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신경망 모형 기반 미세먼지 결측치 내삽 연구

    Interpolation of Missing Values of Particulate Matter based on a Neural Network Model Considering Saptiotemporal Characteristics

    황수연, 최진무

    Suyeon Hwang, Jinmu Choi

    본 연구는 미세먼지 현상의 시간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 결측치의 내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issing value interpolation method of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 that can consider both temporal and spatial …

    + READ MORE
    본 연구는 미세먼지 현상의 시간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 결측치의 내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자료의 시간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순환 신경망 모형 중 하나인 LSTM (Long-Short Term Memory) 모형을 활용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를 구성할 때 대기오염 측정소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이웃 측정소 및 이웃 ASOS자료와 공간적 자기상관 지수를 포함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해 내삽 결과를 기존 공간 내삽 기법인 역거리 가중치 내삽 방법과 크리깅을 활용한 내삽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 연구에서 제작한 신경망 모형 기반 내삽 방법의 정확도가 기존의 공간 내삽 방법의 정확도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임의로 결측을 생성한 지점에 대해 결측 내삽 방법의 결과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농도 분포도를 제작하고 실제 농도 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신경망 모형 기반의 내삽 결과를 포함하는 농도 분포도가 실제 농도 분포도와 가장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모형의 범용성을 확인한 결과 10개 측정소 중 8개 측정소에서 연구에서 제작한 신경망 모형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 자료의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결측 내삽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미세먼지 결측 내삽 모형을 활용한다면 미세먼지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결측이 최소화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분석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issing value interpolation method of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 that can consider both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M using The long short-term memory model (LSTM). The data of neighboring stations and automated surface observation systems (ASOSs), as well as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es, were included as the input data to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The interpo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raditional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our interpolation method based on the neural network produced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ose of exist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PM concentration distribution map was produced for the section where missing values were falsely generated and compared with the re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map. Based on the map results, The concentration map based on the neural network model was most similar to the re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order to check a us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The model was also applied to other monitoring stations.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LSTM with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in 8 of the 10 monitoring stations. The missing value interpol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a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M analysis results by reducing errors due to the missing values.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귀농・귀촌 이주자의 생업 만들기 변화

    Changes in Creating Livelihoods of Return-to-Farm Migrants

    韓柱成

    Ju-Seong Han

    경제발전으로 소득이 증대되고 교통과 정보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도농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변화됨으로써 귀농・귀촌 이주자가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생업 만들기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

    Return-to-farm migrants have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making livelihoods out of local resources as socio-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as a result …

    + READ MORE
    경제발전으로 소득이 증대되고 교통과 정보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도농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변화됨으로써 귀농・귀촌 이주자가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생업 만들기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의 귀농・귀촌 이주자의 생업 만들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귀농・귀촌 대칭구조의 변화 및 기업(起業)과 계업의 유형변화에서 그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2년과 2023년 양 연도의 귀농・귀촌 이주자 생업 만들기의 변화는 농・산촌에서 관행농업이 저조해지고 다원적 기능화, ICT를 활용한 스마트 농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래서 지산지소의 지속가능한 지역농업으로 순환경제를 이끌어갈 다원적 기능으로서의 농촌융복합산업을 발달시켜야 할 것이다. 또 친환경, 저탄소, 자동화, 인력부족의 노동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ICT를 이용한 스마트 농업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생업 만들기는 농・산촌 지역주민들과 공생관계자인 관계・생활인구와의 사이에서 광역의 사회자본이 형성되도록 도농공생을 위한 교류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지역주민들의 취업기회 확대와 사회공헌의 증대, 생산품의 브랜드화로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회연대경제를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Return-to-farm migrants have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making livelihoods out of local resources as socio-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as a result of increased income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return-to-farm migrants have altered their ways of making livelihoods, and to find the changing factors. These changing factors were found in evolving symmetry structure of return-to-farm activities, and in shifting types of starting business and successive busin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hanges in creating livelihoods for migrants who had returned to farm and rural areas in both 2012 and 2023 resulted in a decline in conventional agriculture in rural and mountain villages and a transition to smart agriculture using multifunctionality and ICT. Therefore, in converging industries that enable a circular economy in rural area need to be developed to support sustainable local agriculture which consists of local production in local areas. In addition, smart agriculture which uses automated ICT needs to be supported to compensate for shortages in manpower and to reduce carbon and to be eco-friendly. And in creating a livelihood, it is essential to increase symbiotic exchanges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who are of affiliated populations in order to allow local residents more job opportunities and social contribution, and to add values by branding products.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사실들’을 조합한 상상의 선: 한국 지도의 백두산 국경 표시 방식과 그 출처

    Imaginary Lines as a Combination of ‘Facts’: The Marking Methods and Their Sources of Baekdu Mountain Border Line on Korean Maps

    이강원

    Kang-Won Lee

    이 논문은 1945년 이후 최근까지 출판된 68개의 지도 및 지도집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남한) 지도의 백두산 국경 표시 방식과 그 출처를 탐구하였다. …

    Analyzing 68 maps published after 194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king methods and their sources of Baekdu Mountain border line on South …

    + READ MORE
    이 논문은 1945년 이후 최근까지 출판된 68개의 지도 및 지도집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남한) 지도의 백두산 국경 표시 방식과 그 출처를 탐구하였다. 1960년대 말까지 한국의 지도는 천지를 영토로 표시하지 않았다. 1970년대 초반부터 천지 일부를 한국영토로 표시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중반부터 천지 전체를 한국의 영토로 표시하는 지도들이 나타났다. 당시 국경 표시 변화의 배경에는 북・중 국경조약(1962)과 관련된 외신 보도들로 인해 상기된 백두산 숭배의식, 7.4 남북공동성명, 유신체제의 성립과 체제경쟁, 반공주의의 확산 그리고 민족주의 교육의 강화가 있었다. 이렇게 그려진 지도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다시 변화를 보였다. 천지 동쪽에 접한 북한과 중국 사이의 국경선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한 것이다. 21세기에 들어, 거의 모든 지도가 백두산 동쪽의 국경선이 정계비를 통과하지 않고, 북위 42도 북쪽을 지나 천지 외륜산에 접하도록 그렸다. 이러한 국경선들은 존재한 적도 없고, 존재하지도 않는 다. 이렇게 그려진 국경선은 넓은 면적의 확보라는 관점으로 간도협약, 일제지형도, 그리고 현재의 북・중 국경선에서 부분적인 사실들을 취사선택하고 조합하여 만들어 낸 상상의 선이다.


    Analyzing 68 maps published after 194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king methods and their sources of Baekdu Mountain border line on South Korean maps. Until the end of 1960s, Korean maps did not include Cheonji lake as a part of Korean territory. At the beginning of 1970s, parts of Cheonji were firstly marked as Korean territory, and then it came to be the whole of Cheonji since mid-1970s. Several factors, such as the worship of Baekdu Mountain recalled by foreign media reports related to the Sino-Korean Border Agreement (1962), 7.4 South-North joint statement, the establishment of Yushin Regime and system compet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spread of anti-communism, as well as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ist education had caused such changes. The marking method was changed again during mid-1990s to partially reflect the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hich borders the east of Cheonji. In the 21st century, this border line was found not passing through the Jeonggyebi stele site but through the north to 42 degrees north latitude, bordering the outer rim of Cheonji on most of Korean maps. Such a border line exists neither in the past nor the present. It was created by imagination based on some of the facts from the Gando Agreement, topographic maps by Japanese Imperial Army, and the Sino-Korean Border Agreement.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서울 대도시권 외국인 노동자 거주 분포 집중도와 분리도에 대한 공간통계 분석 - 국적별 집적 혹은 사회경제적 집적? -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egrees of Concentration and Isolation in Residential Distribution of Foreign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gglomeration by Nationality or Socioeconomic Status?

    손정렬

    Jungyul Sohn

    이 연구는 서울 대도시권의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거주 분포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집단별로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국적 집단별 집적의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foreign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different groups. More specifically, …

    + READ MORE
    이 연구는 서울 대도시권의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거주 분포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집단별로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국적 집단별 집적의 양상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별 집적의 양상 특성을 살펴보고 이 중 어떤 유형의 집적이 공간상의 분포에서 더 강하게 드러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5개 국적 집단과 체류자격에 따른 고소득 전문직과 저소득 단순 노무직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의 집중도와 분리도 분포 특성을 고찰한 후, 국적별 집단과 사회경제적 지위별 집단 간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미시적 공간 규모의 몰공간적 분석에는 분산계수와 상이지수가, 그리고 광역적 공간 규모의 공간적 분석에는 모란지수가 이용되었으며, 분석은 서울 대도시권의 6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국적 및 사회경제적 지위 집단은 집단별로 서로 다른 공간적 규모에서 다양한 수준의 집중도와 분리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국적에 따른 집적 양상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적 양상 간의 비교 결과, 집중도에서는 양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고 분리도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집적 양상에서 더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집중도와 분리도 모두에서 국적 유형(선진국, 저개발국)과 사회경제적 지위(고소득 전문직, 저소득 단순 노무직)는 상호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외국인 거주지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foreign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different group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which of the two influences (agglomerations by nationa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is stronger in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For the analysis, 25 groups by nationality, and high-income professional and low-income non-professional worker groups by visa status are classified,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and isolation are examined. Then,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nationality groups and socioeconomic status group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index of dissimilarity are used for aspatial analysis on a micro spatial scale, and Moran’s I is used for spatial analysis on a macro spatial scale. The analysis is conducted on 66 cities and coun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different nationa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groups have various levels of concentration and isolation at different spatial scal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agglomeration patterns of the nationality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it is confirmed that the two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entration level while the latter is stronger in isolation. Meanwhile, nationality type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socioeconomic status (high-income professionals and low-income non-profession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the degrees of concentration and iso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related to foreign residential areas.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자연재해에 대한 사회적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Social 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 across the South Korea

    김강민, 황태건, 이유빈, 황철수

    Kangmin Kim, Taekeon Hwang, Yubin Lee, Chul Sue Hwang

    최근 사회적 취약성 지수 산정 연구는 이상기후에서 비롯된 자연재해와 연관이 깊다. 특히 자연재해 규모와 빈도가 점차 사회에 심각한 비용을 초래하여 국가 차원에서 …

    Recently, there has been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ocietal vulnerability index study and natural disasters resulting from extreme weather phenomena. Specifically, the …

    + READ MORE
    최근 사회적 취약성 지수 산정 연구는 이상기후에서 비롯된 자연재해와 연관이 깊다. 특히 자연재해 규모와 빈도가 점차 사회에 심각한 비용을 초래하여 국가 차원에서 대응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연구는 특정 지역이나 재해에 초점을 두고 있어 정책적 대응을 위해서는 통합적 시각으로의 연구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의 취약성 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폭넓은 사회적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충청북도 음성군, 강원도 고성군 등이 높은 수준이었으며, 노동 참여 여성 인구, 실업률 등 사회경제적 요소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해당 요소들은 대도시권에서 취약성을 낮추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실업률 감소 등의 정책 적용은 취약성 감소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ocietal vulnerability index study and natural disasters resulting from extreme weather phenomena. Specifically,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natural hazards are progressively resulting in significant financial burdens on society, necessitating an escalating demand for nationwide interventions. Domestic studies concentrate on certain geographical areas or disasters, and it is imperative to broaden the research to encompass a comprehensive viewpoint for policy reactions.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 vulnerability index for the entirety of South Korea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n a diverse array of social facto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umseong-gun in Chungcheongbuk-do and Goseong-gun in Gangwon-do had significant vulnerability,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female labor participation and unemployment rate exerting a strong influence. Conversely, these characteristics seem to be designed to decrease vulnerability in urban regions, indicating that governmental interventions like decreasing unemployment rates could be successful in reducing vulnerability.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해양레저관광에 의한 어촌의 젠트리피케이션 전개 양상과 지역주민 태도 - 양양 서핑 관광지를 사례로 -

    Gentrification Patterns in Fishing Villages by Marine Leisure Tourism and Residents’ Attitude: Case of a Surfing Destination in Yangyang

    유예지, 김주락

    Yeji Yoo, Jurak Kim

    이 연구는 도시와 다른 여건을 지닌 어촌 지역에서 발생하는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지역 주민의 태도를 분석해 그 특징을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urism gentrification patterns in fishing villages with distinct conditions from urban context. The research focused on Ingu …

    + READ MORE
    이 연구는 도시와 다른 여건을 지닌 어촌 지역에서 발생하는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지역 주민의 태도를 분석해 그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인구・죽도 해변 일대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통계자료 분석, 경관 분석, 지역주민 심층 인터뷰 등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인구・죽도 해변 일대는 관광객 유입이 증가하면서 외부에서 유입된 자본을 통한 상업시설이 증가하고, 지가가 상승했으며, 주민의 생활환경이 악화하는 등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의 주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도시에서 벌어지는 일반적인 관광 젠트리피케이션과 구별되는 특징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자유로움과 개성이 강한 서핑 문화로 인해 도시의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로 지적되는 경관의 획일화 및 몰개성화가 도드라지지 않았다. 둘째, 관광객 문화와 거주민 문화 사이의 큰 차이로 주민들은 불편을 넘어 문화충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을 관광보다는 레저스포츠 활동이 주목적인 서핑 관광의 특성과 해양관광의 계절성은 관광객이 주민에게 직접적으로 미치는 악영향을 시공간적으로 제한했다. 셋째, 원주민 내몰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관광객 상권이 해변 유휴부지에 형성되어 지역주민의 생활권과 분리된 공간적 특성과 나이(고령), 고향에 대한 높은 장소애착, 이웃 간 깊은 유대관계 등과 같은 주민의 인구학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어촌 지역으로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 지역적 특징을 고려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urism gentrification patterns in fishing villages with distinct conditions from urban context. The research focused on Ingu and Jukdo Beach in Yangyang-gun, Gangwonstate, and conducted statistical data analysis, landscap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beach area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tourists and commercial facilities invested by people from out of town, a rise in land prices, and a deterioration in residents' living conditions, confirming the major features of tourism gentrification. On the other hand, distinctive features that set it apart from the typical tourism gentrification occurring in cities were also identified. First, the uniformity of the landscape, often considered a problem in urban gentrif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compromised due to the surfing culture. Secondly, a substantial gap was identified between the cultures of tourists and residents, with residents experiencing not only discomfort but also cultural shock.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surfing tourism, which is primarily focused on recreational sports activities rather than fishing village tourism, and the seasonality of marine tourism have spatially and temporally limited the direct negative impact of tourists on residents. Thirdly, the displacement of indigenous people has not been noticeable. This is attribu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ce of idle land along the beach, contributing to the separation of tourists' commercial districts and local residents' living areas,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n aged population, a strong attachment to the hometown, and strong ties among resid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spatial scope of tourism gentrification research to fishing villages and suggests implication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COLLAPSE
    29 February 2024
  • Book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