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56,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371-386
Abstract
References
1
고영구・조택희, 2018, “지역의 관점에서 본 대학정책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16(2), 79-98.
2
강창동, 2014, “한국의 국립대와 사립대의 대학경쟁력 비교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0(3), 301-323.
3
관계부처・지방자치단체 합동, 2020,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수정 기본계획(2019 ~ 2023).
4
교육부, 2021,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추진방향(안).
5
국가재정운용계획 교육분과위원회, 2019, 2019 ~ 2023 국가재정운용계획-교육 분야 보고서.
6
김수경, 2020, “우리나라 사립대학의 아카데믹 캐피탈리즘 분석,” 한국융합인문학, 8(3), 55-72.
7
김영석, 2017, “국립대 네트워크의 의의와 쟁점,” 교육비평, 39, 77-94.
8
김영철, 2020, “거점국립대의 재정 현황 평가: 서울소재 사립대와의 비교 분석,” 제도와 경제, 14(2), 59-98. 10.30885/RIE.2020.14.2.059
9
김영환・김지은, 2020,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6차년도) 제1권: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김종영, 2019, “세계적 대학체제로서의 대학통합네트워크,” 경제와 사회, 122, 171-213. 10.18207/criso.2019..122.171
11
대학교육연구소, 2021, 정부 대학재정지원 분석.
12
박문수・정우성・김태영・김은영, 2013, “대학의 기업가적 역할 확대와 국내 연구중심대학의 경향: POSTECH 사례를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 6(2), 81-110.
13
반상진, 2017, “‘국립대 연합체제’ 구축 방안 논의: 국립대 공동선발과 공동학위제 실현을 위한 방안 탐색,” 교육비평, 39, 58-76.
14
손호성, 2018, 기업가적 대학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안영진, 2015,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190-205.
16
원치운・배태준・최경철, 2020, “기업가형 대학의 사례 연구: 양손잡이 전략 관점으로,” 벤처창업연구, 15(4), 27-43.
17
이윤준・김정호, 2021,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평가: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비교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6(2), 25-59. 10.46251/INNOS.2021.5.16.2.25
18
이재훈・석민, 2014, “THM(Triple Helix Model)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대구경북지역의 사회적 자본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69-85. 10.23841/egsk.2014.17.1.69
19
이종호・김태연・이철우, 2009, “외레순 식품 클러스터의 트리플 힐릭스 혁신체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388-405. 10.23841/egsk.2009.12.4.388
20
이종호・이철우, 2014, “트리플 힐릭스 공간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의 경로파괴적 진화: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249-263.
21
이종호・이철우, 2015, “클러스터의 동태적 진화와 대학의 역할: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3), 489-502.
22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799-811.
23
이종호・장후은, 2019, “대학-지역 연계형 산학협력 사업의 발전단계와 특성: LINC+사업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96-109. 10.23841/egsk.2019.22.1.96
24
이종호・장후은, 2020, “대학과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71-81.
25
이채원・Marc Meyer, 2021,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개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5(1), 1-27.
26
이철우・이종호・박경숙, 2010,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335-353.
27
임한려・홍성표, 2021, “기업가형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을 위한 대학의 창업 성과 영향요인 분석,” 벤처창업연구, 15(2), 19-32.
28
조성의, 2014, “사이언스파크에서 기업가적 대학의 역할에 대한 연구: 북경 중관촌 지역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160-177.
29
최병호・이근재, 2020, “고등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고등교육재정의 개혁 과제: 거점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3), 181-202. 10.20484/klog.24.3.9
30
최정은・홍성훈, 2017, “지역거점 국립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15(2), 41-57.
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2020년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평가.
32
한정희, 2013, “기업가적 대학과 스마트전문화에 기반한 대학의 창업환경 조성연구- 테크니온공대, 히브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8(3), 205-215.
33
Cai, Y. and Liu, C., 2014, “The roles of universities in fostering knowledge - intensive clusters in Chines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Science and Public Policy, 42, 15-29. 10.1093/scipol/scu018
34
Clark, B. R., 1998, Creating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Organizational Pathways of Transformation, Issues in Higher Education, Elsevier Science, New York.
35
Clark, B. R., 2001,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New foundations for collegiality, autonomy, and achievement,” Higher Education Management, 13(2). 9-25.
36
Etzkowitz, H., 2008, The Triple Helix: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novation in Action,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37
Etzkowitz, H. and Leydesdorff, L., 1995, “The triple helix -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A laboratory for knowledge-based economic development,” EASST Review, 14(1), 14-19.
38
Etzkowitz, H. and Zhou, C., 2018, The Triple Helix: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Routledge, London. 10.4324/9781315620183
39
Gibb, A. and Hannon, P., 2006, “Towards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4(1), 73-110.
40
Guerrero, M., Cunningham, J. and Urbano, D., 2015, “Economic impact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ctivitie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United Kingdom,” Research Policy, 44, 748-764. 10.1016/j.respol.2014.10.008
41
Lendel, 2010, “The impact of research universities on regional economies: The concept of university product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4(3), 210-230. 10.1177/0891242410366561
42
OECD, 2012, A guiding framework for entrepreneurial university.
43
O’Reilly, N. M. and Robbins, P., 2018,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a perspective on th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Journal of Small Business & Entrepreneurship, 31(3), pp.1-21. 10.1080/08276331.2018.1490510
44
O’Shea, P., Allen, J., Morse, P., O’Gorman, C. and Roche, F., 2007, “Delineating the anatomy of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xperience,” R&D Management, 37(1), 1-16. 10.1111/j.1467-9310.2007.00454.x
45
Philpott, D., O’Reilly, C. and Lupton, C., 2011,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Examining the underlying academic tensions,” Technovation 31, 161-170. 10.1016/j.technovation.2010.12.003
46
Piqué, J. M., Berbegal-Mirabent, J. and Etzkowitz, H., 2020, “The role of universities in shaping the evolution of Silicon Valley’s ecosystem of innovation,” Triple Helix Journal, 1-45. 10.1163/21971927-bja10009
47
Reichert, S., 2019, The Role of Universities in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s, European University Association, Brussels.
48
Romero, E., Ferreira, J. and Fernandes, C., 2020, “The multiple faces of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a review of the prevailing theoretical approaches,”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10.1007/s10961-020-09815-4.
49
Slaughter, S. and Leslie, L. L., 1997, Academic Capitalism: Politics, policies,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MA.
50
Stephan, P., Gurmu, S., Sumell, A. and Black, G., 2007, “Who’s patenting in the university? Evidence from the survey of doctorate recipient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16(2), 71-99. 10.1080/10438590600982806
51
Stuck, J., Broekel, T. and Diez, Revilla, J., 2016, “Network structure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European Planning Studies, 24(3), 423-442. 10.1080/09654313.2015.1074984
52
Tödtling, F. and Trippl, M., 2018,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for new path development beyond neo-liberal and traditional systemic views”, European Planning Studies, 26(9), 1779-1795. 10.1080/09654313.2018.1457140
53
Zou, Y. and Zhao, W., 2014, “Anatomy of Tsinghua university science park in China: Institutional evolution and assessment”,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39(5), 663-674. 10.1007/s10961-013-9314-y
54
대학알리미, 2018년, 2019년, 2020년 대학별 대학정보공시, www.academyinfo.go.kr/.
55
부산일보, 2021, “「국립대학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개최”, 2021년 6월 7일. http://www.busan.com/view/busan/view. php?code=2021060709560931693.
56
지역거점국립대학, 지역거점국립대학 명단, http://knu9.ac.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6
  • No :4
  • Pages :371-386
  • Received Date : 2021-07-16
  • Revised Date : 2021-08-05
  • Accepted Date :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