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3 Vol.58, Issue 6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23. pp. 657-671
Abstract
References
1
김서운, 1973, "한반도 남동단부(방어진-포항) 해안에 발달하는 단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9(2), 89-121.
2
김종연, 2015, "아야진 구릉에 분포하는 풍화대와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4), 67-86. 10.35149/jakpg.2015.25.4.006
3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5, "포항 북부 흥해읍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 연대," 한국지형학회지, 12(1), 103-116.
4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 "울진 후정-죽변 일대의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1), 15-28.
5
김주용, 1990, 한반도 동남해안의 포항 일대에 분포하는 단구역층에 대한 제4기 층서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류희경・홍영민・홍성찬・신재열, 2022, "한반도 서해안 고창 하전리 일대 제4기 후기 해안단구의 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9(4), 55-69. 10.16968/JKGA.29.4.55
7
박희두, 2001, "서해안 고군산 열도와 위도 주변 섬들의 구해빈 퇴적물," 한국지형학회지, 8(2), 11-20.
8
송교영・박승익・조등룡, 2011, 속초・양양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
신재열・박경근, 2016, "포항시 흥해읍 일대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703-713.
10
신재열・홍성찬, 2018, "남해안 사천시 대포동 일대에 분포하는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25(3), 57-70. 10.16968/JKGA.25.3.57
11
신재열・홍성찬・홍영민・류희경, 2021a, "완도군 청산도 일대에 분포하는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의 형성 시기 및 형성 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4), 445-457. 10.26863/JKARG.2021.11.27.4.445
12
신재열・홍영민・류희경・홍성찬, 2021b, "서해안 서천군 당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육상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II): 추가 연대 자료 및 제4기 후기 연안 지형 발달 모델," 한국지형학회지, 28(3), 51-61. 10.16968/JKGA.28.3.51
13
신재열・홍영민・홍성찬, 2019, "부산 다대포 지역 해안 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 한국지형학회지, 26(4), 67-79. 10.16968/JKGA.26.4.67
14
신재열・홍영민・홍성찬, 2020, "서해안 서천군 당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육상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II)," 한국지형학회지, 27(1), 33-45. 10.16968/JKGA.27.1.33
15
신재열・홍영민・홍성찬・류희경, 2022, "한반도 서해안 해남 구림리 일대 최종 간빙기 해안단구의 분포와 발달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7(6), 583-593.
16
양동윤・한민・김진철・임재수・이상헌・김주용, 2016, "한반도 서남해안 MIS 5e 해안단구의 퇴적층 특성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 49(6), 417-432. 10.9719/EEG.2016.49.6.417
17
윤순옥・박충선・황상일, 2015, "충남 보령시 남포 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2(1), 75-87.
18
윤순옥・황상일・박충선・김효선・문영롱, 2008,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3(4), 449-465.
19
윤순옥・황상일・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20
이광률・박충선, 2006, "광양만 일대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 형성 시기," 대한지리학회지, 41(3), 346-360.
21
이동영, 1987, "Stratigraphical research of the Quaternary deposits in the Korean peninsula", 제4기학회지, 1(1), 3-20.
22
이동영, 1998,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제4기학회지, 12(1), 77-88.
23
이선복・이용일・임현수, 2009, "강릉시 정동진 지역 단구지형 재고," 한국지형학회지, 16(2), 29-42.
24
이호일・백인성・강희철・천종화, 2013,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분포하는 제2 해안단구 퇴적층의 산상 및 형성 과정," 지질학회지, 49(4), 417-436.
25
최성길, 1995, "강릉-묵호해안 최종간빙기 해성면의 동정과 발달과정," 한국지형학회지, 2(1), 9-20.
26
최성길, 1996, "웅천천 유역의 하성단구로부터 추정되는 구정선 고도와 그 의의-한국 서해안의 제4기 환경 변화 규명에 있어서 임해산악지역 소하천 하성단구 연구의 중요성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3), 613-629.
27
최성길, 2019, "한반도 남동부 영덕 해안의 최종 간빙기 해성단구와 지반 융기율," 한국지리학회지, 8(1), 61-70. 10.25202/JAKG.8.1.5
28
최성자, 2016, "호미곶과 구룡포 지역 해안단구와 신기지구조 운동," 암석학회지, 25(3), 231-240. 10.7854/JPSK.2016.25.3.231
29
최성자, 2019,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52(5), 409-425.
30
최정헌・정창식・장호완, 2004, "석영을 이용한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의 원리와 지질학적 적용," 지질학회지, 40(4), 567-583.
31
허서영・최정헌・홍덕균, 2014, "수렴단층노두 해안단구 퇴적층의 OSL 연대에 대한 재고찰-단일입자 OSL 연대측정 연구," 암석학회지, 23(3), 187-195. 10.7854/JPSK.2014.23.3.187
32
홍성찬, 2016, "암석 표면 루미네선스 연대측정의 원리와 지형학적 적용," 한국지형학회지, 23(4), 127-136. 10.16968/JKGA.23.4.127
33
홍성찬, 2018, "한반도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 측정 결과 고찰," 한국지리학회지, 7(2), 157-164. 10.25202/JAKG.7.2.3
34
홍성찬・최정헌・김종연, 2016, "강릉-동해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퇴적물의 지화학적 풍화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23 (2), 95-108.
35
홍성찬・최정헌・여은영・김종욱, 2013, "K-장석을 이용한 IRSL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의 원리와 적용," 지질학회지, 49(2), 305-324.
36
황상일・윤순옥, 1996, "한국 동해안 영덕 금곡지역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 발달," 한국지형학회지, 3(2), 99- 114.
37
Buylaert, J. P., Murray, A. S., Thomsen, K. J. and Jain, M., 2009, Testing the potential of an elevated temperature IRSL signal from K-feldspar, Radiation Measurements, 44, 560-565. 10.1016/j.radmeas.2009.02.007
38
Choi, J. H., Kim, J. W., Murray, A. S., Hong, D. G., Chang, H. W. and Cheong, C. S., 2009, OSL dating of marine terrace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ith implications for quaternary tectonics, Quaternary International, 199, 3-14. 10.1016/j.quaint.2008.07.009
39
Choi, J. H., Murray, A. S., Jain, M., Cheong, C. S. and Chang, H. W., 2003, Luminescence dating of well-sorted marine terrace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 407-421. 10.1016/S0277-3791(02)00136-1
40
Hong, Y. M., Choi, J. H., Weon, H. J., Kim, S. J., Park, J. Y., Shin, J. R., Lim, H. S. and Shin, S. W., in press, Formation history of marine terraces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since MIS 5a revealed by quartz OSL dating of marine and colluvial sediments in the Nulchado island, Quaternary Geochronology.
41
Lee, S. Y., Seong, Y. B., Kang, H. C., Choi, K. H. and Yu, B. Y., 2015, Cosmogenic 10Be and OSL dating of marine terraces along the Central-East Coast of Korea: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uplift rates, The Open Geography Journal, 7, 28-39. 10.2174/1874923201507010028
42
Murray, A. S. and Wintle, A. G., 2000, Luminescence dating of quartz using an improved single-aliquot regenerative-dose protocol, Radiation Measurements, 32, 57-73. 10.1016/S1350-4487(99)00253-X
43
Murray, A. S. and Wintle, A. G., 2003, The single aliquot regenerative dose protocol: potential for improvements in reliability, Radiation Measurements, 37, 377-381. 10.1016/S1350-4487(03)00053-2
44
Oh, G. H., 1981, Mari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 on the coas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lletins of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kyo, 13, 1-16.
45
Ota, Y. and Omura, A., 1992, Contrasting styles and rates of tectonic uplift of coral reef terraces in the Ryukyu and Daito islands, southwestern Japan, Quaternary International, 15/16, 17-29. 10.1016/1040-6182(92)90033-X
46
Ryang, W. H., Simms, A. R., Yoon, H. H., Chun, S. S and Kong, G. S., 2022, Last interglacial sea-level proxies in the Korean Peninsula, Earth Sysrem Science Data, 14, 117-142. 10.5194/essd-14-117-2022
47
Thomsen, K. J., Murray, A. S., Jain, M. and Bøtter-Jensen, L., 2008, Laboratory fading rates of various luminescence signals from feldspar-rich sediment extracts, Radiation Measurements, 43, 1474-1486. 10.1016/j.radmeas.2008.06.002
48
Wintle, A. G. and Murray, A. S., 2006, A review of quartz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evance in single-aliquot regeneration dating protocols, Radiation Measurements, 41, 369-391. 10.1016/j.radmeas.2005.11.001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8
  • No :6
  • Pages :657-671
  • Received Date : 2023-11-13
  • Revised Date : 2023-12-18
  • Accepted Date :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