 구분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용지표가 낮고 전체 대비 청년층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일수록 청년층 유출과 고용 불안정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청년층 고용 문제를 지역 간・세대 간 격차의 이중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지역 고용 정책 설계를 위한 실증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ve employment status of youth across regions and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key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status. Using employment statistics at the county and district levels, it performs a K-means cluster analysis based on time-series indicators of the youth-to-adult employment rates, as well as unemployment rate data. It then appli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e analysis identifies four distinct cluster types: “optimal,” “moderate,” “declining,” and “severe.” Key differentiating factors among clusters include the proportions of manufacturing workers, professionals, and economically inactive youth population as well as youth net migration rates, housing costs, and stress perception rates. Notably, regions with weaker youth employment outcomes and larger youth-to-adult employment gaps tend to exhibit higher levels of youth migration and employment instabilit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and foundational insights for designing region-specific employment policies that address youth employment challenges from both regional and generational perspectives.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관계인구 활동유형의 지역적 변화과정에서 본 지역 만들기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Regional Changes in Types of Affiliated Population Activities

    韓柱成

    Ju-Seong Han

    본 연구는 참가・교류하는 관계인구 활동유형의 지역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관계인구가 지역주민과의 관여와 기여로 어떻게 지역 만들기를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gional transformation process of activity types involving affiliated populations that participate and exchange to communities, and …

    + READ MORE
    본 연구는 참가・교류하는 관계인구 활동유형의 지역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관계인구가 지역주민과의 관여와 기여로 어떻게 지역 만들기를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에는 관계인구 도입형과 체험・교류형을 가진 읍・면이 10%를 조금 넘었는데, 2020년에는 관계인구 체험・교류형과 담당자형의 증가로 읍・면의 약 30%를 차지해 2010년보다 3배 정도 증가했다. 그래서 양년도 사이의 활동유형은 관계인구 도입형과 체험・교류형에서 관계인구 체험・교류형과 담당자형으로 변화해 갔다. 이와 같은 배경은 도시의 여가활동패턴 변화와 농산촌의 농촌융복합산업의 발달, 농업체험활동 및 정부의 농・산촌의 소득증대를 위한 활성화 정책지원, 경제하부구조 등의 발달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관계인구의 확대・심화로 지역 만들기에서 인재, 장소,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들 세 요소를 활용해 지역에서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도록 다양한 관계인구 활동유형을 계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gional transformation process of activity types involving affiliated populations that participate and exchange to communities, and to consider how they engage with and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alongside local resi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2010, only slightly more than 10% of towns and villages featured the ‘introduction type’ and ‘experience and exchange type’ of affiliated population activities. By 2020,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experience and exchange type’ and the ‘coordinator type,’ about 30% of towns and villages exhibited these activity types - representing approximately a threefold increase compared to 2010. Therefore, over the decade, activity types shifted from the ‘introduction type’ and ‘experience and exchange type’ to predominantly the ‘experience and exchange type’ and ‘coordinator type.’ This transformation was driven by multiple interrelated factors: changes in urban leisure activity patterns, the development of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in farming and mountain villages, growth in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s, government policies aimed at boosting rural incomes, and the advancement of economic infrastructure, etc. As the affiliated population continues to expand and deepen, the roles of talent, place, and system become increasingly vital in community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develop diverse activity types for affiliated populations that enable regions to independently generate new value by leveraging these three elements.

    - COLLAPSE
    31 August 2025
  • Research Article

    한국 도시 간 특허 기술거래 네트워크의 형성 요인과 변화

    Determinants and Dynamics of Intercity Patent Technology Transaction Networks in South Korea

    채윤식

    Yoonsik Chae

    본 연구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시점인 2001-2020년 사이의 국내 특허 기술거래 네트워크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허 …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orea’s patent technology transaction network between 2001 and 2020, a period following the enactment …

    + READ MORE
    본 연구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시점인 2001-2020년 사이의 국내 특허 기술거래 네트워크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허 권리변동 기록을 토대로 5년 단위로 도시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ERG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인프라와 혁신 성과가 풍부한 도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 간 지리적・기술적 근접성이 네트워크 형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시기의 후반부로 갈수록 네트워크의 밀도가 상승하는 가운데 상호성과 선호적 연결의 효과가 강화되었다. 반면, 전이성의 효과는 제한적이었으며, 다중경로에 따른 간접연결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도시 간 특허 기술거래 시장이 양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선택적, 계층적 구조를 기반으로 형성 및 변화해왔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orea’s patent technology transaction network between 2001 and 2020, a period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Using patent assignment records, intercity networks were constructed in five-year intervals and analyzed using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s(ERGMs). Network link density is initially low but rises steadily, while mutuality and preferential attachment intensify, whereas transitivity and multiple paths exert only limited influence. The network is anchored by large cities with abundant research infrastructure, and both geographic and technological proximity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trans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espite quantitative growth, patent technology market in Korea has evolved through a selective and hierarchical structure, expanding spatially while concentrating exchanges around a small number of innovation-oriented urban hubs.

    - COLLAPSE
    31 Augus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