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55,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0. pp. 427-437
Abstract
References
1
강동호, 이석호, 김길호, 김병식, 2018, "건물군 인벤토리가 고려된 다차원법을 활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한국방재학회지, 18(7), 119-127.
2
강부식, 2012, "한국형 자연재난 피해추정 시스템의 필요성 및 구축방향," 물과미래, 45(12), 58-62.
3
김광묵, 김태승, 박태선, 김연진, 2001, 치수사업 경제성 분석 개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4
김경수, 송영석, 조용찬, 김원영, 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지질공학회지, 16(2), 201-214.
5
김동영, 정일원, 2018, "복합재난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국내 재난 사례 인벤토리 구축 연구," 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 9(4), 27-31.
6
김동영, 정일원, 박지연, 2018, "복합재난 시나리오 구축을 위한 재난간 연관성 분석 및 시나리오 활용," 한국방재학회지, 18(6), 42-47.
7
김병일, 김두연, 2015, "자연재해로 인한 기반시설의 간접 피해액 예측 연구 동향,"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16(2), 36-38.
8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산림과학지, 101(1), 28-35.
9
김원영, 1998, "지형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 : 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공학회지, 8(2), 115-130.
10
나유경, 최진무, 2019, "객체기반법을 이용한 침수피해액 추정 방안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54(6), 637-649.
11
나유경, 박진홍, 최진무, 2019, "빅데이터를 이용한 복합재난의 발생 지역 및 유형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3(4), 375-384.
12
류주형, 이사로, 원중선, 2002,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요인의 가중치 결정," 자원환경지질, 35(1), 67-74.
13
양인태, 박재국, 박건, 2014, "산사태 위험지도를 이용한 강원도 지자체의 피해규모 산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4), 71-80.
10.7319/kogsis.2014.22.4.071
14
오승희, 손진, 정우석, 이용태, 2018, "시나리오 기반의 복합재난 통합모델링 개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3(11), 1920-1928.
10.7840/kics.2018.43.11.1920
15
이근상, 2015, "공간정보와 Modified MD-FDA 기반의 침수피해액 산정시스템 구현," 한국지적학회지, 31(1), 27-40.
16
이병진, 이병훈, 오승희, 이용태, 김경석, 2017, "주요 시설물 피해를 고려한 복합재난 피해 예측 시스템 방안 연구,"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12(4), 18-25.
17
이자원, 2010, "기후변화 예측 하에 전개될 재난에 대한 적응기법 모델링을 위한 선진국 사례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2), 213-228.
18
이재은, 2005, 자연재난과 방재시스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
이재은, 이우권, 2014, "한국의 복합재난 대응과 위기관리체계발전 방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9), 15-31.
20
정우영, 김성준, 2012, "자연재해에 따른 사유재산 예상 피해액 산정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8(4), 336-346.
21
정창삼, 2017, 시나리오 기반 대형 복합재난 확산 예측 기술개발, 국토연구.
22
추태호, 곽길신, 안시형, 양다운, 손종근, 2017, "재해통계기반 서해 연안지역의 풍랑피해예측함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2), 14-22.
23
최승안, 이충성, 심명필, 김형수, 2006,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 (1): 원리 및 절차,"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1), 1-9.
10.3741/JKWRA.2006.39.1.001
24
최천규, 2017,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및 손상함수 개발: 주거건물 및 건물내용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한국감정원, 2019, 2019년 건물신축단가표, 한국감정원.
26
행정자치부, 2012, 2011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27
행정자치부, 2013, 2012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28
행정자치부, 2014, 2013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29
행정자치부, 2015, 2014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30
행정자치부, 2016, 2015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31
행정자치부, 2017, 2016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32
행정안전부, 2018, 2017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33
행정안전부, 2019, 2018년 재해연보, 행정자치부.
34
행정안전부, 2020, 풍수해 직접・간접피해를 고려한 피해 산정 및 예측 기술개발, 행정안전부.
35
Arosio, M., Martina, M. L. and Figueiredo, R,. 2018, Natural hazard risk of complex systems-the whol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I. A holistic modelling approach based on Graph Theory,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1-23.
36
Cardinali, M., Reichenbach, P., Guzzetti, F., Ardizzone, F., Antonini, G., Galli, M., Cacciano, M., Castellani, M. and Salvati, P., 2002, A geomorphological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landslide hazards and risks in Umbria, Central Italy.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2, 57-72.
10.5194/nhess-2-57-2002
37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FEMA), 2003, Flood Model: Technical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38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FEMA), 2018, HAZUS-MH Flood model Technical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39
Fleming, R. W. and Taylor, F. A., 1980, Estimating the costs of landslide damage in the United States, 832.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Geological Survey.
10.3133/cir832
40
Komendantova, N., Mrzyglocki, R., Mignan, A., Khazai, B., Wenzel, F., Patt, A. and Fleming, K., 2014, Multi-hazard and multi-risk decision-support tools as a part of participatory risk governance: Feedback from civil protection stakehol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8, 50-67.
41
Wills, C., Perez, F. and Branum, D., 2016, New method for estimating landslide losses from major winter storms in California and application to the ARkStorm scenario. Natural Hazards Review, 17(4), 1-13.
10.1061/(ASCE)NH.1527-6996.0000142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Publisher(Ko) :대한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Title(Ko)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 55
  • No :4
  • Pages :427-437
  • Received Date : 2020-08-12
  • Revised Date : 2020-08-31
  • Accepted Date : 2020-08-31