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56, Issue 2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1. pp. 129-147
Abstract
References
1
강진구・이기성, 2019, “텍스트마이닝 (Text Minning) 을 통해 본 제주 예멘 난민: 네이버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0, 103-135. 10.15400/mccs.2019.04.30.103
2
고민경, 2019, “모빌리티를 통해 본 이주자 밀집지역의 역동성 탐구,” 문화역사지리, 31(3), 155-171.
3
고민경, 2020,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에 따른 도시 경험: 정동적 플랫폼 도시론(affective platform urbanism)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3(3), 35-47. 10.21189/JKUGS.23.3.3
4
구기연, 2018, “난민 이슈가 보여준 우리의 민낯: 한국의 이슬람 혐오와 난민 문제,” 창작과 비평, 46(3), 401-412.
5
김경연, 2012, “마이너리티는 말할 수 있는가-난민의 자기역사 쓰기와 내셔널 히스토리의 파열,” 인문연구, 64, 301-334.
6
김성경, 2012, “경험되는 북, 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공간과 사회, 40, 114-158.
7
김성진, 2016, “영국의 난민정책: 시리아난민 사례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19(2), 107-139.
8
김성진, 2017, “동유럽 각국의 시리아 난민정책. 동유럽발칸연구,” 41, 57-84.
9
김세은・김수아, 2008, “다문화사회와 미디어의 재현: 외국인 노동자 보도 분석, 다문화사회연구,” 1(1), 39-73.
10
김시라・김향선・황희숙, 2020, “한 탈북 여성의 생애사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7, 315-332.
11
김신영, 2019, 기사 분석을 통한 국내 체류 난민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용철, 2020, “우리나라 난민법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행정사학지, 50, 139-158.
13
김은경, 2020, “동북아시아 난민 법제 현황 및 지역적 협력체 제안,” 인권법평론, 24, 203-237.
14
김중관, 2020, “예멘 사태의 변화 과정 평가와 난민 문제의 시사점,” 한국중동학회논총, 41(1), 35-65.
15
김현정・문보경, 2016, “사회안보 관점에서의 난민,” 21세기정치학회보, 26(3), 125-148.
16
남옥정, 2017, “UAE와 KSA의 난민정책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37(3), 1-26.
17
노관령・이태동, 2019, “국제규범의 국내입법 과정에서 NGO 의 영향력: 한국의 단일 난민법 제정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5(1), 75-99. 10.15820/khjss.2019.45.1.005
18
노동영, 2019, “난민법 개정방향과 강제송환금지원칙,” 법과 정책연구, 19(3), 471-496. 10.17926/kaolp.2019.19.3.471
19
노시학, 1996, “도시교통의 사회적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 37-47.
20
노시학, 2014, “교통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형평성과 사회적 배제 개념을 중심으로,” 교통연구, 21(4), 67-86.
21
노영순, 2013, “바다의 디아스포라, 보트피플: 한국에 들어온 2차 베트남난민 (1977~1993)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7(2), 75-108.
22
노영순, 2017, “동아시아의 베트남난민 수용과 각국의 난민 정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16, 73-114. 10.35158/cisspc.2017.04.16.73
23
노호창, 2020, “교통약자의 이동권 및 교통편의 증진을 위한 법 개정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3), 163-195. 10.47294/KSBDA.20.2.15
24
문남철, 2004, “북한이탈주민의 이주요인과 이주패턴 및 이주경로-재외 거주공간정책의 필요성,” 국토지리학회지, 38(4), 497-512.
25
문남철, 2017, “유럽연합 유입 난민 및 불법 이주민의 이주경로와 외부국경, 통제의 탈지역화,” 국토지리학회지, 51(3), 281-295.
26
박상희, 2019, “한국 거주 난민의 구술사: 타자화 경험과 인종문제,” 대구사학, 137, 163-208. 10.17751/DHR.137.163
27
박선희, 2016, “프랑스의 난민정책: EU 공동난민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EU 연구, (42), 27-63. 10.18109/jeus.2016..42.27
28
박인현, 2016, “인권 보호 차원에서 본 우리나라 난민법,” 법과인권교육연구, 9(2), 89-114.
29
박지영, 2020, “소외 지역의 모빌리티 향상을 위한 정책적 탐구,” 국토, 126-127.
30
배진숙, 2020, “초국적 유학생 모빌리티: 해외출신 한국계 혼혈대학생들의 교육・사회적 경험에 관한 연구,” 다문화와 평화, 14(2), 74-100.
31
서영표, 2020,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 탐라문화, 65, 137-174.
32
서지원, 2018, “아세안 국가의 인도차이나 난민 정책에 대한 연구 (1975-1996),” 국제정치연구, 21(1), 151-169. 10.15235/jir.2018.06.21.1.151
33
손명희, 2018, “탈남한 탈북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캐나다 토론토 거주자 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2(1), 139-181.
34
손사라, 2019, 예멘 난민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손영화, 2019, “난민문제에 관한 서론적 고찰-난민 수용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중심으로,” 한양법학, 30(2), 27-58. 10.35227/HYLR.2019.05.30.2.27
36
송효진・김소영・이인선・한지영, 2018, “한국에서의 난민여성의 삶과 인권,” 이화젠더법학, 10(3), 149-189.
37
신성식・서봉성, 2020, “난민인정 절차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16(4), 137-148.
38
신예원・마동훈, 2019, “국내 미디어에 재현된 ‘예멘 난민’의 양면: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17(2), 31-80. 10.21328/JMEC.2019.5.17.2.31
39
신지원, 2019, “‘가짜’난민의 담론적 구성: 영국 난민신청자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담론 201, 22(2), 69-107. 10.17789/discou.2019.22.2.003
40
심성은, 2019, “EU 난민정책의 회원국 국내법에 대한 영향: 프랑스 사례연구,” 통합유럽연구, 10(2), 191-225.
41
안성경, 2017, “독일의 난민법 개혁의 현황과 시사점,” 유럽헌법연구, (23), 389-425.
42
안성경・윤이숙, 2013, “난민의 지위와 인정 절차의 법제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독일 난민법과 비교를 중심으로,” 유럽헌법연구, (13), 127-150.
43
오혜민, 2019, “혐오가 된 ‘충분한 근거가 있는’ 불안: 난민과 여성의 공포 인정 논의를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12(2), 157-191. 10.20992/gc.2019.12.12.2.157
44
윤상용, 2004,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바람직한 입법 방향,” 보건복지포럼, 95, 91-103.
45
윤신희, 2018, “새로운 공간개념으로서의 모빌리티스,” 국토지리학회지, 52(4), 467-479.
46
윤신희・노시학, 2015, “새로운 모빌리티스 (New Mobilities)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토지리학회지, 49(4), 491-503.
47
윤신희・노시학, 2016, “모빌리티스 (Mobilities) 개념의 주요 구성요소 및 측정변수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0(4), 503-511.
48
이경준・서문진희, 2013, “농촌지역 노인들의 이동권 증진을 위한 교통복지적 대안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7(1), 247-269. 10.18398/kjlgas.2013.27.1.247
49
이병렬・김희자, 2011, “캐나다, 호주, 독일, 프랑스 난민정책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18(2), 33-68. 10.17000/kspr.18.2.201106.33
50
이병하, 2018, “한국 난민 이슈의 정치화, 문화와 정치,” 5(4), 33-68. 10.22539/culpol.2018.5.4.33
51
이상봉, 2017, “모빌리티의 공간정치학: 장소의 재인식과 사회관계의 재구성,” 대한정치학회보, 25(1), 113-138. 10.34221/KJPS.2017.25.1.5
52
이선영・이홍직, 2020, “일본의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정책 고찰을 통한 한국에의 정책적 함의,” 일본문화학보, 86, 143-160.
53
이수범・강연곤, 2013, “국내 일간지의 이슈에 관한 보도 프레임 분석: 정치적 소통과 여론 형성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1), 28-53.
54
이수정・최두영, 2020, “이슬람과 국내 언론의 시각: 2011-2019년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1(1), 95-122.
55
이신화, 2017, “인구, 이주, 난민안보의 ‘복합지정학’: 지구촌 신흥안보의 위협과 한반도에의 함의,” 아세아연구, 60(1), 6-50.
56
이용균, 2015,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에 대한 지리학적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147-159.
57
이용균, 2019, “모빌리티가 여행지 공공공간의 사적 전유에 미친 영향: 터키 여행공간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47-62. 10.21189/JKUGS.22.2.5
58
이유신, 2019,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이동패턴 연구: 시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9(4), 97-119.
59
이유혁, 2017, “정치적 주체로서 난민에 대해서: 난민의 생명정치와 트랜스로컬 정치지형학 그리기,” 다문화와 평화, 11(1), 194-224. 10.22446/mnpisk.2017.11.1.008
60
이은별・이종명, 2017, “한국과 프랑스 방송뉴스의 이슬람 재현 비교연구: 2015 년 11 월 파리 테러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6(4), 225-254.
61
이진형, 2018,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모빌리티 텍스트 연구 방법의 모색,” 대중서사연구, 24(48), 377-402. 10.18856/jpn.2018.24.4.012
62
이희영, 2013, “(탈) 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북한연구학회보, 17(1), 355-393.
63
전의령, 2020, “타자의 본질화 안에서의 우연한 연대: 한국의 반다문화와 난민 반대의 젠더정치”, 경제와사회, 360-401.
64
정금심, 2018, “난민 인권 보호를 위한 난민법 개정 방향 연구-난민 심사 및 난민 처우를 중심으로,” 법조, 67(3), 645-698.
65
정다솜・권순희, 2019, “신문기사에 나타난 ‘난민’ 관련 은유 표현 연구 : 제주도 이주 예멘 난민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63, 1-34. 10.19033/sks.2019.3.63.1
66
조명래, 2015, “모빌리티의 공간 (성) 과 모바일 어버니즘,” 서울도시연구, 16(4), 1-23.
67
조영희・박서연, 2018, Yemeni Asylum Seekers and a Discussion on the Korean Refugee System, 이민정책연구원 이슈브리프.
68
조정아, 2014, “탈북 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현대북한연구, 17(1), 101-155. 10.17321/rnks.2014.17.1.003
69
최유경, 2017, “미국 난민법 체계와 시사점: 전문 비호심사관 제도의 확충을 위한 제언,” 공법학연구, 18(4), 397-430.
70
최은주, 2018, “난민 캠프의 공간성과 정치성: 베를린 템펠호프 폐공항을 중심으로,” 인간・환경 미래, (21), 41-69.
71
하용삼・배윤기, 2013, “경계의 불일치와 사이 공간에서 사유하기 - G. 아감벤의 국민․ 인민, 난민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62), 85-108.
72
한건수, 2014, “한국 에티오피아 이주민의 이주 동학: 경향, 유형 및 난민 연계,” 지역과 세계, 38(2), 182-209.
73
한수정, 2019, 결혼이민여성의 모빌리티스 제약과 극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4
허창덕・신주영, 2011,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국내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향,” 재활복지, 15, 1-25.
75
황경아, 2017,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과 언론의 재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의 반다문화 관련 기사에 대한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2(4), 143-189. 10.38196/mgc.2017.12.32.4.143
76
Abu-Lughod, L., 2013, Do Muslim Women need Saving?,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0.4159/9780674726338
77
Adey, P., 2006, If Mobility is everything then it is nothing: towards a relational politics of (Im)mobilities, Mobilities, 1(1), 75-94. 10.1080/17450100500489080
78
Adey, P., 2017, Mobility, Taylor and Francis.(피터 에디 저, 최일만 역, 2019, 모빌리티 이론, 앨피.) 10.4324/9781315669298
79
Adey, P., Bissell, D., Hannam, K., Merriman, P. and Sheller, M. (Eds.), 2014, The Routledge Handbook of Mobilities. Routledge, London. 10.4324/9781315857572
80
Ahmed, S. and Matthes, J., 2017, Media representation of Muslims and Islam from 2000 to 2015: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79(3), 219-244. 10.1177/1748048516656305
81
Cook, N. and Butz, D., 2019, Moving toward mobility justice. Mobilities, Mobility Justice and Social Justice, Routledge, London. 10.4324/9780815377047
82
Cresswell, T., 2008, Understanding Mobility Holistically: The Case of Hurricane Katrina, In The Ethics of Mobilities: Rethinking Place, Exclusion, Freedom and Environment, edited by S. Bergmann and T. Sager, 129-140. Ashgate, Aldershot.
83
Cresswell, T., 2010,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8 (1), 17-31. 10.1068/d11407
84
Davidson, A. C., 2020, Radical mobil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45(1) 25-48. 10.1177/0309132519899472
85
Iqbal, S., 2019, Mobility justice, phenomenology and gender: a case from Karachi, Essays in Philosophy, 20(2), 171-188. 10.7710/1526-0569.1634
86
Koo, G. Y., 2018, Islamophobia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Islam in Korea, Journal of Korean Religions, 9(1), 159-192. 10.1353/jkr.2018.0006
87
Nussbaum, M. C., 2019, The monarchy of fear: A philosopher looks at our political crisis. Simon & Schuster.(마사 누스바움 저, 임현경 역, 2020, 타인에 대한 연민, 알에이치코리아.)
88
Pécoud, A., and De Guchteneire, P., 2006, International migration, border controls and human rights: assessing the relevance of a right to mobility, Journal of Borderlands Studies, 21(1), 69-86. 10.1080/08865655.2006.9695652
89
Sheller, M. 2018a. Mobility justice: The politics of movement in an age of extremes, Verso Books.(미미 셸러 저, 최영석 역, 2019, 모빌리티 정의: 왜 이동의 정치학인가?, 앨피)
90
Sheller, M., 2018b, Theorising mobility justice. Tempo Social, 30(2), 17-34. 10.11606/0103-2070.ts.2018.142763
91
Sheller, M., 2020, Mobility justice. In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Mobilities, Edward Elgar Publishing, Cheltenham. 10.4337/9781788115469.00007
92
Žižek, S. 2008. Violence: Six sideways reflections. Picador (슬라보예 지젝 저, 이현우, 김희진, 정일권 역, 2011,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에 대한 6가지 삐딱한 성찰, 난장이.).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6
  • No :2
  • Pages :129-147
  • Received Date : 2021-02-18
  • Revised Date : 2021-04-18
  • Accepted Date : 202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