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1 December 2021. 607-622
https://doi.org/10.22776/kgs.2021.56.6.607

ABSTRACT


MAIN

  • 1. 서론

  • 2. 농촌의 인구변화에 대한 검토

  • 3. 인구규모의 변화와 분포의 양극화

  •   1) 면의 감소와 인구규모 변화

  •   2) 인구규모 분포의 양극화

  • 4. 인구규모 변화의 지역성

  •   1)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

  •   2) 인구규모 변화의 특징

  • 5. 결론

1. 서론

인구증가율이 낮아지고 인구증가의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인구절벽이 전망되면서(Dent, 2014), 근래 들어 인구의 고령화보다 인구감소 현상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선진국가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구이동에 따른 인구의 재배치라는 사회적 증감의 관점과 출생 및 사망이라는 자연적 증감의 관점에서 인구규모의 변화를 파악하면, 농촌지역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과 도시로의 인구이동에 따른 사회적 감소와 더불어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자연적 감소가 결합하면서 인구증가의 요인보다는 인구감소의 요인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조진우, 2020: 7-9).

전국의 인구규모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인구감소와 관련한 문제가 대두되는 이유는 국가 차원의 불균등한 인구분포 때문일 것이다. 1960년대 이후 진행된 공업화는 도시로의 인구집중을 유발했으며, 국가 전체의 도시인구 증가와 농촌인구 감소로 귀결되었다. 1970년대 이후 국토계획은 시대적 여건과 필요성을 반영하여 지역격차를 해소하고 균형발전을 위한 거점개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총량적 측면에서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지역불균형 문제는 극복하지 못했다. 지역불균형 가운데 도농간 격차 확대는 농촌의 경제활동인구를 도시로 유인하면서 과소화 문제를 유발했고, 도시의 인구집중은 교통 혼잡, 부동산 가격 인상, 환경오염 등 도시의 비경제(diseconomy of urban)를 초래했다. 세계적으로 1950년대 이후 농촌의 인구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경제적 요인이다(Pinilla and Sáez, 2021).

농촌인구의 감소에 따른 과소화의 원인으로는 도시로의 인구집중, 농촌의 고령화에 따른 자연증가 둔화 등이 지목되었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거주 가구수가 20호 미만인 과소화 마을 3,091개 가운데 87.5%는 면에 분포했다(통계청, 2011). 2010~2015년 사이에는 전국적으로 294개의 마을이 증가했지만, 면에서는 오히려 192개 마을이 사라졌다(통계청, 2016). 인구현상과 관련하여 농촌에서 근래에 자주 등장하는 화두는 인구감소에 따른 인구소멸 또는 농촌소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의 소득기반이 열악하고 인구감소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낙후해가는 비수도권의 시군을 성장촉진지역, 개발촉진지구, 과소군 등의 유형으로 분류했다. 성장촉진지역은 생활환경 및 개발 수준이 저조한 시군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지정되었고, 개발촉진지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 수준이 현저히 낮은 낙후지역의 소득기반을 조성하고 생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1996년부터 지정되었으며, 과소군은 대도시에 인접해 있지 않거나 대도시 생활권의 형성이 어려운 산간지방의 시군을 대상으로 2009년에 처음으로 지정되었다(홍준현, 2011: 417-418). 각기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 선정되는 상기의 3가지 유형은 인구변화에 관한 공통 지표를 포함한다.

국가 총인구에서 도시지역(읍, 동)에 거주하는 도시인구율은 1960년의 39.7%에서 2020년 91.8%로 상승했지만(국토교통부, 2021), 비도시지역(면)에 거주하는 인구비율은 꾸준히 감소했다. 비도시지역은 농촌‧어촌‧산촌을 아우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비중이 큰 농촌이 비도시지역을 대표한다. 읍이 비도시지역에 포함된 연구도 있지만(김정연 등, 2014) 도농연속체(urban-rural continuum)의 개념과 같이 도시와 농촌의 실질적 구분이 모호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면을 농촌으로 간주했다.

면은 행정구역 체계에서 가장 하위에 있는 단위이며 도시지역으로 분류되는 읍이나 동에 비해 중심성은 약하지만, 강한 지역정체성을 보유한 행정구역이고 행정체계 가운데 최하층에 자리하며 주민에게는 지역 인식의 지리적 경계로 작용한다(조성옥, 2006). 조성옥(2006)에 따르면 면은 같은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들끼리 소규모 지역사회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만들어가는 기본적인 생활반경이며, 지방자치단체의 실질적 행정이 펼쳐지는 가장 소규모의 행정구역으로서 지역정체성의 형성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면이 농촌을 대변하는 최전선의 행정단위인 동시에 농촌 변화를 잘 보여주는 공간스케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농촌인구에 관한 연구는 엄밀한 의미에서 농촌을 대상지역으로 포함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인구규모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대체로 시와 군을 분석 단위로 설정함으로써(김태헌, 1996; 정성호, 2019), 농촌적 성격이 약한 읍이나 동이 분석대상에 함께 포함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는 농촌인구의 변화에 관심을 가졌던 학문 분야가 공간스케일의 개념을 상대적으로 너그럽게 적용하는 사회학이나 인구학(김남일‧최순, 1998; 김태헌‧이창송, 1995) 등이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농촌의 인구감소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정구역상 농촌으로 구분되는 면을 단위지역으로 상정할 필요가 있다. 정도채‧심재헌(2017)은 읍과 면으로 행정구역을 구분하여 우리나라 농촌의 인구변화를 분석했지만, 개별 읍과 면에 거주하는 인구규모의 분석이 아닌 우리나라 전체의 읍과 면 인구에 관한 총량적 자료의 분석에 그쳤다. 한편 국가 전체에서 면의 인구규모 변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인구규모의 변동 경향에 관한 연구도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농촌인구의 변화는 통계수치만으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인구규모 변화를 소지역 단위로 알아보기 위해 면별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성을 고찰했다. 일정 기간 인구규모의 변동이 어떠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단순히 농촌인구의 감소를 결과적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농촌인구의 지역별 변화에 대한 예측이나 전망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면의 인구분포 변화 및 개별 면의 인구규모 변화에서 나타난 지역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지역은 2021년 1월 기준 행정구역상 면으로 편제된 1,171개이며,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1995~2020년까지 5년 간격의 주민등록인구통계이다. 면의 인구규모 변화에 대한 고찰은 1986년과 1989년에 모두 33개의 면이 신설되면서 현재의 행정체계와 거의 동일한 행정구역이 획정된 1990년을 기준시점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면의 인구자료를 주민등록인구로 통일하기 위해 주민등록인구 통계자료가 현재와 같은 내용으로 조사되기 시작한 1995년을 기준시점으로 선정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개별 면의 인구규모에 대한 기술통계를 분석하고 인구분포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해, 5년 간격으로 이루어진 개별 면의 인구규모 증감 경향을 파악하고,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성이 유사한 면끼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개별 면의 인구규모 증감 경향에 따른 유형화는 일차적으로 경향성의 변동 유무에 따라 경향성 변동지역과 경향성 불변지역으로 구분했으며, 경향성 변동지역은 가장 최근인 2015~2020년 사이의 증감 경향을 토대로 증가전환형과 감소전환형으로 나눈 후, 1995년부터 2015년에 이르는 4개 시기의 증감 경향에 따라 세분하는 과정을 거쳤다.

2. 농촌의 인구변화에 대한 검토

현대의 농촌을 대상으로 인구현상을 거론할 때 자주 등장하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다른 요소로 대체 불가능할 정도로 농촌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키워드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농촌의 인구현상에 관한 분석은 대체로 인구감소에 초점이 맞춰졌고, 인구감소를 바라보는 관점은 농촌에서 인구감소 경향이 강하다는 총체론적 접근이 주로 이루어졌다. 즉, 광역자치단체 또는 기초자치단체(시·군)를 하나의 공간단위로 인식하여, 농촌의 인구가 감소하는 경향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결과 나타난 현상 또는 장래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대한 선제적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이로부터 농촌인구의 감소에 따른 농촌소멸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으며, 인구감소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효율성을 악화시키며, 인구감소와 동시에 진행된 고령화로 인해 재정지출이 증가하면서 지방재정의 문제를 유발한다는 견해가 있다(김원중, 2021; 조임곤, 2020; 조진우, 2020). 농촌의 고령화가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농가 스스로 복지비용의 부담을 어렵게 함에 따라 농촌의 재정문제를 악화시킨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박길환, 2015). 재정문제는 농촌의 생활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인구감소를 유발하며 나아가 농촌에서의 인구재생산에 장애요소로 작용해 농촌공동체의 붕괴로 이어질 우려도 내포한다(Gogonea, 2019).

농촌의 인구감소와 그에 따른 소멸의 문제는 2000년대 들어 본격적인 관심사로 등장했고, 이를 확증하기 위해 여러 관점에서 인구감소 및 인구소멸의 문제가 검토되었다.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소멸은 생산연령층의 지속적 유출 및 저출산과 고령화에 기인하는 문제로, 자연마을의 과소화는 차상위 행정체계인 면의 과소화로 이어지고 이는 곧 농촌을 포함하고 있는 시나 군의 소멸을 유발한다는 점이 지배적인 관점이었다(정성호, 2019). 인구감소는 지역사회의 경제활력을 약화하는 동시에, 인적자원의 유출에 따른 농촌공동체의 기반 붕괴와 연계되며 농촌소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하면서 비수도권에 자리한 농촌의 인구소멸 문제가 많은 관심을 끌었다. 비수도권의 모든 ‘도’가 2018년 소멸주의 단계에 진입했으며, 비수도권의 광역시에서도 군을 포함하고 있는 부산과 대구가 소멸주의 단계에 진입했다(이상호, 2018: 6). 농촌소멸의 문제는 성장촉진지역은 물론 대도시권에서도 발생하며, 심지어 도시화 수준이 높지 않고 농촌의 출산률이 높은 국가에서도 도농간 이주에 의해 심화하고 있다(Dahs et al., 2021). 농촌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적합한 일자리가 많고 남성의 임금이 높은데다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임금수준이 도시에 비해 낮으므로(임진영 등, 2016; Bryden and Bollman, 2000; O’Laughlin, 2017), 농촌을 떠나는 여성이 많아졌고 젊은 남성들은 가정을 구성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농촌은 인구균형이 무너지고 심각한 사회적‧경제적‧인구학적 불균형 속에서 노년층이 많은 장소로 변화하기 마련이다(Hill, 2013). 1995년에서 2020년 사이 우리나라 면의 성비는 100.9에서 105.2로 증가했으며, 노인인구비율은 13.9%에서 28.4%로 상승했다(국가통계포털).

농촌인구의 감소를 유발하는 요소에는 도시권 확대 또는 도시의 외연적 확장에 따른 교외지역의 변화, 새로운 생활양식을 누리는 계층의 등장, 농촌의 구조적 문제나 열악한 여건 등이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농촌의 과소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구감소 억제책을 시행하기도 했다. 일찍이 농촌의 과소화를 경험했던 프랑스에서는 농촌의 장소자산을 관광자원화 함으로써 농촌으로의 인구회귀를 유도했다(市川康夫, 2015). 미국에서는 인구의 농촌탈출을 억제하고 농촌으로의 회귀를 촉진하고자 재정적 인센티브를 통한 농촌의 고용확대를 도모했으며(Brooks, 2021), 스페인에서는 농촌사회의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여를 통해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정책을 시행했고(Pinilla and Sáez, 2021), 핀란드에서는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참살이를 보장하도록 장소기반형 활력 정책을 추진했다(Makkonen and Kahila, 2020). 이들 국가는 농촌의 과소화를 거스를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고 생활환경 개선과 장소자산 활용을 통해 인구감소를 억제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농촌 과소화의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농촌 인구에 관한 주요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의 부정적 영향이 강조되었다. 인구규모의 감소는 시장과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하고 새로운 기술의 보급 및 채택에 장애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농촌의 고용감소를 유발하며 나아가 청년층의 농촌탈출로 인한 세금부담을 가중한다는 관점이다(Feser and Sweeney, 2003). 인구규모가 작고 인구밀도가 낮은 농촌은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집적경제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생산성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는 지역 주민의 임금감소로 이어지기 마련이다(Webber et al., 2007). 요컨대 농촌의 인구감소는 시작점이 무엇인지를 막론하고 여러 요소가 결합하는 악순환의 과정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인구감소를 심화하고 국가 경쟁력을 약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까지 시‧군 분리정책에 의해 도시와 농촌을 엄격히 구분한 행정체계가 유지되었지만, 1995년 이후 시‧군 통합정책으로 전환하면서 도시와 농촌이 하나의 행정구역에 편제되기 시작했다. 일부 면은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인구비율이 50%에 근접한 한계고령화에 직면한 곳이 많고, 마을소멸, 공동화, 경제낙후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가 악순환하면서 지역존립의 문제가 심화했지만(최남희, 2016), 반대로 여러 기능이 입지하고 상호연계를 강화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한 일부 면에서는 인구성장의 동력이 만들어지기도 했다(문재원‧엄은희, 2012). 따라서 농촌의 인구현상은 단순히 감소라는 관점에서만 접근할 수 없으며, 증가와 감소 양자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3. 인구규모의 변화와 분포의 양극화

1) 면의 감소와 인구규모 변화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면은 1955년 1,432개에 달했지만 1980년 1,256개로 감소했고, 2020년에는 1,180개로 줄었다(표 1). 2021년 1월 기준 우리나라에서 실제 주민이 거주하는 면의 개수는 1,171개이다.1) 면의 개수가 감소한 이유는 1960년대 이후 진행된 도시화로 많은 수의 면이 도시지역으로 분류되는 읍이나 동으로 승격했기 때문이다. 한편 1980년대에는 면에 설치되었던 출장소가 면으로 분리 승격한 곳이 많아, 1981~1985년 사이에 면의 수가 증가했으며 1986~1990년 사이의 감소폭이 작았다. 우리나라의 도시화가 종착단계에 접어들고 도시지역 중심의 인구성장이 지속되면서 2000년대에는 면의 감소폭이 크지 않았다.

표 1.

광역자치단체별 면의 수 변화(1955~2021년) (단위: 개)

년도 부산 대구 인천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955 - - - - - 192 108 102 164 168 222 237 227 12 1,432
1960 - - - - - 194 107 100 160 164 218 227 220 10 1,400
1965 - - - - - 185 95 99 164 155 215 238 215 10 1,376
1970 - - - - - 185 95 99 164 155 215 238 215 10 1,376
1975 - - - - - 180 92 96 158 153 213 229 209 10 1,340
1980 - - - - - 162 87 93 155 145 199 209 200 6 1,256
1985 - - - - - 160 93 92 155 146 208 214 201 5 1,274
1990 - - - - - 155 97 92 149 147 200 216 200 5 1,261
1995 3 8 19 - - 132 89 91 146 145 199 206 191 5 1,234
2000 3 6 19 8 - 118 90 92 148 145 199 204 177 5 1,214
2005 3 6 19 8 - 113 95 90 146 145 198 203 177 5 1,208
2010 3 6 19 8 - 110 95 89 145 145 197 202 177 5 1,201
2015 2 6 19 8 9 108 95 87 137 144 196 202 175 5 1,193
2020 2 3 19 6 9 103 95 86 136 144 196 201 175 5 1,180
2021 2 3 19 6 9 100 90 86 136 144 196 200 175 5 1,171

*자료: 통계청, 각 연도, 󰡔한국통계연감󰡕.

1986~2020년 사이 모두 40개 면이 신설되었는데, 대부분 1986년(20개)과 1989년(13개)에 신설되었다. 1986~1990년 사이에 신설된 36개 면은 대부분 기존 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된 경우이고 읍이나 면에서 분리하여 신설된 면은 2개뿐이다. 신설된 면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면의 수가 감소한 것은 도시화의 진행과 더불어 면이 읍이나 동으로 승격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도농복합시가 설치되면서 인구규모가 읍 승격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읍으로 승격한 면도 빼놓을 수 없다.2) 광역시는 도농통합의 형태로 설치된 1995년 이후부터 면을 보유하기 시작했다. 한편 광역자치단체(도)간 행정구역 이속으로 도 단위에서 면의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기도 했다.3)

도시에 설치된 행정동은 인구규모에 따라 분동 또는 통합되므로, 그 수는 1980년 1,597개에서 1995년 2,318개, 2010년 2,061개, 2020년 2,079개로 증감을 반복했다. 그러나 면은 인구규모가 2만 명을 넘으면 도시지역으로 분류되는 읍으로 승격하거나 다수의 행정동으로 변경되면서 사라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면의 수 감소는 통폐합에 따른 감소가 아니라 인구증가에 의해 읍이나 동으로 승격한 곳이 많아졌음을 의미하며, 이는 경기와 경남에서 두드러졌다. 경기도에서는 1995년 인천광역시가 설치되면서 19개 면이 인천으로 이속되었고 경남에서는 1997년 울산광역시 설치와 함께 8개 면이 울산으로 이속되기도 했지만, 이와 무관하게 수도권과 부산권의 경기와 경남에서 면의 감소가 많았던 이유는 대도시권에서 진행된 탈도시화에 따른 인구의 사회적 증가를 무시할 수 없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일상도시생활권(DUS)에서 대도시를 향한 인구의 절대적 집중이 완화하고 주변부를 향한 상대적 분산이 진행됨에 따라, 서울과 부산 주변에 자리한 경기와 경남에서는 면의 수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했다.

면에 거주하는 총인구는 1995년 1,444만 8,642명이었다. 농촌 중심의 경제구조가 두드러졌던 1960년대는 면의 인구규모가 확대하던 시기였으며, 그 규모는 1966년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1,671만 175명이었다. 이후 면의 인구규모는 2020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면의 인구감소는 공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1960년대 후반부터 농촌인구의 도시이주로 인해 현저해졌으며, 면의 총인구는 도시화의 가속화단계가 진행되었던 1985년 1천만 명 이하로 줄었다(그림 1). 면의 인구감소가 지속된 결과, 2020년 말 기준 면의 총인구는 459만 8,314명을 기록했다. 면의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면의 인구가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55년의 67.2%에서 2020년 8.9%로 축소되었다(국가통계포털). 전국 인구의 꾸준한 증가와 달리 면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면의 인구가 국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축소된 것이다. 면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의 감소 현상은 2000년대 들어 국가 전체의 인구증가 속도가 완만해지면서 다소 둔화되었을 뿐이다.

면 전체의 인구감소는 인구규모가 커진 면이 읍이나 동으로 승격하면서 사라졌기 때문에, 단순히 면의 인구감소라는 관점으로만 인식하면 안 되고 이에 상반되는 인구증가라는 관점으로 나누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먼저, 면의 총인구감소는 1960년대 후반부터 도시에서의 흡인요인이 작용함에 따라 인구의 농촌탈출로 인한 사회적 감소 및 출산율 하락에 따른 자연적 감소로 설명된다. 또한 인접한 행정구역간 경계조정을 통해 면의 일부 지역이 인접한 읍이나 동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면의 인구감소도 간과할 수 없다.

다른 한편, 면에서의 인구증가로 인해 읍이나 동이 되는 과정에서 면이 사라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면의 총인구가 감소했다. 면의 인구증가는 행정구역 내에서 인구의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가 진행됨에 따라 면을 읍이나 동으로 승격시키면서 면의 자격을 상실시켰고, 이는 면의 총인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1960년 85개에 불과했던 읍의 수가 2020년 230개로 증가한 것도 면의 인구규모 증가에 따른 읍 승격 및 면의 감소를 설명해준다. 그러나 면에 거주하는 인구규모가 우리나라의 읍 승격 기준(2만 명) 또는 시 승격 기준(5만 명)을 상회함에도 불구하고 면의 행정체계가 그대로 유지되는 곳이 있다. 2020년 말 기준 순천 해룡(55,514명), 창원 북(43,411명), 양산 동(35,265명), 통영 광도(31,088명) 등은 단일 면의 인구가 읍 승격 기준인 2만 명을 크게 상회했다.

인구규모가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인 면은 행정체계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인구규모가 크게 확대된 면이 대부분 읍이나 동으로 승격하는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면의 총인구규모와 면의 수는 감소했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 전체의 인구는 증가경향을 보이는 반면 면의 인구는 감소경향을 나타내면서 전국 인구와 농촌 인구의 변동은 K자 모양을 취하며, 둘 사이의 간극은 1970년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가 2000년대 들어 다소 완화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1.jpg
Fig. 1.

전국 인구와 면 인구의 변화(1955~2020년)

2) 인구규모 분포의 양극화

면의 총인구규모는 감소했지만 인구규모 증감은 면별로 차이가 있어, 면별 인구규모의 차별적 성장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1995년에는 내륙의 산간지역에 인구규모 4천 명 이하의 면이 주로 분포했고, 평야지대 및 해안지역, 대도시 주변에는 대체로 4천~1만 2천 명 규모의 면이 많았다. 1만 2천 명을 상회하는 인구규모를 가진 면은 수도권과 부산권의 공업도시 주변에 주로 자리했었다. 그러나 2020년에는 4천~1만 2천 명 규모의 면이 전국적으로 감소한 대신, 수도권과 이에 인접한 곳에 자리한 면의 인구규모는 그대로 유지되거나 증가한 곳이 많았다. 비수도권의 일부 면에서도 인구규모가 크게 변화하지 않은 지역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영동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이다. 2020년에는 수도권과 이에 인접한 면을 비롯해 남해안의 공업지대에 접해 있거나 산업단지가 조성된 면의 인구규모가 큰 것을 볼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2.jpg
Fig. 2.

면별 인구규모의 변화(1995년과 2020년)

각 면의 인구규모 변화를 보면 전국적으로 인구규모 분포의 차이를 뚜렷하게 알 수 있다. 1995년에는 백두대간의 산줄기를 따라 인구규모가 작은 면이 많이 분포했지만, 2020년에는 수도권과 부산권 및 이에 인접한 충남, 충북, 경남의 일부 면을 제외하면 대부분 면의 인구규모가 4천명 이하에 머물렀다. 경기 남부와 동부에 자리한 면에서는 2020년의 인구규모가 1995년의 인구규모를 대부분 상회했다.

전국 면별 인구규모 분포의 변화에서 인구성장의 지역차를 확인하기 위해 1995~2020년 사이 면별 인구규모의 기술통계 변화를 분석했다(표 2). 평균인구는 면의 총인구가 증가했던 1966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해 1955년 10,089.8명에서 1966년 12,144.0명으로 증가했지만, 1995년에는 4,977.8명으로 줄었고 2020년에는 3,930.1명을 기록했다. 평균인구의 변화는 2005년 이후 농촌에서 인구감소의 속도가 둔화함에 따라 큰 기복을 보이지 않았다. 평균인구의 감소 경향은 농촌의 전반적인 인구감소 및 과소화의 진행을 시사한다.

표 2.

시기별 인구규모의 분포와 기술통계의 변화 (단위: 개 면)

연도
구분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명)
2,000 이하 64 108 176 219 253 320
2,001-4,000 429 478 536 546 551 526
4,001-6,000 366 339 255 220 195 155
6,001-8,000 178 137 105 95 73 71
8,001-10,000 83 60 47 39 40 35
10,001-12,000 37 28 30 25 22 15
12,001-14,000 10 13 12 12 15 15
14,001-16,000 0 5 7 3 6 10
16,001-18,000 4 2 2 5 6 2
18,001-20,000 1 0 0 2 2 9
20,001 이상 0 2 2 5 8 13



최소값(명) 196 172 154 135 116 109
최대값(명) 18,197 24,366 30,180 26,657 45,981 55,514
평균(명) 4,982.0 4,572.0 4,171.3 4,020.9 3,985.5 3,933.4
표준편차 2,491.3 2,637.9 2,747.0 2,929.9 3,382.3 4,042.4
왜곡도 1.27 1.88 2.48 2.73 4.12 4.91
첨도 2.46 6.03 11.79 11.40 30.35 39.19

면 인구규모의 최소값은 감소하고 최대값은 증가함에 따라, 인구규모의 편차는 1995년에 비해 2020년에 확대되었다. 1995~2020년 사이 인구규모가 가장 작았던 면은 철원 근북면이었다. 철원군을 비롯해 군사분계선에 접한 접경지역의 면은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지역개발의 제약조건이 많아 인구증가를 견인할 만한 요소가 부족하고, 인구 배출요인이 많아 인구감소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반면 공동주택 건설, 공공기관 입지, 산업단지 조성과 같은 외부자극이 유입된 면은 단기간에 성장동력을 확보하면서 인구규모가 빠르게 증가했다. 예컨대, 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개발된 평택 고덕면의 인구는 2015~2020년 사이 10,928명이 증가했고, 혁신도시가 들어선 음성 맹동면의 인구는 2010~2015년 사이 5,037명이 증가했다. 시기별 최대 인구규모를 기록한 면 가운데, 남양주 별내면(2005년)의 인구증가는 공동주택 단지 개발에 따른 인구유입에 기인했으며, 양산 상북면(1995년)과 순천 해룡면(2000, 2010, 2015, 2020년)은 산업단지 및 공동주택이 개발됨에 따라 인구규모가 증가했다. 인구규모가 2만 명을 넘는 면은 도농복합시에 자리한 곳이 많다. 1995년 이후 설치된 도농복합시는 도농연속체에 입각해서 도시와 농촌의 공생을 도모했지만 수도권과 영남지방에 자리한 일부 도농복합시에서만 면의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농상생발전의 효과가 나타났으며(손승호, 2013), 전국적 차원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공생효과가 크지 않았다.

표 2에서 보는 것처럼 소규모의 인구를 보유한 면이 증가한 동시에 대규모의 인구를 보유한 면의 수도 증가하면서 중간규모의 인구를 보유한 면의 수가 감소하면서, 면별 인구규모의 분포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했다. 2천 명 이하의 인구를 보유한 면의 수가 1995년에는 64개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320개로 증가했으며, 4천 명 이하의 인구를 보유한 면의 수는 493개에서 2020년 846개로 증가했다. 반면 인구규모가 1만 명을 초과하는 면의 수는 1995년 52개에서 2020년 64개로 늘어나는데 그쳤다. 인구규모가 작은 면의 수가 증가한 것은 면의 인구감소가 보편적인 현상이며 과소화가 빠르게 진행중임을 의미한다.

왜곡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통해 면별 인구규모 분포의 대칭성과 집중성을 검토했다. 왜곡도와 첨도는 평균과 편차 다음으로 분포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지표이며, 이탈리아 도시의 경제 및 인구자료에 기초해 부의 불균형 분포를 분석한 Ausloos and Cerqueti(2018)는 왜곡도와 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왜곡도와 첨도는 분포의 지역간 불균형이 심화할수록 동반 상승한다.

비대칭도로 알려진 왜곡도는 개별 인구규모의 분포가 평균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치우친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개별 값이 평균보다 작은 쪽에 많이 몰려 있으면 0보다 큰 값을 가진다. 면별 인구분포의 왜곡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표 2), 이는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규모를 가진 면의 수가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평균인구에 미치지 못한 면의 수는 1995년 675개에서 2000년 705개, 2005년 745개, 2010년 768개, 2015년 801개, 2020년 834개로 매년 늘어났다. 2020년의 평균인구가 1995년에 비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인구에 미치지 못하는 면의 수가 증가했음은 면의 과소화가 상당 부분 진전되었음을 시사한다.

첨도는 집중도로 인식되기도 하며 개별 인구규모가 중앙에 몰려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3에 가까우면 중앙값 근처에 분포가 집중된 모양이지만 3보다 커지면 중앙값 근처의 집중도가 낮아지면서 전체 분포에서 특이값(outlier)이 많은 모양을 취한다(남영우, 1995). 인구분포의 첨도는 1995년 이후 2020년까지 꾸준히 상승했는데(표 2), 이는 인구분포에서 극단적으로 크거나 작은 특이값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1995년 3에 근접했던 첨도는 2000년에 6을 뛰어넘었고 2020년에는 39를 상회할 정도로, 인구규모 분포에서 중앙값보다는 극단의 특이값이 많아졌다. 평균인구가 감소했지만 2만 명 이상의 인구를 보유한 면의 수가 증가한 것도 특이값의 변이를 설명해준다. 1995~2020년 사이 인구가 감소한 면은 분석대상의 89.1%에 달하는 1,043개였다. 이처럼 많은 면에서 인구감소에 따른 과소화가 진행되었고 일부 면에서만 인구성장과 함께 지역활성화의 움직임이 있지만, 도시인 읍이나 동으로 승격할 수 있는 기준을 충족한 면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4. 인구규모 변화의 지역성

1)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

분석대상 기간 동안 인구규모가 감소한 면이 가장 많았던 기간은 1,061개 면에서 감소(109개 면 증가)한 2000~ 2005년이고, 가장 적었던 기간은 916개 면에서 감소(250개 면 증가)한 2010~2015년이다.4) 인구의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를 망라해서 인구규모가 증가한 면은 일부에 불과했다. 인구규모가 증가한 면은 수도권을 비롯해 수도권에 인접한 충남과 충북에 일부, 그리고 부산권의 주변부인 경남에 일부 분포한다(그림 3). 인구증가의 폭은 지역에 따라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서울과 부산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반면 인구감소와 더불어 상대적 낙후지역으로 분류되는 성장촉진지역이 많은 경북, 전남, 전북 등지에서는 인구규모가 증가한 면의 수가 매우 적었으며, 인구감소 경향을 보인 면은 대도시로의 접근성이 양호하지 않은 산간지방과 해안지역을 많이 포함하는 경북, 전남, 경남, 전북, 충남 등지에 많았다. 전국 인구의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농촌인구의 증가 역시 수도권에서 뚜렷하게 진행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3.jpg
Fig. 3.

면 인구규모의 증감(1995~2020년)

5년 간격의 5차례 인구변동에서 단 한 차례도 인구가 증가하지 않은 면은 전체의 65.0%에 달하는 762개였지만, 5차례 모두 인구가 증가한 면은 전국적으로 19개에 불과했다. 5차례 모두 인구가 증가한 면은 경기(14개), 인천(1개), 강원(2개), 전남(1개), 경남(1개)에 분포하며, 수도권에 자리한 면에서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했다. 경기도에서는 2000년대 들어 도시성장이 빠르게 진행된 남양주, 용인, 화성, 광주 등의 도농복합시를 비롯하여 서울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양평군의 면에서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이 뚜렷했다. 4차례 이상 인구가 증가한 면 34개는 경기(12개), 인천(4개), 강원(3개), 충북(4개), 충남(6개), 경북(1개), 경남(4개) 등 대체로 대도시와의 공간상호작용이 수월한 곳에 분포한다. 인구증가 현상이 탁월한 면은 수도권의 경우 서울과의 접근성이 양호하거나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된 주거지 교외화의 영향으로 택지개발 및 교통접근성이 개선된 곳이 많고, 비수도권에서는 신규 주거단지 또는 산업단지가 개발된 곳이 많다.

1995~2020년 사이 개별 면의 5년 단위 인구규모 증감 경향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경향성 불변지역(781개 면)이 경향성 변동지역(390개 면) 보다 훨씬 많았다(표 3) 경향성 불변지역은 증가지속형(유형A)과 감소지속형(유형B)으로 세분했으며, 경향성 변동지역은 2015~2020년 사이의 증감 경향을 기준으로 증가전환형과 감소전환형으로 세분했다. 증가전환형은 모두 119개 면을 포함하며, 경기(22개), 강원(20개), 충북(13개) 등 수도권 및 이에 접한 곳에 분포하며, 기간별 인구증감의 경향성을 토대로 3개의 유형(유형C, 유형D, 유형E)으로 세분했다. 감소전환형으로 분류된 271개 면은 경남(49개), 경기(46개), 경북(31개), 강원(30개) 등지에 분포하며, 시기별 인구증감의 경향성을 토대로 4개의 유형(유형F, 유형G, 유형H, 유형I)으로 세분했다. 각 유형에 속하는 면의 이름은 표 4에 제시했다.

표 3.

인구규모 증감 경향에 따른 유형 분류(단위: 개 면)

유형
시도
경향성 불변지역 경향성 변동지역
증가
지속형
감소
지속형
증가전환형 감소전환형
A B C D E F G H I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1.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2.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3.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4.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5.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6.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7.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8.jpg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T3-9.jpg
부산 2 2
인천 1 1 8 1 3 4 1 19
대구 2 1 3
울산 2 1 1 2 6
세종 1 2 1 4 1 9
경기 14 18 11 7 4 18 21 6 1 100
강원 2 38 18 2 1 25 3 1 90
충북 48 10 3 4 19 2 86
충남 100 4 4 1 10 14 3 136
전북 118 1 1 2 21 1 144
전남 1 163 10 3 17 1 1 196
경북 158 6 3 2 1 29 1 200
경남 1 112 8 4 1 6 38 3 2 175
제주 1 2 1 1 5
19 762 82 24 13 50 194 20 7 1,171
781 119 271
표 4.

인구규모 변동 유형별 면

유형
유형A 덕적(인천), 퇴촌, 양지, 강상, 양서, 서종, 신둔, 도척, 옥천, 수동, 광적, 강하, 조종, 마도, 서신(이상 경기), 동내, 판부(이상 강원), 해룡
(전남), 사남(경남) (19개)
유형B 부강(세종), 영북, 은현, 신서, 관인(이상 경기), 옥계, 강동, 근덕(이상 강원), 북이, 소이, 이원, 송학, 미원, 청산, 수안보(이상 충북), 마서,
고덕, 성동, 부석, 광석, 계룡, 오가, 우성, 소원, 영인, 금성, 서포, 세도, 청라, 가야곡, 우강, 선장, 은산, 갈산, 정안, 장곡, 운산, 도고, 신양, 비인, 임천, 남포, 부리, 이인, 근흥, 신암, 금마, 한산, 홍동, 탄천(이상 충남), 옥서, 대야, 황등, 왕궁, 계화, 백구, 대산, 오수, 용지, 금산, 동진, 태인, 하서, 죽산, 감곡, 무장, 망성, 백산, 해리, 용안, 낭산, 진봉, 줄포, 여산, 고부, 관촌, 안성, 공음, 보안, 봉남, 개정, 입암, 백산, 금구, 이평, 흥덕, 아산(이상 전북), 율촌, 회양, 해제, 황산, 포두, 금산, 송지, 별량, 법성, 현경, 도화, 금천, 염산, 여수 남, 시종, 봉황, 주암, 득량, 풍양, 다시, 조성, 학교, 지산, 동, 과역, 문내, 두원, 화산, 청계, 몽탄, 도덕, 손불, 옥곡, 동강, 진월, 현산, 노안, 화정, 조도, 산이, 점암, 의신, 신북, 고금, 산포, 운남, 동강, 안좌, 낙안, 대서, 임회(이상 전남), 약목, 동해, 대송, 진보, 장기, 후포, 강구, 청하, 공성, 해평, 영해, 자인,
다인, 춘양, 기계, 풍양, 금성, 지보, 마성, 부북, 지천, 신녕, 낙동, 용궁, 상북, 쌍림, 부석, 내남, 청리, 병곡, 길안, 감문, 사벌국, 안계, 일직, 북후(이상 경북), 창선, 한림, 대동, 군북, 대산, 무안, 곤양, 가야, 대산, 남, 이동, 삼가, 대곡, 안의, 장목, 고현, 동해, 진천, 영산, 부곡, 삼동, 구산, 가조, 한산(이상 경남) 등 (762개)
유형C 일광, 철마(이상 부산), 구지(대구), 선원, 길상, 불은, 화도, 양도, 양사, 송해, 하점(이상 인천), 설악, 원곡, 호법, 개군, 단월, 강천, 지평, 상, 장남, 양동(이상 경기), 지정, 하남, 무릉도원, 둔내, 강림, 귀래, 안흥, 북산, 서, 강현, 청일, 신동, 방림, 갑천, 사천, 구정, 성산, 홍천 동(이상 강원), 중앙탑, 대소원, 소수, 문광, 감물, 어상천, 수한, 칠성, 청안, 청천(이상 충북), 송악, 성연, 석문, 양촌, 미산(이상 충남), 옥산(전북),
진원, 소라, 문척, 수복, 장성 남, 삼서, 봉강, 대마, 무정, 대동(이상 전남), 금수, 자양, 두동, 호명, 풍천, 신평, 천북, 산내(이상 경북), 광도, 주촌, 사동, 정촌, 서하, 대양, 산내, 거제(이상 경남), 안덕, 한경(이상 제주) (82개)
유형D 마장, 용문, 백사, 장흥, 군내, 원삼, 화현(이상 경기), 춘천 동, 흥업(이상 강원), 남이, 맹동, 옥산(이상 충북), 음봉, 엄사, 둔포, 신도안(이상 충남), 현곡, 고로, 울진 북(이상 경북), 북, 용남, 동, 정동(이상 경남), 표선(제주) (24개)
유형E 내가(인천), 장군, 연기(이상 세종), 대덕, 남사, 대월, 고덕(이상 경기), 규암(충남), 안천(전북), 화북, 고경(이상 경북), 일운(경남), 우도
(제주) (13개)
유형F 연평, 자월, 대청(이상 인천), 웅촌(울산), 소정(세종), 남종, 대곶, 하성, 별내, 조안, 금사, 북내, 탄현, 월롱, 광탄, 진위, 신북, 내촌, 가산,
팔탄, 정남, 장안, 비봉(이상 경기), 소초(강원), 강내, 대소, 광혜원, 이월(이상 충북), 두마, 의당, 송산, 인지, 음암, 고북, 탕정, 신창, 북,
입장(이상 충남), 춘포, 북(이상 전북), 입, 낙월, 삼계(이상 전남), 강동(경북), 집현, 연초, 진례, 서, 상남, 하북(이상 경남) (50개)
유형G 삼산, 서도, 백령, 북도(이상 인천), 삼동, 서생(이상 울산), 전의, 연동, 전동, 연서(이상 세종), 보개, 현덕, 일동, 남, 청산, 군남, 적성, 이동, 매송, 서탄, 점동, 일죽, 죽산, 양성, 삼죽, 오성, 청운, 북, 양감, 송산, 금광(이상 경기), 대화, 정선 남, 홍천 남, 화천 남, 토성, 영월 북, 서화, 상서, 중동, 양구 동, 두촌, 대관령, 내촌, 우천, 왕산, 김삿갓, 방산, 사북, 근남, 기린, 해안, 간동, 용평, 사내, 봉평(이상 강원), 황간, 수산,
양강, 백운, 단성, 살미, 가곡, 사리, 산외, 적성, 장연, 군북, 백곡, 장안, 낭성, 감곡, 청풍, 용화, 회남(이상 충북), 은진, 팔봉, 태안 남, 장평, 남이, 반포, 군북, 남일, 운곡, 덕산, 광덕, 주포, 이원, 지곡(이상 충남), 금마, 상전, 정천, 용담, 옥도, 구림, 설천, 쌍치, 구이, 인계, 팔덕,
적성, 운암, 신덕, 남원 주천, 동향, 남원 산내, 부귀, 위도, 상관, 오산(이상 전북), 능주, 유치, 용산, 장평, 안양, 흑산, 대전, 하의, 삼산, 토지, 신의, 보길, 부산, 장동, 용방, 대덕, 옴천(이상 전남), 죽변, 양북, 양남, 평은, 이산, 봉현, 부향, 농소, 안덕, 외서, 선남, 호계, 석포, 농암, 부남, 화동, 이서, 용암, 문수, 증산, 화북, 동로, 가천, 울릉 서, 화남, 현동, 기산, 울릉 북, 각북(이상 경북), 상북, 대합, 옥종, 거류, 초계, 진교, 금성, 동부, 율곡, 단성, 악양, 용주, 야로, 적량, 단장, 지곡, 북천, 장마, 정곡, 하청, 마천, 금서, 가례, 북상, 고암, 대의, 고제, 성산, 시천, 길곡, 백천, 삼장, 대지, 신안, 칠서, 용현, 내동, 금산(이상 경남) (194개)
유형H 영흥(인천), 청평, 남한산성, 월곶, 미양, 신북, 연천 중(이상 경기), 연곡, 인제 북, 철원 서(이상 강원), 남일, 삼성(이상 충북), 신평, 인주,
병천(이상 충남), 옥과(전남), 다산(경북), 진동, 화개, 청암(이상 경남) (20개)


I
금남(세종), 파주 군내(경기), 양구 남(강원), 이서(전북), 서(전남), 도천, 덕곡(이상 경남) (7개)

* 유형 B는 인구감소폭이 큰 상위 200개 면의 이름만 기록했음.

* 같은 도 내에 동일 지명이 있는 경우에만 시군의 이름을 병기했음.

증가지속형(유형A)은 전체의 1.6%인 19개 면에 불과하고, 경기도에 14개 면이 있다(그림 4). 양평(5개), 화성(2개), 광주(2개) 등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된 탈도시화 및 주거지 교외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의 면에서 인구증가 현상이 뚜렷했다. 비수도권에서 증가지속형에 포함된 4개 면은 모두 도농복합시에 자리하며, 도농복합시의 시가화구역이 수평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기성시가지에 연담한 주택단지가 개발되었거나(춘천 동내, 원주 판부, 순천 해룡), 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동시에 개발된 면(사천 사남)을 포함한다. 특히 해룡면은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과 연계된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대단위 공동주택이 건설됨에 따라, 2010~202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2만 8천 명 이상 인구가 증가했고 같은 기간 면 인구규모의 수위지역으로 성장했다.

감소지속형(유형B)은 전체의 65.0%에 달하는 762개 면을 포함하며(그림 4),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면의 인구변화를 대표하는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은 지난 1995~2020년 사이에 단 한 차례도 인구규모가 증가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소멸의 가능성이 농후하다. 762개 가운데 478개 면은 2020년의 인구규모가 3천 명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과소화한 면이 많다. 각 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남(83.2%), 전북(81.9%), 경북(78.0%), 충남(72.8%)의 순으로 이어진다. 도시화의 수준이 낮고 농촌적 성격이 강한 일부 군(홍성, 장수, 고창, 영암 등)에서는 모든 면이 감소지속형이고, 비수도권의 도농복합시에서도 감소지속형의 면이 많았다. 이에 반해, 서울이나 부산과 같은 거대도시에 인접해 있거나 거대도시로의 접근성이 양호한 경기, 강원, 충북, 경남에서는 감소지속형으로 분류된 면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비수도권의 면에서는 인구의 자연적 증감이 인구규모의 감소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이라면, 수도권의 면에서는 전출 규모의 확대에 따른 사회적 증감이 인구감소를 설명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4.jpg
Fig. 4.

증가지속형(A형)과 감소지속형(B형)의 분포

유형C는 1995~2000년 사이 인구규모가 감소했다가 이후 증가 경향으로 전환한 82개의 면으로, 강원(18개), 경기(11개), 충북(10개), 전남(10개), 인천(8개) 등지에 분포한다(그림 5). 유형C는 감소 경향이 일찍이 증가 경향으로 전환되었고 1995년에 비해 대부분 인구규모가 증가했다는 점에서 증가지속형에 포함된 면과 마찬가지로 향후 인구규모의 증가가 전망된다. 여기에 포함된 면은 외부에서 유입된 성장동력에 의해 인구감소를 극복한 곳이 많다. 성장동력은 기업도시 건설(원주 지정, 충주 중앙탑), 공공기관 입지(예천 호명, 경북도청), 산업단지 개발(김해 주촌), 기성시가지에 연담한 신시가지 개발(기장 일광, 통영 광도) 등이 있다. 충주시와 원주시에서는 유형C에 속한 면이 연담하여 분포하는데 이는 성장동력의 파급효과가 인접한 면까지 확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5.jpg
Fig. 5.

증가전환형의 유형별 분포

유형D는 1995년 이후 증가하던 인구규모가 이후 일시적인 감소를 경험함으로써 한번의 저점을 찍었다가 증가 경향으로 전환된 24개의 면을 포함하며, 경기(7개), 충남(4개), 경남(4개), 충북(3개) 등지에 분포한다(그림 5). 유형D에 속한 면의 인구규모는 1995~2000년 사이에 모두 증가했다는 점에서 전술한 유형C와 차이가 있으며, 인구규모가 저점을 찍은 이후 증가 단계에서 인구규모의 증가폭이 크게 형성되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이 유형은 1990년대에 진행되었던 성장이 지속되지 못해 인구감소 경향을 보였지만, 2000년대 들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구가 다시 증가한 면이다. 인구증가를 견인한 주요 요소는 공동주택 중심의 택지개발(창원 북, 이천 마장), 기성시가지에 연담한 공동주택 건설(양산 동, 춘천 동), 산업단지 및 배후 주거단지 조성(아산 둔포), 혁신도시 입지(음성 맹동) 등이 있다. 유형D는 일시적인 인구감소 단계에서 감소폭이 크지 않았던 반면 인구증가를 견인할 요소가 비교적 뚜렷했고 도시지역과의 접근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예상된다.

유형E는 1995년 이후 2015년에 이르기까지 인구규모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면서 두 번의 저점이 형성된 후 2015~2020년 사이 증가 경향으로 전환된 13개의 면을 포함하며, 경기(4개), 세종(2개), 경북(2개) 등지에 분포한다(그림 5). 2015~2020년 사이 도농복합시의 기성시가지에 인접해 대규모 산업단지 및 주거단지가 개발된 면(용인 남사,6) 평택 고덕, 안성 대덕)에서는 인구규모가 4천 명 이상 증가했지만, 뚜렷한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못한 면에서는 인구증가가 소폭으로 이루어졌다. 대규모 개발이 동반되지 않은 면에서는 인구규모의 감소폭이 증가폭을 크게 앞질러 1995년 대비 2020년의 인구규모는 대체로 감소했다. 유형E는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이 오랜 기간 지속되지 못하고 감소와 증가를 반복했다는 점에서 향후 감소전환형의 성격을 지닐 가능성이 있다.

유형F는 인구규모가 1995년부터 증가 경향을 보이며 한 번의 정점을 형성한 후 감소 경향으로 전환한 50개 면이 포함되는데, 경기(18개), 충남(10개), 경남(6개) 등 대도시권 주변부의 도농복합시에 주로 분포한다(그림 6). 여기에 포함된 면은 1990년대 공동주택단지가 개발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개된 탈도시화 및 주거지 교외화의 영향으로 인구가 증가했지만 이후 인구흡인력이 약화하면서 감소 경향으로 전환된 곳(아산 탕정과 신창, 파주 탄현과 월롱, 거제 연초)이 많다. 인구감소 경향으로 진입한 시기는 비수도권의 면(밀양 상남, 천안 입장, 원주 소초 등)이 수도권의 면에 비해 빠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geo/2021-056-06/N013560603/images/geoa_56_06_03_F6.jpg
Fig. 6.

감소전환형의 유형별 분포

유형G는 1995년 이후 감소하던 인구규모가 일시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가 다시 감소 경향으로 전환된 194개 면을 포함하고, 경남(38개), 경북(29개), 강원(25개), 전북(21개) 등 비수도권의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그림 6). 특히 유형G에 속한 109개 면은 2020년의 인구규모가 3천 명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과소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공동주택단지가 건설됨에 따라 인구규모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면(진주 금산, 서산 지곡, 익산 오산)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인구감소 시기가 많았던 만큼 대부분 면에서 인구규모의 감소폭이 증가폭보다 커서 인구감소 현상이 지배적이었으며, 1995년 대비 2020년에 인구가 증가한 면은 14개에 불과했다. 유형G는 전술한 감소지속형(유형B)과 비교했을 때, 인구규모 증감의 경향성에서 차이가 있지만 유형B와 같이 인구 과소화 경향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유형H는 1995년 이후 증가했던 인구규모가 감소와 증가를 되풀이한 후 최종적으로 감소 경향을 보임에 따라 두 차례에 걸쳐 인구규모의 정점이 형성된 20개 면을 포함하며, 경기(6개), 강원(3개), 충남(3개), 경남(3개) 등지에 분포한다(그림 6). 일부 면(고령 다산, 당진 신평, 아산 인주)에서는 산업단지 입지 및 배후 주택단지 건설과 같은 요소의 개입으로 인구가 증가했지만, 성장동력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함에 따라 인구규모 감소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그 외의 면에서는 인구증가를 견인할 특별한 동력이 없었으며, 인구가 증가했던 시기의 증가폭은 크지 않았다.

유형I는 1995년 이후 감소 경향을 보였던 인구규모가 5년 단위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함에 따라 인구규모의 정점과 저점이 각각 두 차례씩 형성된 7개 면을 포함한다. 일부 면은 혁신도시(완주 이서) 또는 기성시가지에 접한 산업단지 및 배후시가지(순천 서) 건설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인구규모가 증가했지만,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면서 인구감소로 전환되었다. 산업기반이 약하고 인구규모도 매우 작은 전형적인 농촌의 성격을 보이는 면(양구 남, 합천 덕곡)에서도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과 감소 경향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지만 감소의 경향성이 뚜렷하다. 유형I는 인구규모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난 점에서 유형H와 유사하고, 인구증가를 유발했던 흡인요인의 영향력이 장기간 지속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향후 인구감소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인구규모 변화의 특징

우리나라의 면은 도시화․저출산․고령화 등의 진행과 더불어 인구감소의 경향성이 지속된 곳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015~2020년 사이 인구증가 경향을 보이면서 과거의 인구규모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곳은 전체의 11.8%인 138개 면에 불과하다. 기간별 인구규모의 감소폭이 증가폭을 크게 앞질렀고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저출산의 흐름이 농촌에서도 예외가 아님을 고려하면,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을 보인 면이 과거의 인구규모를 회복하거나 인구규모 증가 경향으로 전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최근인 2015~2020년 사이 인구감소 경향을 보인 면이 전체의 88.2%를 차지하는 1,032개에 달했다는 사실이 최근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이 직면한 인구현상을 잘 반영해준다. 감소전환형에 속한 면 가운데 인구규모가 2015~2020년 사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2020년 이후 증가 경향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2010년대 들어 인구감소 경향을 보인 면의 수가 꾸준히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향후 감소전환형에 속하는 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공업단지의 배후지에 자리한 면, 도청과 같은 공공기관이 입지한 면, 혁신도시나 기업도시와 같은 특목도시가 개발된 면에서는 위치와 상관없이 인구가 증가하였고, 수도권 및 부산권의 주변부에서는 중심도시에서 진행된 교외화의 영향을 받은 도농복합시의 면에서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이 뚜렷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대다수 면에서 인구증가가 일시적으로 나타났음은 물리적 개발에 후행하는 성장동력의 지속성과 파급효과가 강력하게 발현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면의 인구규모 증가를 유인할 만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경기 동남부 및 이에 인접한 지역에서 증가지속형과 증가전환형으로 분류된 면의 분포는 서울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다. 증가지속형은 서울에서 반경 50㎞ 이내에 주로 분포하며, 증가지속형의 외곽에 증가전환형 면이 주로 분포한다. 경기 동남부는 수도권의 광역화가 심화하는 과정에서 본격적인 도시화가 진행되었으며, 교통여건의 개선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주요 도시와 연계가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수도권이 외연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서울에서 가까운 곳은 일찍부터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을 보였고, 경기도 이외의 지역에서 서울과의 접근성이 양호한 면은 증가전환형에 포함된 경우가 많았다.

일부 면에서는 인구규모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상당수의 면은 인구증가의 경향성을 오랫동안 지속시키지 못하고 인구감소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인구 및 경제활동의 규모가 크지 않은 농촌에서는 인구증가를 유인할 요인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인구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지속시키기 어렵지만,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적 활력 저하, 청장년층의 이탈에 따른 고령화 및 저출산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구감소의 악순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 것으로 보인다.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이 지속된 면은 그림 4에서 본 것처럼 평지보다는 산악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도시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접하기 쉽지 않아 도시성을 향유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보유한 곳이 많다.

도시규모가 성장하는 일부 도농복합시의 면에서는 인구규모 증가 경향이 나타나는 곳이 있지만, 도시 전체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한 도농복합시에서는 도시지역으로의 인구 쏠림현상이 심화하면서 면의 상대적 침체현상이 뚜렷해졌다. 접근성, 교통기반 시설, 대중교통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인접지역과의 공간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면에서는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성이 특히 강했다. 높은 교통비용은 주민의 이동성에 영향을 주고 농촌경제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이지 않으므로(Kilkenny, 1998), 도시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교통인프라가 열악해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이 뚜렷한 경북 북부, 충남 서남부, 전북 서남부, 전남 내륙과 남해안 일대, 경남 서북부 등지의 면은 인구감소에 따른 과소지역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5.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농촌의 성격을 지니는 면을 대상으로 1995~2020년 사이에 나타난 인구규모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고찰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면은 인구증가에 따라 도시지역인 읍이나 동으로 승격되면서 그 수가 감소했으며, 농촌탈출 및 출산률 감소로 인해 면에 거주하는 인구규모도 감소했다. 면의 인구감소는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한 공업화 및 도시화로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농촌에서의 인구재생산이 둔화된 것도 농촌의 인구규모를 감소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도시와 농촌의 인구규모 변화는 농촌인구의 감소와 도시인구의 증가로 인해 K자 패턴을 형성했으며 둘 사이의 격차는 1970년대 이후 꾸준히 확대되었다. 대부분 면의 인구는 감소했지만 일부 면에서는 인구집중이 심화함에 따라 중간 규모의 인구를 보유한 면이 급감하는 인구분포의 양극화가 뚜렷해졌다. 인구성장을 견인할 만한 성장동력을 확보했던 면에서는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지만, 뚜렷한 성장동력을 보유하지 못한 대부분 면에서는 인구감소의 경향이 유지되는 실정이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일부 면에서 인구규모가 확대되고 나머지 면에서는 대체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면별 인구분포의 쏠림현상이 심화되었다.

1995~2020년 사이 전체 면의 65.0%인 762개 면에서는 인구규모가 단 한 차례도 증가하지 않았으며, 모든 기간 인구가 증가한 면은 19개에 불과했다. 서울 및 부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거대도시권에서 진전된 교외화로 신규 주거단지가 조성된 면에서는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이 우세했지만, 강원도에서 백두대간을 따라 전남으로 이어지는 산악구간 또는 교통접근성이 양호하지 못해 공간상호작용이 수월하지 않은 면에서는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이 뚜렷해졌다. 특목도시나 공공기관의 입지와 같이 정부정책에 의해 외부에서 개입된 성장동력은 면의 인구규모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했지만, 중장기적으로 인구증가를 견인할 지속성을 확보하지는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면별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성을 불변과 변동으로 나누면 경향성 불변지역은 증가지속형과 감소지속형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1995~2020년에 이르기까지 인구규모가 꾸준하게 감소한 감소지속형에 가장 많은 면이 포함된다는 점을 통해 우리나라 면의 과소화 문제를 짐작할 수 있다. 과소화의 우려가 가장 큰 감소지속형은 서울권 및 부산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주로 자리한다.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성이 변동한 증가전환형과 감소전환형 가운데 증가전환형에 속하는 면의 수에 비해 감소전환형에 속하는 면의 수가 월등하게 많았다. 특히 감소전환형 가운데 인구규모의 감소 경향이 오랫동안 이어진 면 역시 감소지속형과 더불어 과소화의 위험성이 크다.

농촌에서는 대부분 인구규모가 감소 경향을 보이면서 과소지역화가 진행 중이고, 일부 농촌에서만 지속적인 인구규모 증가 경향이 나타났다. 도시화의 시대를 맞아 농촌의 인구감소가 지속되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지만, 꾸준하게 인구증가를 경험한 농촌도 존재한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공동주택 건설, 산업단지 조성, 특목도시 개발, 공공기관 입지 등 외부로부터의 개입에 의해 인구증가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외부로부터의 성장동력이 개입하지 않고 인구규모가 증가 경향으로 전환된 면도 다수가 존재했다. 또한 물리적 개발사업으로부터 얻은 지역성장의 동력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인구규모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감소 경향으로 전환된 면이 많았다. 이를 고려하면, 농촌의 인구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개발사업과 무관하게 인구규모의 증가 경향을 보인 면의 인구증가에 내재하고 있는 요인을 심층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면을 대상으로 인구규모의 증감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인구증가에 내재하고 있는 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인구의 감소에 따른 활력 저하, 청장년층의 이탈에 따른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부터 파생된 인구감소의 악순환 구조를 해결하고 인구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농촌의 과소화로 인한 소멸의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불균형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인천대학교 2020년도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21, 2020년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
2
김남일・최순, 1998,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한국인구학, 21(1), 42-79. 10.1016/S0034-3617(98)92017-3
3
김원중, 2021, "인국감소에 다른 지방소멸위기지역 지원특별법(안) 입법 개선 방안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21(1), 147-177.
4
김정연・김은순・오명택, 2014,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1), 27-44.
5
김태헌, 1996, "농촌인구의 특성과 그 변화, 1960~1995," 한국인구학, 19(2), 77-105.
6
김태헌・이창숭, 1995, "도시와 농촌 인구현상의 격차와 심화," 농촌사회, 5, 95-125.
7
남영우, 1995, 계량지리학, 법문사, 서울.
8
문재원・엄은희, 2012, "파주 관광경로의 전환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24(2), 167-185.
9
박길환, 2015, "한계고령화율 개념을 이용한 농촌지역 경제-복지의 보완관계 모색 연구," 농촌경제, 38(3), 1-35.
10
손승호, 2013, "인구규모의 변화를 통해 본 도농통합시의 차별적 성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85-98.
11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고용동향 브리핑, 한국고용정보원, 2-21.
12
임진영・김광선・임지은, 2016, 농촌지역 노동시장 변화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정도채・심재헌, 2017, "늘어나는 곳과 줄어드는 곳, 농촌인구와 농촌개발과제," 농업전망 2017(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9-81.
14
정성호, 2019, "강원도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험," 사회과학연구, 58(1), 3-22. 10.22418/JSS.2019.6.58.1.3
15
조성옥, 2006,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 59-71.
16
조임곤, 2020, "인구감소지역의 지방재정 현황과 과제," 국토, 460, 37-42.
17
조진우, 2020, "인구감소시대 도래에 따른 지방재정의 법적 과제," 지방자치법연구, 20(3), 3-27.
18
최남희, 2016, "읍면지역 한계고령화의 인과순환적 구조분석과 인구소멸 임계점에 대한 시뮬레이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7(1), 107-134.
19
통계청, 2011, 2010 농림어업총조사 최종 집계 결과.
20
통계청, 2016, 2015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부문 집계 결과.
21
홍준현, 2011, "성장촉진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유형화,"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15-435.
22
市川康夫, 2015, "フランスにおける農村の人口回帰と過疎化の展開," 地理空間, 8(2), 337-350.
23
Ausloos, M. and Cerqueti, R., 2018, Intriguing yet simple skewness: kurtosis relation in economic and demographic data distributions, pointing to preferential attachment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45(12), 2202-2218. 10.1080/02664763.2017.1413077
24
Brooks, M. M., 2021, Countering depopulation in Kansas: an assessment of the Rural Opportunity Zone program,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40(2), 137-148. 10.1007/s11113-020-09572-0
25
Bryden, J. and Bollman, R., 2000, Rural employment in industrialised countries, Agricultural Economics, 22(2), 185-197. 10.1111/j.1574-0862.2000.tb00017.x
26
Dahs, A., Berzins, A., and Krumins, J., 2021, Challenges of depopulation in Latvia's rural areas, Proceedings of the 2021 International Conference Economic Science for Rural Development, 535-545. 10.22616/ESRD.2021.55.055
27
Dent, H. S., 2014, The Demographic Cliff, Penguin, New York.
28
Feser, E. and Sweeney, S., 2003, Out-migration, depopulation, and the geography of U.S economic distres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6(1), 38-67. 10.1177/0160017602238985
29
Gogonea, V. D., 2019, Demographic crisis and depopulation in rural areas, Revista Universitară de Sociologie, 19(2), 204-210.
30
Hill, K., 2013, Why do fertility levels var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Regional Studies, 47(6), 895-912. 10.1080/00343404.2011.581276
31
Kilkenny, M., 1998, Transport cost and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8(2), 293-312. 10.1111/1467-9787.00093
32
Makkonen, T. and Kahila, P., 2020, Vitality policy as a tool for rural development in peripheral Finland, Growth and Change, 11(2), 706-726. 10.1111/grow.12364
33
O'Laughlin, B., 2017, Rural wage employment in developing countries: theory, evidence, and policy, Journal of Agrarian Change, 17(3), 639-645.
34
Pinilla, V. and Sáez, L. A., 2021, What do public policies teach us about rural depopulation: the case study of Spain, European Countryside, 13(2), 330-351. 10.2478/euco-2021-0021
35
Webber, D., Curry N. and Plumridge, A., 2007, Business productivity ans area productivity in rural England, Regional Studies, 43(5), 661-675. 10.1080/00343400701874156

[통계자료]

1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4] 1) 접경지역인 경기 파주시, 강원 철원군과 고성군의 미수복지구에 설치된 7개면은 행정업무를 처리하지 않아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5] 2) 일례로, 여주시 가남읍은 2013년 여주시 승격 당시 가남면에서 가남읍으로 승격했다.

[6] 3) 전라북도에 속했던 금산군이 1963년 충청남도로 소속이 변경됨에 따라 금산군의 10개 면이 충청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7] 4) 인구가 증가한 면의 수와 감소한 면의 수의 합이 전체 분석대상 면의 수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인구규모의 변동이 없었던 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8] 5) 일례로, 포천시에서 감소지속형에 포함된 4개 면(창수, 영중, 관인, 영북)은 2015~2020년 사이 모두 10% 이상 인구가 감소했는데, 자연적 감소는 각각 100명, 176명, 72명, 187명인데 반해 사회적 감소는 각각 365명, 785명, 621명, 571명에 달했다.

[9] 6) 남사면은 2021년 2월 19일 읍으로 승격했지만,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는 면이다.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