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55,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June 2020. pp. 289-312
Abstract
References
1
감정기・강인수, 2012, "지역사회 삶의 질로서 생활만족도와 행정통합효과: 창원시의 사례," 가라문화, 24, 97-123.
2
강갑선・안재섭, 2011, "창원시 행정구역 통합 이후 주민 화합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4), 25-38.
3
강정운, 2011, "지방행정구역개편의 논리 및 가치: 창원시 통합의 사례," 지역발전연구, 11(1), 1-22.
4
국토연구원, 2004, 공간분석기법, 한울아카데미.
5
금창호, 2018, "100만 특례시 추진, 어떻게 추진돼야 하나," 월간 공공정책, 158, 55-57.
6
김남성, 2013, 통합 창원시의 행정구역 통합에 관한 연구 - 통합의 효과 평가 및 통합 성공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7
김선기, 1996, "도농복합시의 도시계획체제 정립," 지방행정연구, 11(1), 117-141.
8
김선명・김기현, 2008, "행정구역개편안에 관한 주요 쟁점 및 평가,"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5(3), 351-381.
10.17089/kgr.2008.15.3.014
9
김승렬, 2015,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재정효과분석: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20(4), 153-181.
10
김영철・이우배, 2013,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통합의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1), 181-204.
11
마상열・강인주, 2009, 경남 인구감소도시의 관리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12
민병익, 2015, "행정구역 통합 후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인식 변화의 원인 분석: 통합 창원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4), 557-583.
13
박세정, 2019, "행정DB로 본 지역 고용동향 심층분석,"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2019년 겨울호, 6-23.
14
박정환, 2015, 광주・전남의 산업 및 수출경쟁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무역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15
성주한・정삼석・정상철, 2018, "지역 주택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와 통합 창원시의 동태적 비교를 중심으로 -," 부동산학보, 74, 64-74.
16
소순창, 2010, 지방행정체제 개편: 미미한 성과 그리고 기나긴 여정, 지방행정연구, 24(4), 29-58.
17
신원섭・최경욱, 2018,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경남지역 산업경쟁력 비교 분석 -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 지역산업연구, 41(2), 119-222.
18
안성호, 2009, "지방자치체제 개편과 자치단위의 규모," 바람직한 자치행정체제개편을 위한 합동세미나 논문집, 81-117.
19
오승용, 2014, 지방정부 통합에 대한 주민의 시각이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유범식・김성록・이종상, 2015,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충청남도 제조업의 변화와 전망: 회귀분석과 이차계획법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1), 165-183.
21
이민호・윤광석・조세현・원소연, 2013, "지방자치 권한 확대를 위한 준광역시 모델의 설계방안: 통합 창원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347-2370.
22
이시원, 2011, "통합창원시의 평가와 문제점," 지방행정 60(689), 28-41.
23
이양재, 2013, 행정구역 통합의 갈등 원인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영, 2019, "창원시 특례시 추진의 필요성과 추진전략,"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29-241.
25
이재원, 1996, "도농통합 이후 복합형 도시의 지역균형개발과제: 통합구미시를 중심으로," 지방자치, 90, 123-128.
26
이태근, 2014,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지역간 갈등의 영향요인 연구 - 창원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1(2), 347-367.
27
이희연, 2010, "지식창출활동의 공간적 집적과 지역간 격차요인 분석," 지식재산연구, 5(1), 113-149.
10.34122/jip.2010.03.5.1.113
28
이희연・황은정, 2008, "창조산업의 집적화와 가치사슬에 따른 분포특성: 서울을 사례로," 국토연구, 58, 71-93.
29
임동근, 2017, "통합창원시의 인구변화: 인구구조, 이주, 교통량을 중심으로," IDI 도시연구, 319-340.
30
임석회, 1995, 공간조직의 관점에서 본 한국행정구역의 문제와 개편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31
임석회・양민지, 2015, "창원시의 행정구역 통합: 전개과정, 기대효과 및 한계,"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년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85-90.
32
장문현, 2016,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도시쇠퇴 특성 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424-438.
33
정경숙, 2017, "행정구역 통합과 도시공간분포 변화분석: (통합)창원시 사례," 지방정부연구, 20(4), 245-364.
34
정삼석・정상철, 2014, "행정통합에 따른 아파트가격 분석과 지역간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통합창원시(구 창원・마산・진해시)를 중심으로 -," 부동산학보, 58, 276-290.
35
조재욱, 2014, "통합과 갈등의 지방정치: 통합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30(3), 29-57.
10.17331/kwp.2014.30.3.002
36
조형규・이정원, 2011, "행정구역 통합에 따른 통합 창원시 도시구조 예측,"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2), 105-114.
37
조혜승・문명재, 2013, "지방자치단체 통합으로 인한 갈등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통합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4), 145-166.
38
최낙범, 2009, "마산-창원-진해-함안 동일생활권 바탕으로 효율성 제고 기대," 지방행정, 58(671), 24-27.
39
최영출, 2005, "지방자치단체의 적정규모 검토를 위한 실증적 연구 - 자치계층제와 적정규역규모논의의 시각에서 -," 지방행정연구, 19(2), 239-262.
40
최창수, 2014, "시군통합정책의 합리성과 숨겨진 정책의도,"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53-73.
41
최창수・강문희, 2013, "지방정치의 후견주의 구조와 지방정부 통합: 창원시 통합 결정과정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47(4), 167-187.
42
한표환, 2010. "통합창원시의 출범과 발전 전략모색," 경남발전, 109, 2-4.
43
水津一朗, 1980, 社會地理學の基本問題, 大明堂.
44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 93-115.
10.1111/j.1538-4632.1995.tb00338.x
45
Barlow, I. M., 1981, Spatial Dimensions of Urban Government, Chichester and New York, RSP, A Division of John Wiley & Sons Ltd.
46
Berube, A. and Murray, C., 2018, Renewing America's Economic Promise through Older Industrial Cities, The Brookings Institution.
47
Cox, W., 2008, Government Efficiency: The Case for Local Control, New York, The Association of Towns of the State of New York.
48
Fisher, R. C., 1987, State and Local Public Finance, Glenview, ILL and London, Scott, Foresman and Company.
49
Massam, B., 1975, Location and Space in Social Administration, Guildford and London, Arnold.
50
Savitch, H. and Vogel, R. K., 2000, "Introduction: Paths to view new regionalism," State and Local Government Review, 32(3), 158-168.
10.1177/0160323X0003200301
51
Smith, B. C., 1985, Decentralization: The Territorial Dimension of the State, London, George Allen & Unwin.
52
Tiebout, C. M., 1972,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 in Edel, M. and Rothenberg, J.(eds.), Readings in Urban Economics, MacMillian Publishing Co., 513-523.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5
  • No :3
  • Pages :289-312
  • Received Date : 2020-03-20
  • Revised Date : 2020-04-22
  • Accepted Date : 202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